영어로 된 유란시아 책은 2006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번역: © 2000, 2025 유란시아 재단
번역: © 2001, 2007 Urantia Society of Greater New York
YAHWEH—GOD OF THE HEBREWS
제 96 편야웨―히브리인의 하나님
제96편: 야훼--히브리인의 하나님
제 96 편: 야훼─히브리인의 하느님
야웨 ― 히브리인의 하나님
1955 96:0.1 IN CONCEIVING of Deity, man first includes all gods, then subordinates all foreign gods to his tribal deity, and finally excludes all but the one God of final and supreme value. The Jews synthesized all gods into their more sublime concept of the Lord God of Israel. The Hindus likewise combined their multifarious deities into the “one spirituality of the gods” portrayed in the Rig-Veda, while the Mesopotamians reduced their gods to the more centralized concept of Bel-Marduk. These ideas of monotheism matured all over the world not long after the appearance of Machiventa Melchizedek at Salem in Palestine. But the Melchizedek concept of Deity was unlike that of the evolutionary philosophy of inclusion, subordination, and exclusion; it was based exclusively on creative power and very soon influenced the highest deity concepts of Mesopotamia, India, and Egypt.
2000 96:0.1 신을 생각할 때 사람은 먼저 모든 신을 인정하고, 다음에 모든 외국 신을 자기 부족 신에 종속시키고, 마지막에는 최종ㆍ최상의 가치를 가진 한 분의 하나님 외에 아무 신도 인정하지 않는다. 유대인은 모든 신을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라는 숭고한 개념으로 통합하였다. 마찬가지로 힌두인은 여러 모습의 신들을 릭 베다에서 묘사된 “신들의 한 가지 영성(靈性)”으로 통합하였고, 한편 메소포타미아인은 그 신들을 더 집중된 벨마둑 개념으로 축소하였다. 이러한 일신교 관념은 팔레스타인 지방의 살렘에서 마키벤타 멜기세덱이 나타난 뒤 오래지 않아서, 온 세계에서 널리 성숙해졌다. 그러나 멜기세덱의 신 개념은, 포함하고 종속시키고 배제하는 진화된 철학 개념과 달랐다. 그 개념은 순전히 창조하는 힘에 기초를 두었고, 얼마 안 되어 메소포타미아ㆍ인도ㆍ에집트에서 가장 높은 신 개념들에 영향을 미쳤다.
2001 CM 96:0.1 신격을 생각할 때, 사람은 먼저 모든 신을 포함시키고, 그다음에는 외부의 모든 신을 자기 부족 신격 아래 복속시키고, 마지막으로는, 최종적이고 지고한 가치를 지닌 유일하신 하나님 외에 어떤 신도 인정하지 않는다. 유대인은 모든 신을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라는 더 탁월한 개념으로 통합했다. 힌두인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신격을 리그-베다에 표현된 “신들의 한 가지 영성{靈性}”으로 합성시켰으며, 한편 메소포타미아인은, 벨-마르덕이라는 더 집중된 개념으로 그 신들을 축소시켰다. 이 일신교 관념은, 마키벤타 멜기세덱이 팔레스틴의 살렘 지역에 출현한 후 오래지 않아서 온 세계에 퍼졌다. 그러나 멜기세덱의 신격 개념은, 포함시키고 종속시키고 배제하는, 진화된 철학 개념과는 달랐으며;오로지 창조하는 능력에 기초했고, 메소포타미아와 인도와 이집트의 최고 신격 개념에 곧 영향을 미쳤다.
2007 URKA 96:0.1 신(神)을 착상하는 데에 있어서, 사람은 처음에는 모든 하느님들을 포함하고, 그 다음에는 모든 외국의 하느님들을 자기 부족의 신(神) 아래에 종속시키며, 마지막으로 최종적이며 최극 가치의 한 분 하느님을 제외한 다른 모두를 배제한다. 유대인들은 모든 하느님들을 이스라엘의 주님 하느님이라는, 자신들의 더욱 숭고한 개념 속으로 합성하였다. 마찬가지로 힌두인들은 자신들의 잡다한 신(神)들을 리그-베다에 묘사된 “하느님들에 대한 하나의 영성(靈性)” 속으로 병합하였고, 한편으로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자기 하느님들의 수를 벨-마르덕이라는 보다 집중된 개념으로 줄였다. 유일신론의 이들 관념은 마키벤타 멜기세덱이 팔레스타인에 있는 살렘에 출현한 이후, 오래 지나지 않아서 전 세계에 퍼졌다. 그러나 신(神)에 대한 멜기세덱의 개념은, 포함과 종속 그리고 배제의 진화적 철학에서의 그러한 개념과는 같지 않았다; 그것은 창조적인 힘에 배타적으로 기초를 두었고, 얼마 안 되어 메소포타미아와 인도 그리고 이집트의 가장 높은 신(神) 개념들에 영향을 주었다.
2025 96:0.1 신을 생각할 때 사람은 먼저 모든 신을 인정하고, 다음에 모든 외국 신을 자기 부족 신에 종속시키고, 마지막에는 최종ㆍ최상의 가치를 가진 한 분의 하나님 외에 아무 신도 인정하지 않는다. 유대인은 모든 신을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라는 숭고한 개념으로 통합하였다. 마찬가지로 힌두인은 여러 모습의 신들을 릭 베다에서 묘사된 “신들의 한 가지 영성(靈性)”으로 통합하였고, 한편 메소포타미아인은 그 신들을 더 집중된 벨-마르둑 개념으로 축소하였다. 이러한 일신교 관념은 팔레스타인 지방의 살렘에서 마키벤타 멜기세덱이 나타난 뒤 오래지 않아서, 온 세계에서 널리 성숙해졌다. 그러나 멜기세덱의 신 개념은, 포함하고 종속시키고 배제하는 진화된 철학 개념과 달랐다. 그 개념은 순전히 창조하는 힘에 기초를 두었고, 얼마 안 되어 메소포타미아ㆍ인도ㆍ에집트에서 가장 높은 신 개념들에 영향을 미쳤다.
1955 96:0.2 The Salem religion was revered as a tradition by the Kenites and several other Canaanite tribes. And this was one of the purposes of Melchizedek’s incarnation: That a religion of one God should be so fostered as to prepare the way for the earth bestowal of a Son of that one God. Michael could hardly come to Urantia until there existed a people believing in the Universal Father among whom he could appear.
2000 96:0.2 켄 족속과 몇몇 다른 가나안 부족은 살렘의 종교를 전통으로서 존중하였다. 멜기세덱이 육신화한 한 가지 목적은 이것이었다: 유일한 하나님의 아들이 땅에 수여되는 것을 위하여 길을 예비하려고 바로 그 유일한 하나님의 종교가 육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주의 아버지를 믿는 민족이 있어 그가 그들 사이에 나타날 수 있기까지 미가엘은 도저히 유란시아에 올 수 없었다.
2001 CM 96:0.2 겐족속을 비롯한 다른 몇몇 가나안 부족은, 살렘 종교를 전승으로서 존중했다. 그리고 멜기세덱이 육신화한 목적 가운데 하나는 이것인데:유일하신 하나님의 아들이 이 세상에 증여되는 길을 예비하도록, 유일하신 하나님에 대한 바로 그 종교가 그렇게 육성돼야만 했다. 미가엘은, 자신이 나타나게 될 그들 가운데 우주 아버지를 믿는 어떤 민족이 존재하기 전에는, 유란시아에 올 수 없었다.
2007 URKA 96:0.2 살렘 종교는 켄-사람들을 비롯한 다른 여러 가나안-사람들에 의해 하나의 전통으로 존경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멜기세덱이 육신화된 목적들 중의 하나였는데: 유일하신 하느님에 대한 종교가 그렇게 조성되어 그 유일하신 하느님의 한 아들이 이 세상에 증여되는 길을 예비하는 것이었다. 미가엘은 자신이 나타나게 될 그 사람들 중에서 우주 아버지를 믿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전에는 유란시아에 오실 수가 없었다.
2025 96:0.2 켄 족속과 몇몇 다른 가나안 부족은 살렘의 종교를 전통으로서 존중하였다. 멜기세덱이 육신화한 한 가지 목적은 이것이었다: 유일한 하나님의 한 아들이 땅에 수여되는 것을 위하여 길을 예비하려고 바로 그 유일한 하나님의 종교가 육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주의 아버지를 믿는 민족이 있어 그가 그들 사이에 나타날 수 있기까지 미가엘은 도저히 유란시아에 올 수 없었다.
1955 96:0.3 The Salem religion persisted among the Kenites in Palestine as their creed, and this religion as it was later adopted by the Hebrews was influenced, first, by Egyptian moral teachings; later, by Babylonian theologic thought; and lastly, by Iranian conceptions of good and evil. Factually the Hebrew religion is predicated upon the covenant between Abraham and Machiventa Melchizedek, evolutionally it is the outgrowth of many unique situational circumstances, but culturally it has borrowed freely from the religion, morality, and philosophy of the entire Levant. It is through the Hebrew religion that much of the morality and religious thought of Egypt, Mesopotamia, and Iran was transmitted to the Occidental peoples.
2000 96:0.3 살렘의 종교는 팔레스타인에서 켄 족속 사이에 그들의 신조로서 지속되었고, 이 종교는 히브리인이 나중에 채택한 바와 같이, 처음에 에집트인의 도덕적 가르침에 영향을 받고, 나중에 바빌로니아인의 신학 사상에, 마지막으로 이란인의 선악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 사실로 히브리 종교는 아브라함과 마키벤타 멜기세덱이 맺은 계약에 바탕을 두었고, 진화적으로 많은 독특한 상황에서 생긴 부산물이지만, 문화적으로 온 레반트의 종교ㆍ도덕ㆍ철학으로부터 마음대로 빌려왔다. 히브리 종교를 통해서, 에집트ㆍ메소포타미아ㆍ이란의 도덕 및 종교 사상의 상당 부분이 서양 민족들에게 전달되었다.
2001 CM 96:0.3 팔레스틴에서 겐족속이 살렘 종교를 자신의 신조{信條}로 유지해왔으며, 이 종교는 나중에 히브리인이 채택한 바와 같이, 처음에는 이집트인의 도덕적 교훈에 영향을 받았으며;나중에는 바벨론 신학 사고{思考}에;마지막으로는 선과 악에 대한 이란인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 히브리인 종교는, 실제로 아브라함과 마키벤타 멜기세덱 사이의 언약에 입각한 것이고, 진화적으로는 여러 독특한 상황에 알맞은 우연한 사건들의 결과물이지만, 문화적으로 보면, 전체 레반트의 종교와 도덕과 사상에서 거리낌 없이 빌려온 것이다. 히브리 종교를 통하여,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와 이란의 도덕성과 종교적 사고의 많은 부분이 서양 민족들에게 전해졌다.
2007 URKA 96:0.3 살렘 종교는 팔레스타인에 있는 켄-사람들에 의해 그들의 신조로 지속되었고, 나중에 히브리인들에게 받아들여진 이 종교는 처음에는 이집트인의 도덕적 가르침에 의해; 나중에는 바빌로니아의 신학 사상에 의해;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선과 악에 대한 이란인의 개념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히브리 종교가 사실상 아브라함과 마키벤타 멜기세덱 사이의 계약에 입각한 것이고, 진화적으로는 많은 독특한 상황들로부터 자라난 것이지만, 문화적으로 보면 전체 레반트 지역의 종교와 도덕 그리고 철학으로부터 자유로이 빌려온 것이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와 이란의 도덕적 생각과 종교적 생각이 서방 민족들에게 전해진 것은 히브리 종교를 통해서이다.
2025 96:0.3 살렘의 종교는 팔레스타인에서 켄 족속 사이에 그들의 신조로서 지속되었고, 이 종교는 히브리인이 나중에 채택한 바와 같이, 처음에 에집트인의 도덕적 가르침에 영향을 받고, 나중에 바빌로니아인의 신학 사상에, 마지막으로 이란인의 선악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1]. 사실로 히브리 종교는 아브라함과 마키벤타 멜기세덱이 맺은 계약에 바탕을 두었고, 진화적으로 많은 독특한 상황에서 생긴 부산물이지만, 문화적으로 레반트 전체의 종교ㆍ도덕ㆍ철학에서 마음대로 빌려왔다. 히브리 종교를 통해서, 에집트ㆍ메소포타미아ㆍ이란의 도덕 및 종교 사상의 상당 부분이 서양 민족들에게 전달되었다.
1. DEITY CONCEPTS AMONG THE SEMITES
1. 셈 족속의 신 개념
1. 셈족속의 신격 개념
1. 셈족 사이에서의 신(神) 개념들
1. 셈 족속의 신 개념
1955 96:1.1 The early Semites regarded everything as being indwelt by a spirit. There were spirits of the animal and vegetable worlds; annual spirits, the lord of progeny; spirits of fire, water, and air; a veritable pantheon of spirits to be feared and worshiped. And the teaching of Melchizedek regarding a Universal Creator never fully destroyed the belief in these subordinate spirits or nature gods.
2000 96:1.1 옛날의 셈 족속은 만물 안에 영이 깃들어 있다고 보았다. 동물과 식물 세계의 영들이 있고, 각 해마다 영이 있고 자손을 돌보는 주(主)가 있으며, 불ㆍ물ㆍ공기의 영들이 있었다. 두려워하고 섬겨야 하는 영이 가득한, 진정한 만신전(萬神殿)이 있었다. 우주의 창조자에 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은 결코 이 하급 영이나 자연신을 믿는 신앙을 결코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
2001 CM 96:1.1 초기 셈족속은, 영이 만물에 내주한다고 생각했다. 동물계와 식물계의 영들;소산물{所産物}의 주인인 1년생 영들;불과 물과 공기의 영들;그리고 경외심과 숭배를 받으려는 영들로 가득한, 진정한 만신전이 있었다. 그리고 우주의 창조주에 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은, 이런 하위{下位} 영들 또는 자연 신들에 대한 믿음을 결코 온전히 없애지 못했다.
2007 URKA 96:1.1 초기의 셈족 사람들은 모든 것들 속에 영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동물 세계와 식물 세계의 영들이 있었고; 자손을 낳게 하는 주인인 일년생(一年生) 영들이 있었다; 물과 공기의 영들이 있었다; 경외심과 경배를 받으려는 진실 그대로 만신(萬神)의 영들이 있었다. 그리고 우주 창조자에 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이 이러한 하위의 영들 또는 자연 하느님들에 대한 믿음을 충분히 파괴시킨 적은 한 번도 없었다.
2025 96:1.1 옛날의 셈 족속은 만물 안에 영이 깃들어 있다고 보았다. 동물과 식물 세계의 영들이 있고, 각 해마다 영이 있고 자손을 돌보는 주(主)가 있으며, 불ㆍ물ㆍ공기의 영들이 있었다. 이것들은 두려워하고 섬겨야 하는 영이 가득한, 진정한 만신전(萬神殿)이었다. 우주의 창조자에 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은 결코 이 하급 영이나 자연신을 믿는 신앙을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
1955 96:1.2 The progress of the Hebrews from polytheism through henotheism to monotheism was not an unbroken and continuous conceptual development. They experienced many retrogressions in the evolution of their Deity concepts, while during any one epoch there existed varying ideas of God among different groups of Semite believers. From time to time numerous terms were applied to their concepts of God, an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these various Deity titles will be defined as they pertain to the evolution of Jewish theology:
2000 96:1.2 다신교로부터 최고신교(最高神敎)를 거쳐 일신교까지 히브리인이 진보한 것은 중단되지 않고 연속하여 일어난 개념의 발전이 아니었다. 신 개념이 진화하는 동안 그들은 여러 번 퇴보를 경험했고, 한편 어느 한 시대에나, 다른 집단의 셈 족속 신자들 사이에서 다른 하나님 개념이 존재했다. 때때로 수많은 명칭이 여러 하나님 개념에 적용되었는데,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유대 신학의 진화에 관계되는 대로 이 여러 가지 신 명칭이 이렇게 정의될 것이다:
2001 CM 96:1.2 히브리인이 다신교로부터 단일신교{택일(擇一)신교}를 거쳐서 일신교로 발전한 것은, 중단되지 않고 연속해서 일어난 개념 발전이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의 신격 개념이 진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역행{逆行}을 경험했으며, 또한 모든 시기마다 서로 다른 셈족속 신자 무리들 가운데서 다양한 하나님 관념이 존재했다. 때로는 수많은 단어가 그들의 하나님 개념에 적용됐으며, 이런 다양한 신격 이름은, 혼돈을 피하기 위하여 유대 신학의 진화에 어울리게 다음과 같이 정의될 것이다:
2007 URKA 96:1.2 히브리인들이 다신론으로부터 단일신교를 거쳐 유일신교로 발전한 것은 온전하고도 연속적인 개념적 발전이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신(神) 개념이 진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의 역행을 체험하였으며, 또한 모든 신(新)시대들마다 서로 다른 셈족 신자들 집단들 사이에서 하느님에 대한 다양한 관념들이 존재하였다. 때로는 수많은 단어들이 하느님에 대한 그들의 개념들에 적용되었으며, 이러한 다양한 신(神) 이름들은 혼돈을 피하기 위하여 유대인 신학의 진화에 맞도록 다음과 같이 정의(定意)될 것이다:
2025 96:1.2 다신교에서 최고신교(最高神敎)를 거쳐 일신교까지 히브리인이 진보한 것은 중단되지 않고 연속하여 일어난 개념의 발전이 아니었다. 신 개념이 진화하는 동안 그들은 여러 번 퇴보를 경험했고, 한편 어느 한 시대에나, 다른 집단의 셈 족속 신자들 사이에서 다른 하나님 개념이 존재했다. 때때로 수많은 명칭이 여러 하나님 개념에 적용되었는데,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유대 신학의 진화에 관계되는 대로 이 여러 가지 신 명칭이 이렇게 정의될 것이다:
1955 96:1.3 1. Yahweh was the god of the southern Palestinian tribes, who associated this concept of deity with Mount Horeb, the Sinai volcano. Yahweh was merely one of the hundreds and thousands of nature gods which held the attention and claimed the worship of the Semitic tribes and peoples.
2000 96:1.3 1. 야웨는 남쪽 팔레스타인 부족들의 신이었고, 이들은 이 신(神) 개념을 호렙 산, 곧 시나이 화산과 연결지었다. 야웨는 다만 셈 부족과 종족들의 눈을 끌고 숭배를 요구한 수백ㆍ수천의 자연 신 가운데 하나였다.
2001 CM 96:1.3 1. 야훼는 남부 팔레스틴 부족들의 신이었는데, 그들은 이 신격 개념을 호렙산 곧 시나이 화산{火山}과 관련시켰다. 야훼는, 셈족속 부족들과 민족들의 관심을 사로잡고 경배를 요구한, 수백 수천의 자연 신 가운데 하나에 불과했다.
2007 URKA 96:1.3 1. 야훼는 남쪽에 있는 팔레스타인 부족들의 하느님이었는데, 그들은 이 신(神) 개념을 호렙산, 시나이 화산과 연관시켰다. 야훼는 셈족 부족들과 민족들의 관심을 끌고 그들의 경배를 요구한 수백 수천의 자연 하느님들 중의 하나에 불과하였다.
1955 96:1.4 2. El Elyon. For centuries after Melchizedek’s sojourn at Salem his doctrine of Deity persisted in various versions but was generally connoted by the term El Elyon, the Most High God of heaven. Many Semites, including the immediate descendants of Abraham, at various times worshiped both Yahweh and El Elyon.
2000 96:1.4 2. 엘 엘리욘. 살렘에서 멜기세덱이 머무른 뒤에 몇 세기 동안 그의 신 교리는 여러 해석판(版)으로 지속되었지만, 대체로 엘 엘리욘, 하늘의 최고 하나님이라는 명칭으로 대체로 암시되었다. 셈 족속의 많은 사람은, 아브라함의 직계 후손을 포함해서, 다른 때에 야웨와 엘 엘리욘, 이 둘을 숭배했다.
2001 CM 96:1.4 2. 엘 엘리온. 멜기세덱이 살렘에 머문 후에, 그의 신격 교리가 여러 세기 동안 다양한 해석판으로 유지됐지만, 일반적으로는 엘 엘리온 곧 하늘의 지고자 하나님이라는 말로 암시됐다. 아브라함의 직계 후손을 포함하여 다수의 셈족속이, 여러 경우에 야훼와 엘 엘리온, 둘 다 숭배했다.
2007 URKA 96:1.4 2. 엘 엘리온. 멜기세덱이 살렘에 머문 후 여러 세기 동안 신(神)에 대한 그의 교리는 다양한 형태들로 유지되었지만 일반적으로는 엘 엘리온, 하늘의 지고자 하느님이라는 말로 표현되었다. 아브라함의 직계 후손들을 포함하여 수많은 셈족 사람들은 여러 번에 걸쳐서 야훼와 엘 엘리온을 같이 경배하였다.
1955 96:1.5 3. El Shaddai.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at El Shaddai stood for. This idea of God was a composite derived from the teachings of Amenemope’s Book of Wisdom modified by Ikhnaton’s doctrine of Aton and further influenced by Melchizedek’s teachings embodied in the concept of El Elyon. But as the concept of El Shaddai permeated the Hebrew mind, it became thoroughly colored with the Yahweh beliefs of the desert.
2000 96:1.5 3. 엘 샤다이. 엘 샤다이가 무엇을 대표하는지 설명하기 힘들다. 이 하나님 관념은 아메니모피의 지혜서의 가르침으로부터 유래하고, 이크나톤의 아톤 교리에 영향을 받고, 이 위에 엘 엘리욘의 개념에 담긴 멜기세덱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은 혼합물이었다. 그러나 엘 샤다이의 개념은 히브리인의 머리에 스며들면서 사막의 야웨 신앙에 철저히 영향을 받게 되었다.
2001 CM 96:1.5 3. 엘 샤다이. 엘 샤다이가 무엇을 나타내는 말인지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 하나님 관념은, 이크나톤의 아톤 교리로 인하여 변경되고, 엘 엘리온 개념에 들어있는 멜기세덱 교훈에 더 영향 받았던, 아메네몹의 지혜서 교훈에서 유래된 합성물이었다. 그러나 히브리인의 정신에 스며들면서 엘 샤다이 개념은 야훼를 믿는 사막의 믿음에 철저히 영향을 받게 됐다.
2007 URKA 96:1.5 3. 엘 샤다이. 엘 샤다이가 무엇을 나타내는 말인지 설명하기는 어렵다. 하느님에 대한 이 관념은 아톤에 대한 이크나톤의 교리에 의해 수정되고 엘 엘리온에 대한 개념 속에 체현되어 있는 멜기세덱의 가르침에 의해 더욱 영향을 받았던 아메니몹의 지혜서의 교훈들로부터 유래된 합성물이었다. 그러나 엘 샤다이라는 개념이 히브리인들의 마음속에 퍼지게 되자, 그것은 사막의 야훼 신앙으로 속속들이 물들게 되었다.
1955 96:1.6 One of the dominant ideas of the religion of this era was the Egyptian concept of divine Providence, the teaching that material prosperity was a reward for serving El Shaddai.
2000 96:1.6 이 시대의 종교에서 지배했던 관념 중의 하나는 에집트인이 가졌던 신의 섭리 개념, 곧 물질적 번영이 엘 샤다이를 섬기는 것에 대한 보상이라는 가르침이었다.
2001 CM 96:1.6 이 시대에 있었던 종교의 지배적 관념 가운데 하나는, 이집트인의 신성한 섭리 개념, 즉 물질적 번영이 엘 샤다이를 잘 섬긴 것에 대한 보상이라는 가르침이었다.
2007 URKA 96:1.6 이 시대에 있었던 종교의 지배적인 관념들 중의 하나는 신성한 섭리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개념이었는데, 그것은 물질적인 번영이 엘 샤다이를 잘 섬긴 것에 대한 보상이라는 가르침이었다.
2025 96:1.6 이 시대의 종교에서 지배했던 관념 중의 하나는 에집트인이 가졌던 신의 섭리 개념, 곧 물질적 번영이 엘 샤다이를 섬기는 것에 대한 보상이라는 가르침이었다.
1955 96:1.7 4. El. Amid all this confusion of terminology and haziness of concept, many devout believers sincerely endeavored to worship all of these evolving ideas of divinity, and there grew up the practice of referring to this composite Deity as El. And this term included still other of the Bedouin nature gods.
2000 96:1.7 4. 엘. 온통 용어가 뒤섞이고 개념이 흐릿한 가운데, 많은 경건한 신자들은 이 모든 진화하는 신 개념을 숭배하려고 진지하게 애썼고, 이 복합된 신을 엘이라고 언급하는 풍습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 용어는 베두인의 자연 신들 중에서 또 다른 신을 포함했다.
2001 CM 96:1.7 4. 엘. 용어가 이렇게 온통 혼돈되고 개념이 불분명한 가운데, 경건한 많은 신자는 신성{神性}에 대한 이런 진화하는 모든 관념을 숭배하기 위하여 진지하게 노력했고, 그리하여 이 복합된 신격을 엘이라고 부르는 풍습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 용어에는 베두인족의 자연 신들도 포함됐다.
2007 URKA 96:1.7 4. 엘. 용어상의 이 혼돈과 개념상의 불투명성의 와중에서, 믿음이 깊은 많은 사람들은 신성(神性)에 대한 이들 진화하는 관념들의 모든 것을 경배하기 위해 진지하게 노력하였으며, 그리하여 이 복합적인 신(神)을 엘이라고 부르는 실천 관행이 자라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용어는 그 위에 다른 베도윈의 자연 하느님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1955 96:1.8 5. Elohim. In Kish and Ur there long persisted Sumerian-Chaldean groups who taught a three-in-one God concept founded on the traditions of the days of Adam and Melchizedek. This doctrine was carried to Egypt, where this Trinity was worshiped under the name of Elohim, or in the singular as Eloah. The philosophic circles of Egypt and later Alexandrian teachers of Hebraic extraction taught this unity of pluralistic Gods, and many of Moses’ advisers at the time of the exodus believed in this Trinity. But the concept of the trinitarian Elohim never became a real part of Hebrew theology until after they had come under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Babylonians.
2000 96:1.8 5. 엘로힘. 키시와 우르에는 수메르인과 갈대아인 무리들이 오랫동안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아담과 멜기세덱 시절의 전통에 기초를 둔, 세 분이 하나가 된 하나님을 가르쳤다. 이 교리는 에집트로 옮겨졌고, 거기서 이 삼위일체는 엘로힘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단수(單數)인 엘로아로서 숭배되었다. 에집트의 철학 집단, 그리고 히브리 핏줄을 가진, 후일에 알렉산드리아의 선생들은 여러 신의 이런 통일성을 가르쳤고, 에집트를 탈출하던 시절에 모세의 조언자들 중에서 많은 사람이 이 삼위일체를 믿었다. 그러나 삼자가 일체가 된 엘로힘 개념은 그들이 바빌로니아인의 정치적 영향 밑에 들어갈 때까지, 결코 히브리 신학의 참 부분이 되지 못했다.
2001 CM 96:1.8 5. 엘로힘. 수메르-갈대아인 집단들이 키쉬와 우르에 오랫동안 존속했는데, 이들은 아담과 멜기세덱 시대의 전승에 기초한, 세-분이-하나이신 하나님 개념을 가르쳤다. 이 교리는 이집트로 전수됐고, 이 삼위일체는 거기서 엘로힘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단수{單數} 형태의 엘로아로서 숭배됐다. 이집트에서 철학을 하는 무리들과 히브리 혈통의 후대 알렉산드리아 선생들은, 다원적 하나님들이 이렇게 통일됐다고 가르쳤으며, 출애굽 당시에 모세의 조언자들 중에서 다수가 이 삼위일체를 믿었다. 그러나 삼위일체적 엘로힘 개념은, 그들이 바벨론인의 정치 권세 아래 놓이게 되기까지는, 히브리인 신학의 실제 부분이 된 적이 결코 없었다.
2007 URKA 96:1.8 5. 엘로힘. 키쉬와 우르에서는 아담과 멜기세덱 시대의 전승들 위에 기초를 둔 셋이면서-하나이신 하느님 개념을 가르친 수메르-갈대아 인이 오랫동안 잔존하였다. 이 교리는 이집트로 전수되었고, 이 삼위일체 개념은 그곳에서 엘로힘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엘로아라는 단수 개념으로 경배되었다. 이집트에서 철학을 하는 무리들과 히브리 혈통의 후대 알렉산드리아 선생들은 합일된 복수의 하느님들에 대한 개념을 가르쳤으며, 출애굽 당시에 모세의 많은 충고자들은 이 삼위일체 개념을 믿고 있었다. 그러나 삼위일체자 엘로힘에 대한 개념은 그들이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정치적인 영향 아래에 놓이게 되기까지는 히브리 신학의 실제적인 부분이 된 적이 없었다.
2025 96:1.8 5. 엘로힘[6]. 키시와 우르에는 수메르인과 갈대아인 무리들이 오랫동안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아담과 멜기세덱 시절의 전통에 기초를 둔, 세 분이 하나가 된 하나님을 가르쳤다. 이 교리는 에집트로 옮겨졌고, 거기서 이 삼위일체는 엘로힘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단수(單數)인 엘로아로서 숭배되었다. 에집트의 철학 집단, 그리고 히브리 핏줄을 가진, 후일에 알렉산드리아의 선생들은 여러 신의 이런 통일성을 가르쳤고, 에집트를 탈출하던 시절에 모세의 조언자들 중에서 많은 사람이 이 삼위일체를 믿었다. 그러나 삼자가 일체가 된 엘로힘 개념은 그들이 바빌로니아인의 정치적 영향 밑에 들어갈 때까지, 결코 히브리 신학의 참 부분이 되지 못했다.
1955 96:1.9 6. Sundry names. The Semites disliked to speak the name of their Deity, and they therefore resorted to numerous appellations from time to time, such as: The Spirit of God, The Lord, The Angel of the Lord, The Almighty, The Holy One, The Most High, Adonai, The Ancient of Days, The Lord God of Israel, The Creator of Heaven and Earth, Kyrios, Jah, The Lord of Hosts, and The Father in Heaven.
2000 96:1.9 6. 잡다한 이름. 셈 족속은 자기네 신의 이름을 입에 올리기 꺼려했고, 따라서 그들은 다음과 같이, 때때로 수많은 다른 명칭에 의존했다: 하나님의 영,주(主),주의 천사, 전능자, 거룩한 하나, 최고자, 아도나이, 옛적부터 늘 계신 이,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 하늘과 땅의 창조자, 키리오스, 야, 만군의 주, 하늘의 아버지.
2001 CM 96:1.9 6. 잡다한 이름. 셈족속은 자기네 신격의 이름을 입 밖에 내기를 싫어했으며, 따라서 그들은 때때로 수많은 명칭을 사용했는데:하나님의 영, 주, 주의 천사, 전능자, 거룩하신 분, 지고자, 아도나이, 태고 항존자,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 하늘과 땅의 창조주, 큐리오스, 야, 만군의 주, 하늘에 계신 아버지 등이었다.
2007 URKA 96:1.9 6. 잡다한 이름들. 셈족 사람들은 자신들이 믿는 신(神)의 이름을 입 밖에 내는 것을 싫어하였으며, 그리하여 그들은 때때로 수많은 명칭들을 사용하였는데, 그것들은: 하느님의 영, 주님, 주님의 천사, 전능자, 거룩하신 분, 지고자, 아도나이, 옛적으로 늘 계신이, 이스라엘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의 창조자, 키리오스, 야, 만군의 주, 하늘의 아버지 등이었다.
1955 96:1.10 Jehovah is a term which in recent times has been employed to designate the completed concept of Yahweh which finally evolved in the long Hebrew experience. But the name Jehovah did not come into use until fifteen hundred years after the times of Jesus.
2000 96:1.10 여호와는 히브리인의 오랜 체험에서 마침내 진화한, 완성된 야웨 개념을 가리키려고 근래에 쓰인 명칭이다. 그러나 여호와의 이름은 예수의 시절 이후 1천 5백 년이 될 때까지 쓰이지 않았다.
2001 CM 96:1.10 여호와는, 히브리인의 오랜 체험에서 최종으로 진화된, 완성된 야훼 개념을 나타내려고 근래에 채택된 용어다. 그러나 여호와라는 이름은, 예수 시대 이후 1500년이 될 때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2007 URKA 96:1.10 여호와는, 오랜 세월 동안 히브리 체험 속에서 최종적으로 진화된, 완성된 야훼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최근에 채택된 용어이다. 그러나 여호와라는 그 이름은 예수 시대 이후(以後) 1,500년경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1955 96:1.11 Up to about 2000 B.C., Mount Sinai was intermittently active as a volcano, occasional eruptions occurring as late as the time of the sojourn of the Israelites in this region. The fire and smoke, together with the thunderous detonations associated with the eruptions of this volcanic mountain, all impressed and awed the Bedouins of the surrounding regions and caused them greatly to fear Yahweh. This spirit of Mount Horeb later became the god of the Hebrew Semites, and they eventually believed him to be supreme over all other gods.
2000 96:1.11 기원전 약 2000년까지 시나이 산은 이따금 화산으로 활동했고, 이 지역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머무르던 시절까지, 때때로 분출이 일어났다. 이 화산의 분출과 관련하여 천둥 치듯 폭발이 있었을 때 불과 연기는 모두, 둘러싼 지역의 베두인 족속에게 감동을 주고 겁을 먹게 만들었고, 그들이 야웨를 크게 무서워하게 만들었다. 이 호렙 산의 영은 나중에 히브리인 셈 족속의 신이 되었고, 그들은 결국 그 신이 모든 다른 신 위에 최고라고 믿었다.
2001 CM 96:1.11 기원전 2000년경까지, 시내산은 때때로 화산 활동이 계속됐는데, 이스라엘족속이 이 지역에 머물렀던 후대에도 이따금 화산 분출이 있었다. 이 화산이 폭발하면서 우레 같은 폭음과 함께 솟아오르는 불과 연기는, 주변 지역에 있는 베두인족을 놀라게 하고 감동시키기에 충분했고, 그들로 하여금 야훼를 크게 두려워하도록 만들었다. 호렙산의 이 영은 나중에 히브리인 셈족속의 신{神}이 됐으며, 그들은 결국 그 신이 다른 모든 신보다 우월하다고 믿게 됐다.
2007 URKA 96:1.11 기원전 2,000년경까지, 시나이 산은 때때로 화산 활동이 계속되고 있었는데,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 지역에 머물렀던 후대에도 간헐적인 화산 분출은 발생하였다. 이 화산이 폭발하면서 우뢰와 같은 폭음과 함께 솟아오르는 불과 연기는 주변 지역에 있는 베도윈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감동시키기에 충분하였으며 그들로 하여금 야훼를 크게 두려워하게 하였다. 호렙산의 이 영은 나중에 히브리 셈족 사람들의 하느님이 되었으며, 그들은 결국에는 그가 다른 모든 하느님들보다도 최극이라고 믿게 되었다.
2025 96:1.11 기원전 약 2000년까지 시나이 산은 이따금 화산으로 활동했고, 이 지역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머무르던 시절까지, 때때로 분출이 일어났다. 이 화산의 분출과 관련하여 천둥 치듯 폭발이 있었을 때 불과 연기는 모두, 둘러싼 지역의 베두인 족속에게 감동을 주고 겁을 먹게 만들었고, 그들이 야웨를 크게 무서워하게 만들었다. 이 호렙 산의 영은 나중에 히브리인 셈 족속의 신이 되었고, 그들은 결국 그 신이 모든 다른 신 위에 최고라고 믿었다.
1955 96:1.12 The Canaanites had long revered Yahweh, and although many of the Kenites believed more or less in El Elyon, the supergod of the Salem religion, a majority of the Canaanites held loosely to the worship of the old tribal deities. They were hardly willing to abandon their national deities in favor of an international, not to say an interplanetary, God. They were not universal-deity minded, and therefore these tribes continued to worship their tribal deities, including Yahweh and the silver and golden calves which symbolized the Bedouin herders’ concept of the spirit of the Sinai volcano.
2000 96:1.12 가나안 족속은 오랫동안 야웨를 섬겼고, 비록 켄 족속에서 많은 사람이 살렘 종교의 초월신 엘 엘리욘을 얼마큼 믿었어도, 가나안 족속의 대다수는 적당히 옛 부족 신들의 숭배를 고수하였다. 그들은 행성 사이의 하나님은커녕, 국제적 하나님 편을 들어서 자기네 민족의 신을 도저히 기꺼이 버리려 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우주의 신에 생각이 미치지 않았고, 따라서 이 부족들은 야웨와 금ㆍ은 송아지를 포함하여, 그들의 부족 신을 계속 숭배했으며, 송아지는 베두인 목자들의 시나이 화산 영(靈) 개념을 상징했다.
2001 CM 96:1.12 가나안족속은 오랫동안 야훼를 숭배했고, 비록 겐족속 가운데 많은 사람이 살렘 종교의 초월신 엘 엘리온을 다소 믿기는 했으나, 대다수 가나안족속은 옛 부족의 신격들을 느슨하게 숭배하고 있었다. 그들은, 행성 간{行星 間} 하나님은 고사하고, 국제적 하나님을 지지하려고 자기네 민족의 신격들을 기꺼이 버릴 생각이 거의 없었다. 우주의-신격을 받아들일만한 정신을 갖지 못했고, 그렇기 때문에 이 부족들은 계속 자신의 부족 신격들을 숭배했는데, 야훼는 물론, 베두인족 목자들의 시나이 화산 영 개념을 상징화한, 금과 은으로 만든 송아지도 포함됐다.
2007 URKA 96:1.12 가나안-사람들은 오랫동안 야훼를 존경해 왔었으며, 비록 켄-사람들 중에 많은 사람들이 살렘 종교의 초(超)하느님인 엘 엘리온을 다소 믿기는 하였지만, 가나안-사람들 대부분은 옛날의 부족 신(神)들에 대한 경배에 막연하게 집착하고 있었다. 그들은 우주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세계적인 개념의 하느님을 위하여 자기들의 민족적인 신(神)들을 기꺼이 버릴 생각이 거의 없었다. 그들은 우주적-신(神)을 받아들일만한 마음을 갖지 못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이 부족들은 계속하여 자기들의 부족 신(神)들을 경배하였는데, 야훼는 물론 시나이 산 화산의 영에 대한 베도윈 목자들의 개념을 상징화한 금과 은으로 만든 송아지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2025 96:1.12 가나안 족속은 오랫동안 야웨를 섬겼고, 비록 켄 족속에서 많은 사람이 살렘 종교의 초월신 엘 엘리욘을 얼마큼 믿었어도, 가나안 족속의 대다수는 적당히 옛 부족 신들의 숭배를 고수하였다. 그들은 행성 사이의 하나님은커녕, 국제적 하나님 편을 들어서 자기네 민족의 신을 도저히 기꺼이 버리려 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우주의 신에 생각이 미치지 않았고, 따라서 이 부족들은 야웨와 금ㆍ은 송아지를 포함하여, 그들의 부족 신을 계속 숭배했으며, 송아지는 베두인 목자들의 시나이 화산 영(靈) 개념을 상징했다.
1955 96:1.13 The Syrians, while worshiping their gods, also believed in Yahweh of the Hebrews, for their prophets said to the Syrian king: “Their gods are gods of the hills; therefore they were stronger than we; but let us fight against them on the plain, and surely we shall be stronger than they.”
2000 96:1.13 시리아인은 자기네 신을 섬기면서 또한 히브리인의 야웨를 믿었는데, 그들의 선지자들이 시리아의 임금에게 이렇게 말했기 때문이다: “저희의 신들은 산의 신들이라. 그러므로 저희가 우리보다 강하도다. 그러나 저희와 맞서 들에서 싸우자. 그리하면 분명히 우리가 저희보다 강하리라.”
2001 CM 96:1.13 시리아인은, 자기네 신들을 숭배하는 동시에 히브리인의 야훼도 믿었는데, 시리아인 선지자들이 시리아 왕에게:“저희의 신들은 언덕의 신이며;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우리보다 강하지만;우리가 저희와 평야에서 싸운다면, 분명히 우리가 저희보다 강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2007 URKA 96:1.13 시리아 사람들은, 자기들의 하느님들을 경배하는 동시에, 히브리인들의 야훼도 믿었는데, 왜냐하면 그들의 예언자들이 시리아 왕에게: “그들의 하느님들은 언덕의 하느님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우리보다 강하지만; 우리가 그들과 평야에서 싸운다면, 분명히 우리가 그들보다 강할 것입니다”라고 말하였기 때문이었다.
1955 96:1.14 As man advances in culture, the lesser gods are subordinated to a supreme deity; the great Jove persists only as an exclamation. The monotheists keep their subordinate gods as spirits, demons, fates, Nereids, fairies, brownies, dwarfs, banshees, and the evil eye. The Hebrews passed through henotheism and long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gods other than Yahweh, but they increasingly held that these foreign deities were subordinate to Yahweh. They conceded the actuality of Chemosh, god of the Amorites, but maintained that he was subordinate to Yahweh.
2000 96:1.14 사람의 문화가 앞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작은 신들은 최고의 신에 종속된다. 위대한 조브는[1] 겨우 감탄 소리로서 남아 있다. 일신교를 믿는 자들은 그들의 하급 신을 영ㆍ악마ㆍ운명, 네레이드ㆍ요정ㆍ브라우니,[2] 난쟁이ㆍ반쉬[3], 악한 눈으로서 보존한다. 히브리인은 최고신교를 거쳤고, 오랫동안 야웨 외에도 다른 신들이 있음을 믿었지만, 그들은 점점 더 이 외국 신들이 야웨 밑에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들은 아모리인의 신 케모스가 사실로 있음을 인정했지만, 그가 야웨 밑에 있다고 주장했다.
2001 CM 96:1.14 사람의 문화가 앞으로 나아가게 되면, 작은 신들은 최고 신격에게 종속되며;위대한 죠브(즉 주피터)는 겨우 감탄사로서 존속할 뿐이다. 일신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하급 신들을, 영, 귀신, 운명, 네레이즈, 요정, 농가{農家}의 요정, 난쟁이, 여자 요정, 흉안{凶眼} 등으로 유지시킨다. 히브리인은 단일신교 단계를 지나왔고, 야훼 외에도 다른 신들이 있음을 오랫동안 믿어왔으나, 점점 더 이런 이방 신격들이 야훼보다 밑에 있다고 믿게 됐다. 그들은 아모리족속의 신{神} 케모쉬의 존재를 인정했지만, 그 신이 야훼보다 밑에 있다고 주장했다.
2007 URKA 96:1.14 인류가 문화적으로 발전하게 되면, 보다 약한 하느님들은 하나의 최극 신(神)에게 종속된다; 위대한 주피터만이 하나의 감탄사로 존속된다. 일신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자기들의 하위(下位) 하느님들을 영, 귀신, 숙명, 바다의 요정, 선녀, 농가의 요정, 난쟁이, 여자 요정, 흉안 등으로 유지시킨다. 히브리인들은 단일신교의 단계를 지나왔으며 야훼 이외에 다른 하느님들의 실존을 오랫동안 믿어왔지만, 그들은 이러한 이방의 신(神)들이 야훼보다 낮다고 점점 더 믿게 되었다. 그들은 아모리 족속의 하느님인 케모쉬의 실재성을 인정하였지만, 그 하느님이 야훼보다 낮다고 주장하였다.
2025 96:1.14 사람의 문화가 앞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작은 신들은 최고의 신에 종속된다. 위대한 조브는[119] 겨우 감탄 소리로서 남아 있다. 일신교를 믿는 자들은 그들의 하급 신을 영ㆍ악마ㆍ운명, 네레이드ㆍ요정ㆍ브라우니[120], 난쟁이ㆍ반쉬[121], 악한 눈으로서 보존한다. 히브리인은 최고신교를 거쳤고, 오랫동안 야웨 외에도 다른 신들이 있음을 믿었지만, 그들은 점점 더 이 외국 신들이 야웨 밑에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들은 아모리인의 신 케모스가 사실로 있음을 인정했지만, 그가 야웨 밑에 있다고 주장했다.
1955 96:1.15 The idea of Yahweh has undergone the most extensive development of all the mortal theories of God. Its progressive evolution can only be compared with the metamorphosis of the Buddha concept in Asia, which in the end led to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Absolute even as the Yahweh concept finally led to the idea of the Universal Father. But as a matter of historic fac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ile the Jews thus changed their views of Deity from the tribal god of Mount Horeb to the loving and merciful Creator Father of later times, they did not change his name; they continued all the way along to call this evolving concept of Deity, Yahweh.
2000 96:1.15 야웨 관념은 하나님에 관한 필사자의 모든 이론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게 발전하였다. 그 점진적 진화는 오직 아시아에서 있었던 부처 개념의 변화와 비교할 수 있는데, 이것은 야웨 개념이 마지막에 우주의 아버지 개념으로 인도한 것 같이, 끝에는 우주 절대자 개념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한 역사적 사실의 문제로서, 유대인이 이렇게 호렙 산의 부족 신으로부터 후일에 자애롭고 자비로운 창조자인 아버지에 이르기까지 신을 보는 관점을 바꾸었지만, 그의 이름을 바꾸지는 않았다. 그들은 계속하여 내내, 이 진화하는 신 개념을 야웨라고 불렀다.
2001 CM 96:1.15 하나님에 관한 필사자의 모든 이론 중에서, 야훼 관념이 가장 광범하게 발전해왔다. 그런 발전적 진화에 비길 수 있는 것은, 아시아에서 있었던 부다 개념의 변모밖에 없는데, 야훼 개념이 마침내 우주 아버지 관념으로 인도된 것처럼, 부다 개념은 결국 우주 절대자 개념으로 인도됐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로 볼 때, 유대인은 이렇게 하여 자신의 신격 관점을, 호렙산의 부족{部族} 신으로부터 자비롭고 사랑 많으신 후대의 창조주 아버지로 바꿨으나, 그 이름을 바꾸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야하는데;그들은 이런 진화하는 신격 개념을 줄기차게 야훼라고 불렀다.
2007 URKA 96:1.15 야훼에 대한 관념은 필사자가 가진 하느님에 대한 모든 이론들 중에서 가장 광범위한 발전을 겪어왔다. 그 발전적인 진화에 비길 수 있는 것은 아시아에서 있었던 부다의 변형밖에 없는데, 야훼 개념이 최종적으로 우주 아버지의 관념으로 인도된 것처럼 그것은 결국 우주 절대자의 개념으로 인도되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로 볼 때, 유대인들이 그렇게 해서 신(神)에 대한 자신들의 관점을 호렙 산의 부족 하느님으로부터 자비하고 사랑이 많으신 후대의 창조자 아버지 개념으로 바뀐 반면에, 그들이 그 이름을 바꾸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하는데; 신(神)에 대한 이러한 진화하는 개념을 항상 계속하여 야훼라고 불렀다.
2025 96:1.15 야웨 관념은 하나님에 관한 필사자의 모든 이론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게 발전하였다. 그 점진적 진화는 오직 아시아에서 있었던 부처 개념의 변화와 비교할 수 있는데, 이것은 야웨 개념이 마지막에 우주의 아버지 개념으로 인도한 것 같이, 마침내 우주 절대자 개념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한 역사적 사실의 문제로서, 유대인이 이렇게 호렙 산의 부족 신으로부터 후일에 자애롭고 자비로운 창조자인 아버지에 이르기까지 신을 보는 관점을 바꾸었지만, 그의 이름을 바꾸지는 않았다. 그들은 계속하여 내내, 이 진화하는 신 개념을 야웨라고 불렀다.
2. THE SEMITIC PEOPLES
2. 셈 종족
2. 셈족속의 민족
2. 셈 민족
2. 셈 종족
1955 96:2.1 The Semites of the East were well-organized and well-led horsemen who invaded the eastern regions of the fertile crescent and there united with the Babylonians. The Chaldeans near Ur were among the most advanced of the eastern Semites. The Phoenicians were a superior and well-organized group of mixed Semites who held the western section of Palestine, along the Mediterranean coast. Racially the Semites were among the most blended of Urantia peoples, containing hereditary factors from almost all of the nine world races.
2000 96:2.1 동방의 셈 족속은 잘 조직되고 훈련받은, 말 타는 사람들이었고, 비옥한 초생달의[4] 동부 지역에 쳐들어가서, 거기서 바빌로니아인과 함께 뭉쳤다. 우르 가까이서 갈대아인은 동쪽 셈 족속 가운데 가장 진보한 편에 속했다. 페니키아인은 지중해의 바닷가를 따라서 팔레스타인의 서부 구역을 차지했던 혼합된 셈 족 집단, 우수하고 조직이 잘 된 집단이었다. 종족 면에서 셈 족속은 유란시아 민족들 가운데 가장 많이 섞인 축에 속했고, 아홉 세계 민족 가운데 거의 모두로부터 얻은 유전 요소를 포함하였다.
2001 CM 96:2.1 동방의 셈족속은, 잘 조직되고 잘-훈련받은 기마인{騎馬人}이었는데, 비옥한 초승달 지역 동쪽으로 침입하여, 거기서 바벨론인과 결합했다. 우르 근처의 갈대아인은 동쪽 셈족속 가운데서 가장 진보된 족속에 속했다. 페니키아인은, 지중해 연안 팔레스틴 서부 지역을 장악한, 우수하고 잘 조직된 혼합된 셈족속 집단이었다. 인종적으로 볼 때, 셈족속은 유란시아 민족들 가운데 가장 피가 많이 섞인 사람에 속했는데, 당시에 세계의 아홉 인종 가운데 거의 전체의 유전 인자를 내포했다.
2007 URKA 96:2.1 동방의 셈족 사람들은 비옥한 초승달 지역의 동쪽으로 침입하여 그곳에서 바빌로니아 사람들과 연합한 잘 조직되고 건장한 기마인들이었다. 우르 근처의 갈대아 사람들은 동쪽에 있는 셈족 사람들 중에서 가장 진보된 사람들에 속하였다. 페니키아 사람들은 지중해 연안의 팔레스타인 서부 지역을 장악한 우월하고도 잘 조직된 혼합된 셈족 사람들의 집단이었다. 인종적으로 볼 때 셈족 사람들은 유란시아 민족들 중에서 가장 피가 많이 섞인 사람들에 속하였는데, 그 당시에 거의 모든 세계 인종들로부터 유전 인자들을 받은 상태였다.
2025 96:2.1 동방의 셈 족속은 잘 조직되고 훈련된, 말 타는 사람들이었고, 비옥한 초생달의[122] 동부 지역에 쳐들어가서, 거기서 바빌로니아인과 함께 뭉쳤다. 우르 가까이서 갈대아인은 동쪽 셈 족속 가운데 가장 진보한 편에 속했다. 페니키아인은 지중해의 바닷가를 따라서 팔레스타인의 서부 구역을 차지했던 혼합된 셈 족 집단, 우수하고 조직이 잘 된 집단이었다. 종족 면에서 셈 족속은 유란시아 민족들 가운데 가장 많이 섞인 축에 속했고, 아홉 세계 민족 가운데 거의 모두로부터 얻은 유전 요소를 포함하였다.
1955 96:2.2 Again and again the Arabian Semites fought their way into the northern Promised Land, the land that “flowed with milk and honey,” but just as often were they ejected by the better-organized and more highly civilized northern Semites and Hittites. Later, during an unusually severe famine, these roving Bedouins entered Egypt in large numbers as contract laborers on the Egyptian public works, only to find themselves undergoing the bitter experience of enslavement at the hard daily toil of the common and downtrodden laborers of the Nile valley.
2000 96:2.2 아라비아의 셈 족속은 거듭해서 북쪽에 약속의 땅,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싸우면서 들어갔지만, 더 조직이 잘 되어 있고 높이 문명화된 북쪽의 셈 족속과 힛 족속에게 번번이 밀려났다. 나중에, 드물게 심한 기근이 있는 동안에, 방랑하는 이 베두인 족속은 에집트의 공공 사업에 계약 노동자로서 큰 떼를 지어 에집트로 들어갔고, 나일 강 유역에서 평범한 짓밟힌 일꾼으로서 날마다 힘든 노동에 종이 되는, 쓰라린 체험을 겪는 신세가 되었을 뿐이다.
2001 CM 96:2.2 아라비아의 셈족속은, 북쪽에 약속의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계속 반복하여 투쟁하면서 올라갔으나, 더 조직이 잘돼있고 더 고도로 문명화된, 북부 셈족속과 헷족속에게 번번이 밀려났다. 나중에, 대단히 심각한 기근에 시달리는 동안, 방랑하는 이 베두인족 가운데 많은 사람이 이집트 공공 작업장의 계약 노동자가 되어 이집트로 들어갔는데, 이들은 나일 강 유역의 평범하고 학대받는 노동자로서, 매일 힘들게 고생하고 노예 상태의 쓰라린 체험을 하는 신세가 됐을 뿐이다.
2007 URKA 96:2.2 아라비아의 셈족 사람들은 북부의 약속된 땅,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계속 반복하여 투쟁하며 올라갔지만, 보다 낫게 조직되고 더욱 고도로 문명화된 북부의 셈족 사람들에 의해서 그리고 후에는 힛타이트-사람들에 의해서 종종 쫓겨나게 되자, 현저하게 심각한 기근에 시달리는 동안, 방랑하는 이 베도윈 사람들 중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집트의 공공 사업에 계약 노동자가 되어 이집트에 들어갔는데, 그들은 나일 계곡의 평범하고도 학대받는 노동자들로 매일같이 힘든 고생을 하는 노예 상태의 쓰라린 체험을 하고 있는 자신들을 발견하게 되었을 뿐이었다.
1955 96:2.3 It was only after the days of Machiventa Melchizedek and Abraham that certain tribes of Semites, because of their peculiar religious beliefs, were called the children of Israel and later on Hebrews, Jews, and the “chosen people.” Abraham was not the racial father of all the Hebrews; he was not even the progenitor of all the Bedouin Semites who were held captive in Egypt. True, his offspring, coming up out of Egypt, did form the nucleus of the later Jewish people, but the vast majority of the men and women who became incorporated into the clans of Israel had never sojourned in Egypt. They were merely fellow nomads who chose to follow the leadership of Moses as the children of Abraham and their Semite associates from Egypt journeyed through northern Arabia.
2000 96:2.3 마키벤타 멜기세덱과 아브라함의 시절 이후에야 겨우, 어떤 셈 부족을 그들의 특이한 종교 관념 때문에, 이스라엘의 자녀라, 나중에는 히브리인, 유대인, “선택된 민족”이라 부르게 되었다. 아브라함은 모든 히브리인에게 시조가 아니었다. 그는 에집트에서 포로로 잡혀 있던 모든 베두인 셈 족속의 선조도 아니었다. 그의 자손이 에집트에서 나와서 나중에 유대 민족의 핵심을 이룬 것은 참말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씨족들 속으로 합병된 대다수의 남녀는 에집트에서 결코 머무른 적이 없다. 그들은 에집트에서 온 아브라함의 후손과 그들의 셈 족속 동료들이 아라비아 북부를 거쳐서 여행하는 동안에, 모세의 지휘를 따르기로 결정한 동료 유목민에 지나지 않았다.
2001 CM 96:2.3 마키벤타 멜기세덱과 아브라함 시대 이후가 돼서야, 그들의 독특한 종교적 신념 때문에, 어떤 셈족속 부족들을 이스라엘 자손이라고, 그리고 나중에는 히브리인, 유대인, 및 “선택받은 민족”이라고 부르게 됐다. 아브라함은, 히브리인 전체의 인종적 조상이 아니었으며;이집트에 포로 됐던 베두인 셈족속 전체의 조상도 아니었다. 이집트에서 나온 그의 자손이 후대에 유대인 민족의 핵심을 이룬 것은 사실이지만, 이스라엘 씨족으로 편입된 거의 대부분의 남녀는 이집트에 머문 적이 없었다. 그들은, 이집트에서 온 아브라함 후손과 그들의 셈족속 동료들이 아라비아 북부를 거쳐서 여행하는 동안, 모세의 지휘체제를 따르기로 선택한 동료 유목민에 불과했다.
2007 URKA 96:2.3 셈족 중 어떤 부족들이 그들의 독특한 종교적 신념 때문에 이스라엘의 자손들로 그리고 나중에는 히브리인, 유대인 그리고 “선택된 민족”이라고 불린 것은 마키벤타 멜기세덱과 아브라함의 시대 직후였다. 아브라함은 히브리인 전체의 인종적 조상이 아니었다; 이집트에서 포로가 되어 있었던 베도윈 셈족 사람들 전체의 조상도 아니었다. 이집트에서 나온 그의 자손들이 후대의 유대인 민족의 핵심을 이룬 것은 사실이었지만, 이스라엘 씨족으로 편입되게 된 남자들과 여자들의 거의 대부분은 이집트에 머문 적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이집트로부터 북부 아라비아를 통과하여 여행한 그들의 셈족 연관-동료들과 아브라함의 자손으로서 모세의 지도 체제를 따르기로 선택한 단순한 유목민들에 불과하였다.
2025 96:2.3 마키벤타 멜기세덱과 아브라함의 시절 이후에야 겨우, 어떤 셈 부족을 그들의 특이한 종교 관념 때문에, 이스라엘의 자녀라, 나중에는 히브리인, 유대인, “선택된 민족”이라 부르게 되었다[11][12]. 아브라함은 모든 히브리인에게 시조가 아니었다
[13]. 그는 에집트에서 포로로 잡혀 있던 모든 베두인 셈 족속의 선조도 아니었다
[14]. 그의 자손이 에집트에서 나와서 나중에 유대 민족의 핵심을 이룬 것은 참말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씨족들 속으로 합병된 대다수의 남녀는 에집트에서 결코 머무른 적이 없다. 그들은 에집트에서 온 아브라함의 후손과 그들의 셈 족속 동료들이 아라비아 북부를 거쳐서 여행하는 동안에, 모세의 지휘를 따르기로 결정한 동료 유목민에 지나지 않았다.
1955 96:2.4 The Melchizedek teaching concerning El Elyon, the Most High, and the covenant of divine favor through faith, had been largely forgotten by the time of the Egyptian enslavement of the Semite peoples who were shortly to form the Hebrew nation. But throughout this period of captivity these Arabian nomads maintained a lingering traditional belief in Yahweh as their racial deity.
2000 96:2.4 머지 않아 히브리 국가를 형성할 셈 민족이 에집트에서 노예로 살던 시절이 되자 엘 엘리욘, 최고자, 그리고 믿음을 통해서 신의 은총을 얻는다고 약속했던 멜기세덱의 가르침은 대체로 잊혀졌다. 그러나 포로로 살던 이 기간을 통해서 이 아라비아 유목민은 그들의 종족 신으로서 야웨를 믿는, 남아 있는 전통적 신앙을 유지했다.
2001 CM 96:2.4 얼마 안 있어서, 히브리인 국가를 형성하게 될 셈족속 사람들이 이집트에서 노예로 살 때가 되자, 엘 엘리온, 지고자에 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 그리고 신앙을 통해서 신성한 은총을 받는다는 언약은 대체로 잊혀졌다. 그러나 포로로 살던 이 기간 내내, 이 아라비아 유목민은 야훼를 그들 종족의 신격으로 믿는 전통적 믿음을 유지했다.
2007 URKA 96:2.4 지고자인 엘 엘리온에 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과, 신앙을 통하여 신성한 은혜를 받는 계약은, 얼마 안 있어서 히브리 국가를 형성하게 될 셈족 사람들이 이집트에 포로가 되었을 당시에는, 많이 잊힌 상태였다. 그러나 포로가 된 이 기간 동안에 이 아라비아 유목민들은 야훼에 대한 어렴풋한 전통적인 믿음을 자기들의 인종적인 신(神)으로 유지하고 있었다.
2025 96:2.4 머지않아 히브리 국가를 형성할 셈 민족이 에집트에서 노예로 살던 시절이 되자 엘 엘리욘, 최고자, 그리고 믿음을 통해서 신의 은총을 얻는다고 약속했던 멜기세덱의 가르침은 대체로 잊혔다. 그러나 포로로 살던 이 기간을 통해서 이 아라비아 유목민은 그들의 종족 신으로서 야웨를 믿는, 남아 있는 전통적 신앙을 유지했다.
1955 96:2.5 Yahweh was worshiped by more than one hundred separate Arabian tribes, and except for the tinge of the El Elyon concept of Melchizedek which persisted among the more educated classes of Egypt, including the mixed Hebrew and Egyptian stocks, the religion of the rank and file of the Hebrew captive slaves was a modified version of the old Yahweh ritual of magic and sacrifice.
2000 96:2.5 서로 다른 1백이 넘는 아라비아 부족들이 야웨를 숭배하였고, 히브리와 에집트의 혼합된 핏줄을 포함하여, 에집트의 지식 계급 사이에서 지속하던, 멜기세덱의 엘 엘리욘 개념에 물든 것을 제쳐놓고, 포로가 된 하층 계급의 히브리 노예들이 가졌던 종교는 마술을 쓰고 희생물을 바치던 옛 야웨 의식(儀式)의 수정판이었다.
2001 CM 96:2.5 100개 이상의 독립된 아라비아 부족이 야훼를 숭배했고, 히브리인과 이집트인의 혼합된 혈통을 포함하여, 이집트의 비교적 교양 있는 부류 가운데서 유지됐던 멜기세덱의 엘 엘리온 개념에 엷게 물든 것을 제외하고, 포로가 된 서민 계층의 히브리인 노예들이 가진 종교는, 희생제물을 바치는 신비적인 옛 야훼 제례식의 개정판이었다.
2007 URKA 96:2.5 야훼는 100개 이상의 독립된 아라비아 부족들에 의해서 경배되었으며, 히브리인과 이집트인의 혼합된 혈통을 포함하여 이집트의 보다 교양 있는 부류들 사이에서 유지되었던 멜기세덱의 엘 엘리온 개념의 잔재를 제외한다면, 히브리 포로 노예들인 일반 대중의 종교는 신비적이고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옛날의 야훼 예식이 변형된 것이었다.
2025 96:2.5 서로 다른 1백이 넘는 아라비아 부족들이 야웨를 숭배하였고, 히브리와 에집트의 혼합된 핏줄을 포함하여, 에집트의 지식 계급 사이에서 지속하던, 멜기세덱의 엘 엘리욘 개념에 물든 것을 제쳐 놓고, 포로가 된 하층 계급의 히브리 노예들이 가졌던 종교는 마술을 쓰고 희생물을 바치던 옛 야웨 의식(儀式)의 수정판이었다.
3. THE MATCHLESS MOSES
3. 비할 데 없는 모세
3. 독보적인 모세
3. 비할 데 없는 모세
3. 비할 데 없는 모세
1955 96:3.1 The beginning of the evolution of the Hebraic concepts and ideals of a Supreme Creator dates from the departure of the Semites from Egypt under that great leader, teacher, and organizer, Moses. His mother was of the royal family of Egypt; his father was a Semitic liaison officer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Bedouin captives. Moses thus possessed qualities derived from superior racial sources; his ancestry was so highly blended that it is impossible to classify him in any one racial group. Had he not been of this mixed type, he would never have displayed that unusual versatility and adaptability which enabled him to manage the diversified horde which eventually became associated with those Bedouin Semites who fled from Egypt to the Arabian Desert under his leadership.
2000 96:3.1 최상 창조자에 관한 히브리인의 개념과 이상(理想)의 진화가 시작된 것은 그 위대한 지도자요 선생이자 조직자인 모세 밑에서, 셈 족속이 에집트를 떠난 그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어머니는 에집트의 왕족에 속했고, 아버지는 정부와 베두인 포로들 사이에 셈 족속의 연락 장교였다. 이처럼 모세는 우수한 종족 근원으로부터 내려온 성품을 가졌다. 그의 조상은 너무 많이 섞여서 그를 어느 한 종족 집단으로 분류하기 힘들다. 그가 이렇게 섞인 부류가 아니었다면, 궁극에 그의 지휘 하에 에집트에서 아라비아 사막까지 달아난 베두인 셈 족속과 상관하게 된 다양한 무리를 다룰 수 있게 만든 그 드문 재능과 적응 능력을 결코 보여주지 못했을 것이다.
2001 CM 96:3.1 최상급 창조주라는 히브리 개념과 이상{理想}이 진화하기 시작한 것은, 위대한 지도자요 선생이요 조직가인 모세의 지도하에, 셈족속이 이집트에서 떠날 때부터였다. 그의 어머니는 이집트 왕족{王族} 출신이었고, 그의 아버지는 베두인족 포로와 정부{政府} 사이에서 연락 업무를 맡은 셈족속 혈통의 관리였다. 그리하여 모세는 우수한 종족 근원에서 유래된 자질을 소유했으며;그의 조상은 피가 아주 많이 섞였으므로, 어느 한 집단에 속한다고 할 수 없다. 그가 이런 혼합된 유형이 아니었다면, 그의 지휘 하에 이집트에서 아라비아 사막으로 도망친 그 베두인 셈족속과 결국 연합하게 된, 다양한 유랑민 무리를 잘 다루도록 했던 그런 특이한 다재다능함과 융통성을 보여주지 못했을 것이다.
2007 URKA 96:3.1 히브리 개념들과 최극 창조자에 대한 이상들의 시작은, 위대한 영도자이며 선생이며 조직가인 모세의 지도하에 이집트에서 셈족 사람들이 떠날 때부터 이루어졌다. 그의 어머니는 이집트의 왕족 출신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베도윈 포로들과 정부 사이에서 연락 업무를 맡아보는 셈족 혈통의 관리였다. 그리하여 모세는 우월한 인종적 근원으로부터 유래된 본질특성들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의 조상은 매우 많이 피가 섞여 있었기 때문에 어느 한 집단에 속한다고 할 수가 없다. 만약에 그가 이러한 혼합된 유형이 아니었다면, 그의 영도자관계하에 이집트로부터 도망쳐서 아라비아 사막으로 들어간 그 베도윈 셈족 사람들과 결국에는 연관하게 된 다양한 유목민들을 그로 하여금 잘 다루도록 하였던 그러한 특이한 다재다능함과 융통성을 보여주지 못했을 것이다.
2025 96:3.1 최상 창조자에 관한 히브리인의 개념과 이상(理想)의 진화가 시작된 것은 그 위대한 지도자요 선생이자 조직자인 모세 밑에서, 셈 족속이 에집트를 떠난 그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어머니는 에집트의 왕족에 속했고, 아버지는 정부와 베두인 포로들 사이에 셈 족속의 연락 장교였다[15]. 이처럼 모세는 우수한 종족 근원에서 내려온 성품을 가졌다. 그의 조상은 너무 많이 섞여서 그를 어느 한 종족 집단으로 분류하기 힘들다. 그가 이렇게 섞인 부류가 아니었다면, 궁극에 그의 지휘 하에 에집트에서 아라비아 사막까지 달아난 베두인 셈 족속과 상관하게 된 다양한 무리를 다룰 수 있게 만든 그 드문 재능과 적응 능력을 결코 보여주지 못했을 것이다.
1955 96:3.2 Despite the enticements of the culture of the Nile kingdom, Moses elected to cast his lot with the people of his father. At the time this great organizer was formulating his plans for the eventual freeing of his father’s people, the Bedouin captives hardly had a religion worthy of the name; they were virtually without a true concept of God and without hope in the world.
2000 96:3.2 나일 왕국의 문화가 유혹이었는데도, 모세는 아버지의 민족과 운명을 같이 하기를 선택했다. 이때 이 위대한 조직자는 아버지의 민족을 궁극에 해방시키려는 계획을 꾸미고 있었는데, 이 베두인 포로들은 도저히 그 이름에 마땅한 종교가 없었다. 그들은 하나님에 관한 참된 개념이 거의 없었고, 세상에서 희망이 없었다.
2001 CM 96:3.2 나일 왕국 문화가 유혹했음에도, 모세는 아버지의 민족과 운명을 같이하기로 선택했다. 이 위대한 조직가가 아버지의 민족을 언젠가 해방시키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을 때, 베두인족 포로들은 그 이름에 걸 맞는 종교를 갖지 못했으며;실제로는 참된 하나님 개념이 없었고, 세상에서 희망이 끊어진 상태였다.
2007 URKA 96:3.2 나일 왕국 문화의 유혹에도 불구하고, 모세는 자기 아버지의 민족과 함께 자기 땅을 포기하기로 선택하였다. 이 위대한 조직가가 자기 아버지 민족의 결국 이루어지는 해방을 위하여 자신의 계획을 세우고 있었을 때, 베도윈 포로들은 그 이름에 걸 맞는 종교를 갖고 있지 못하였다; 실질적으로 하느님에 대한 참된 개념이 없었고 세상에서의 소망이 끊어진 상태였다.
2025 96:3.2 나일 왕국의 문화가 유혹이었는데도, 모세는 아버지의 민족과 운명을 같이 하기를 선택했다. 이때 이 위대한 조직자는 아버지의 민족을 궁극에 해방시키려는 계획을 꾸미고 있었는데, 이 베두인 포로들은 도저히 그 이름에 마땅한 종교가 없었다. 그들은 하나님에 관한 참된 개념이 거의 없었고, 세상에서 희망이 없었다.
1955 96:3.3 No leader ever undertook to reform and uplift a more forlorn, downcast, dejected, and ignorant group of human beings. But these slaves carried latent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 their hereditary strains, and there were a sufficient number of educated leaders who had been coached by Moses in preparation for the day of revolt and the strike for liberty to constitute a corps of efficient organizers. These superior men had been employed as native overseers of their people; they had received some education because of Moses’ influence with the Egyptian rulers.
2000 96:3.3 어떤 지도자도 일찍이 이보다 더 버림받고 풀이 꺾이고 기가 죽고 무지한 인간 집단을 개혁하고 격려하는 일에 결코 손을 댄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 노예들은 유전 혈통에 잠자는 발전 가능성을 지녔고, 반란을 일으키고 자유를 얻으려고 투쟁하는 날에 대비하여 유능한 조직자 단체를 구성할 만큼 모세가 지도한, 교육받은 지도자들이 충분히 있었다. 이 우수한 사람들은 그 민족의 토착민 감독자로서 고용되어 있었다. 모세가 에집트의 통치자들에게 영향력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얼마큼 교육을 받았다.
2001 CM 96:3.3 일찍이 어떤 지도자도, 이보다 더 비참하고 기가 꺾이고 낙심하고 무지한 인간 집단을 개혁하고 향상시킨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 노예들은 유전적 혈통에 잠복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자유를 위한 폭동을 일으키고 파업할 날을 위하여 유능한 조직자 단체를 구성할 만큼 모세가 지도한, 충분한 숫자의 학식 있는 지도자들이 있었다. 우수한 이 사람들은 그 민족의 토착민 감독관으로서 고용됐으며;어느 정도 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이집트인 통치자들에 대한 모세의 영향력 덕분이었다.
2007 URKA 96:3.3 어떤 영도자도 그보다 더 비참하고 기가 꺾이고 낙심하고 무지한 인간 집단을 갱생하고 향상시킨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 노예들은 그들의 유전적인 혈통에 있어서 발전할 잠재 가능성들을 갖고 있었으며, 해방을 위한 폭동과 파업을 일으킬 날을 위하여 유능한 조직책의 무리들을 구성하는 준비에 있어서 모세의 지도를 받아왔던 충분한 숫자의 학식 있는 영도자들이 그곳에 있었다. 이 우월한 사람들은 자기 민족 태생이면서 감독자들로 일하는 직책에 고용되어 있었다; 모세가 이집트인 통치자들에게 미친 영향으로 인하여 약간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었다.
2025 96:3.3 어떤 지도자도 일찍이 이보다 더 버림 받고 풀이 꺾이고 기가 죽고 무지한 인간 집단을 개혁하고 격려하는 일에 결코 손을 댄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 노예들은 유전 혈통에 잠자는 발전 가능성을 지녔고, 반란을 일으키고 자유를 얻으려고 투쟁하는 날에 대비하여 유능한 조직자 단체를 구성할 만큼 모세가 지도한, 교육 받은 지도자들이 충분히 있었다. 이 우수한 사람들은 그 민족의 토착민 감독자로서 고용되어 있었다. 모세가 에집트의 통치자들에게 영향력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얼마큼 교육을 받았다.
1955 96:3.4 Moses endeavored to negotiate diplomatically for the freedom of his fellow Semites. He and his brother entered into a compact with the king of Egypt whereby they were granted permission peaceably to leave the valley of the Nile for the Arabian Desert. They were to receive a modest payment of money and goods in token of their long service in Egypt. The Hebrews for their part entered into an agreement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 Pharaohs and not to join in any alliance against Egypt. But the king later saw fit to repudiate this treaty, giving as his reason the excuse that his spies had discovered disloyalty among the Bedouin slaves. He claimed they sought freedom for the purpose of going into the desert to organize the nomads against Egypt.
2000 96:3.4 모세는 동포 셈 족속에게 자유를 주기 위해서 외교로 협상하려고 애썼다. 그와 동생은 에집트 임금과 협정을 맺었고, 그에 따르면 그들은 아라비아 사막을 향해서 나일 강 유역을 평화롭게 떠나도록 허락을 받았다. 에집트에서 오랫동안 수고한 것에 대한 표시로 그들은 많지 않은 돈과 물건을 받기로 되었다. 히브리인 편에서는 파라오와 친선 관계를 유지하고 에집트에 맞서 어떤 연방에도 가입하지 않기로 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그 임금은 나중에 이 조약을 깨는 것이 좋다고 보았고, 그의 간첩들이 베두인 노예들 사이에서 불충함을 발견했다는 핑계를 이유로 내밀었다. 그들이 에집트에 맞서서 유목민을 조직하려고 사막으로 갈 목적으로 자유를 찾는다고 그는 주장했다.
2001 CM 96:3.4 모세는 셈족속 동포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외교적으로 협상하려고 애썼다. 그와 그의 형제는 이집트의 왕과 협정을 맺었고, 이로 인해 그들은 평화적으로 나일 강 유역을 떠나서 아라비아 사막으로 들어가도록 허락받았다. 그들은 이집트에서 오랫동안 노동한 대가{代價}로 적당한 양의 돈과 물질을 받게 돼있었다. 히브리인 편에서는, 바로와 친선 관계를 유지하고, 이집트에 대적하는 어떤 동맹에도 가담하지 않기로 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그 왕은 나중에, 그의 첩자들이 베두인족 노예들 가운데서 불충함을 발견했다고 핑계를 대면서 이 조약을 파기하기로 결정했다. 그들이 이집트에 맞서서 유목민을 조직하기 위해 사막으로 들어갈 목적으로 자유를 찾는다고, 그 왕은 주장했다.
2007 URKA 96:3.4 모세는 자기 동족인 셈족 사람들의 해방을 위해 외교적으로 흥정하려고 노력하였다. 그와 그의 형제는 이집트의 왕과 계약을 맺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그들은 평화적으로 나일 계곡을 떠나 아라비아 사막으로 들어가도록 허락을 받았다. 그들은 오랫동안 이집트에서의 봉사의 표시로 적당량의 돈과 물질을 받게 되어 있었다. 히브리인들은 그들의 입장에서 파라오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고 이집트를 배척하는 어떤 동맹에도 가담하지 않겠다는 협정을 체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왕은 나중에 이 조약의 이행을 거절하기에 알맞은 사건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의 첩자들이 베도윈 노예들 속에서 불충한 행동을 발견하였다는 핑계로 그 이유를 삼았다. 그는 그들이 이집트를 배척하는 유목민들을 조직적으로 단결시키기 위해 사막으로 들어가려는 의도에서 자유를 추구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025 96:3.4 모세는 동포 셈 족속에게 자유를 주기 위해서 외교로 협상하려고 애썼다. 그와 동생은 에집트 임금과 협정을 맺었는데, 그에 따르면 그들은 아라비아 사막을 향해서 나일 강 유역을 평화롭게 떠나도록 허락을 받았다. 에집트에서 오랫동안 수고한 것에 대한 표시로 그들은 많지 않은 돈과 물건을 받기로 되었다. 히브리인 편에서는 파라오와 친선 관계를 유지하고 에집트에 맞서 어떤 연방에도 가입하지 않기로 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그 임금은 나중에 이 조약을 깨는 것이 좋다고 보았고, 그의 간첩들이 베두인 노예들 사이에서 불충함을 발견했다는 핑계를 이유로 내밀었다. 그들이 에집트에 맞서서 유목민을 조직하려고 사막으로 갈 목적으로 자유를 찾는다고 그는 주장했다.
1955 96:3.5 But Moses was not discouraged; he bided his time, and in less than a year, when the Egyptian military forces were fully occupied in resisting the simultaneous onslaughts of a strong Libyan thrust from the south and a Greek naval invasion from the north, this intrepid organizer led his compatriots out of Egypt in a spectacular night flight. This dash for liberty was carefully planned and skillfully executed. And they were successful, notwithstanding that they were hotly pursued by Pharaoh and a small body of Egyptians, who all fell before the fugitives’ defense, yielding much booty, all of which was augmented by the loot of the advancing host of escaping slaves as they marched on toward their ancestral desert home.
2000 96:3.5 그러나 모세는 낙심하지 않았다. 그는 때를 기다렸다. 1년이 채 안 되어 남쪽에서 리비아인이 강력하게 밀고 들어오고, 북쪽에서 그리스 해군이 침입하여 동시에 공격하는 데 저항하느라고 에집트의 군대가 넋이 빠져 있을 때, 이 겁 없는 조직자는 볼만한 야간 도주(逃走)에 동포를 이끌어 에집트에서 탈출하였다. 자유를 향한 이 돌진은 철저히 계획되고 능숙하게 집행되었다. 그들은 파라오와 작은 무리의 에집트인들이 열심히 쫓아 왔는데도 성공했다. 이들은 피난민의 방어에 부딪쳐 모두 쓰러졌고 많은 전리품을 남겨 주었으며, 이 모두가 사막에 있는 조상의 집을 향해서 행진하는 동안, 도망쳐 전진하는 노예 집단의 약탈로 불어났다.
2001 CM 96:3.5 그러나 모세는 낙심하지 않았으며;때를 기다리다가, 한 해가 지나가기 전에, 강력한 리비아 군대가 남쪽에서 들이닥치고 그리스 해군이 북쪽에서 침입하는, 동시적 맹공을 물리치는 일에 이집트 군대가 충분히 전념하게 됐을 때, 이 대담한 조직가는 자기 동포를 이끌고 극적인 야간도주{夜間逃走}를 감행함으로 이집트에서 빠져나왔다. 자유를 위한 이 행진은 신중하게 계획됐고 능숙하게 수행됐다. 그리고 그들은, 작은 규모의 이집트 부대와 바로가 맹렬하게 추격해왔지만 도망자들의 반항 앞에 모두 무릎을 꿇어 많은 전리품을 안겨줬고, 이 모든 것 외에도, 사막에 있는 조상의 고향을 향해서 행진하는 탈출 노예 무리의 노획물이 더해짐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
2007 URKA 96:3.5 그러나 모세는 낙심하지 않았다; 자기 때를 기다리다가, 1년이 되기 전에, 강력한 리비아 무리가 남쪽으로부터 들이닥치고 그리스의 해군이 북쪽으로부터 침입하는 동시적인 맹공에 대항하는 일에 이집트의 무리가 충분히 몰두하게 되었을 때, 이 대담한 조직가는 자기 동포들을 이끌고 극적인 밤 여행을 통해 이집트에서 빠져 나왔다. 해방을 위한 이 행진은 신중하게 계획되었고 교묘하게 수행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바로와 작은 규모의 이집트 부대에 의해 맹렬한 추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성공할 수 있었는데, 그 부대는 모두 도망자들의 반항 앞에 무릎을 꿇었고, 많은 전리품을 안겨주었으며, 이것들은 도주하는 노예들이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사막의 고향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면 나아갈수록 모든 것이 증강되어 갔다.
2025 96:3.5 그러나 모세는 낙심하지 않았다[16]. 그는 때를 기다렸다. 1년이 채 안 되어 남쪽에서 리비아인이 강력하게 밀고 들어오고, 북쪽에서 그리스 해군이 침입하여 동시에 공격하는 데 저항하느라고 에집트의 군대가 넋이 빠져 있을 때, 이 겁 없는 조직자는 볼만한 야간 도주(逃走)에 동포를 이끌어 에집트에서 탈출하였다. 자유를 향한 이 돌진은 철저히 계획되고 능숙하게 집행되었다. 그들은 파라오와 작은 무리의 에집트인들이 열심히 쫓아왔는데도 성공했다. 이들은 피난민의 방어에 부딪쳐 모두 쓰러졌고 많은 전리품을 남겨 주었으며, 이 모두가 사막에 있는 조상의 집을 향해서 행진하는 동안, 도망쳐 전진하는 노예 집단의 약탈로 불어났다.
4. THE PROCLAMATION OF YAHWEH
4. 야웨를 선포하다
4. 야훼를 선포함
4. 야훼를 선포함
4. 야웨를 선포하다
1955 96:4.1 The evolution and elevation of the Mosaic teaching has influenced almost one half of all the world, and still does even in the twentieth century. While Moses comprehended the more advanced Egyptian religious philosophy, the Bedouin slaves knew little about such teachings, but they had never entirely forgotten the god of Mount Horeb, whom their ancestors had called Yahweh.
2000 96:4.1 진화되고 향상된 모세의 가르침은 온 세계의 거의 절반에 영향을 미쳤고, 20세기에도 아직 영향을 미친다. 모세는 더 진보된 에집트의 종교 철학을 이해했고, 한편 베두인 노예들은 그러한 가르침에 관하여 거의 아는 것이 없었지만, 그 선조들이 야웨라고 부른 호렙 산의 신을 결코 완전히 잊은 적이 없다.
2001 CM 96:4.1 모세의 가르침은 진화하고 향상되면서 전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에게 영향을 미쳤고, 20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그렇다. 모세는 더 진보된 이집트 종교 철학을 이해했고, 한편 베두인족 노예는 그런 교훈을 거의 알지 못했으나, 그 선조들이 야훼라고 불렀던 호렙 산의 신을 한결같이 잊은 적은 결코 없었다.
2007 URKA 96:4.1 모세의 교훈의 진화와 향상은 전 세계에서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왔으며, 20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그러하다. 보다 더 진보된 이집트의 종교 철학을 모세가 이해한 반면, 베도윈 노예들은 그러한 교훈들을 거의 알지 못하였지만, 그들은 호렙산의 하느님, 그들의 조상들이 야훼라고 불렀던 그 하느님을 전반적으로 잊은 적은 한 번도 없었다.
2025 96:4.1 진화되고 향상된 모세의 가르침은 온 세계의 거의 절반에 영향을 미쳤고, 20세기에도 아직 영향을 미친다. 모세는 더 진보된 에집트의 종교 철학을 이해했고, 한편 베두인 노예들은 그러한 가르침에 관하여 거의 아는 것이 없었지만, 그 선조들이 야웨라고 부른 호렙 산의 신을 결코 완전히 잊은 적이 없다.
1955 96:4.2 Moses had heard of the teachings of Machiventa Melchizedek from both his father and his mother, their commonness of religious belief being the explanation for the unusual union between a woman of royal blood and a man from a captive race. Moses’ father-in-law was a Kenite worshiper of El Elyon, but the emancipator’s parents were believers in El Shaddai. Moses thus was educated an El Shaddaist; through the influence of his father-in-law he became an El Elyonist; and by the time of the Hebrew encampment about Mount Sinai after the flight from Egypt, he had formulated a new and enlarged concept of Deity (derived from all his former beliefs), which he wisely decided to proclaim to his people as an expanded concept of their olden tribal god, Yahweh.
2000 96:4.2 모세는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마키벤타 멜기세덱의 가르침을 들은 적이 있었고, 그들의 공통된 종교관은 왕족의 피를 가진 여자와 포로가 된 민족의 남자 사이에 보기 드문 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설명한다. 모세의 장인은 엘 엘리욘을 섬기는 켄 사람이었지만, 해방자의 부모는 엘 샤다이를 믿었다. 이처럼 모세는 엘 샤다이 신자로 교육을 받은 사람이었다. 장인(丈人)의 영향을 통해서 그는 엘 엘리욘 신자가 되었다. 히브리인이 에집트에서 탈출한 뒤에 시나이 산 근처에서 야영할 때가 되자, (모든 그의 옛 관념으로부터) 그는 새롭고 확대된 신 개념을 형성했고, 이것을 지혜롭게 그의 민족에게, 확대된 옛 부족 신 야웨 개념으로 선포하기로 작정했다.
2001 CM 96:4.2 모세는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마키벤타 멜기세덱의 교훈을 들어서 알고 있었는데, 왕족 핏줄의 여자와 포로 된 인종의 남자가 보기 드물게 결합하게 된 것을, 그들의 공통된 종교 신념이 설명해준다. 모세의 장인은 엘 엘리온을 숭배하는 겐족속이었지만, 이 해방자의 부모는 엘 샤다이를 믿었다. 그래서 모세는 엘 샤다이를 믿는 사람으로서 교육받았으며;장인{丈人}의 영향을 받아서 엘 엘리온을 추종하는 사람이 됐고, 히브리인이 이집트에서 도망친 후에 시내 산에 머물 무렵이 되자, (전에 가졌던 그의 모든 믿음으로부터) 그는 새롭고 확장된 신격 개념을 형성했고, 현명하게도 이것을 자기 민족에게, 확장된 전통적 부족 신 야훼 개념으로 선포하기로 작정했다.
2007 URKA 96:4.2 모세는 마키벤타 멜기세덱의 가르침을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이미 들어서 알고 있었는데, 왕족 혈통의 여자와 포로가 된 인종의 남자가 특이하게 연합하게 된 것은 바로 그들의 공통적인 종교적 신념 때문이었다. 모세의 장인은 엘 엘리온을 경배하는 켄-사람이었지만, 그러나 해방시킨 자의 부모들은 엘 샤다이를 믿고 있었다. 그래서 모세는 엘 샤다이를 믿는 사람으로 교육을 받았다; 그의 장인의 영향을 받아서 엘 엘리온을 추종하는 사람이 되었고, 히브리인들이 이집트로부터 도망한 후 시나이 산에 머무를 무렵에는 신(神)에 대한 새롭고도 더욱 커지게 된 개념(전에 가졌던 그의 모든 신념들로부터 유래된)을 이미 형성시킨 상태였는데, 현명하게도 그는 그것을 자기 민족의 전통적인 부족 신인 야훼에 대한 하나의 확대된 개념으로 그들에게 선포하기로 결정하였다.
2025 96:4.2 모세는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마키벤타 멜기세덱의 가르침을 들은 적이 있었고, 그들의 공통된 종교관은 왕족의 피를 가진 여자와 포로가 된 민족의 남자 사이에 보기 드문 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설명한다. 모세의 장인은 엘 엘리욘을 섬기는 켄 사람이었지만, 해방자의 부모는 엘 샤다이를 믿었다. 이처럼 모세는 엘 샤다이 신자로서 교육을 받은 사람이었다. 장인(丈人)의 영향을 통해서 그는 엘 엘리욘 신자가 되었다. 히브리인이 에집트에서 탈출한 뒤에 시나이 산 근처에서 야영할 때가 되자, (모든 그의 옛 관념으로부터) 그는 새롭고 확대된 신 개념을 형성했고, 이것을 지혜롭게 그의 민족에게, 확대된 옛 부족 신 야웨 개념으로 선포하기로 작정했다.
1955 96:4.3 Moses had endeavored to teach these Bedouins the idea of El Elyon, but before leaving Egypt, he had become convinced they would never fully comprehend this doctrine. Therefore he deliberately determined upon the compromise adoption of their tribal god of the desert as the one and only god of his followers. Moses did not specifically teach that other peoples and nations might not have other gods, but he did resolutely maintain that Yahweh was over and above all, especially to the Hebrews. But always was he plagued by the awkward predicament of trying to present his new and higher idea of Deity to these ignorant slaves under the guise of the ancient term Yahweh, which had always been symbolized by the golden calf of the Bedouin tribes.
2000 96:4.3 모세는 이 베두인 족속에게 엘 엘리욘의 개념을 가르치려고 애썼지만, 에집트를 떠나기 전에 그들이 결코 이 교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 부족이 섬기는 사막(沙漠)의 신을 추종자들의 유일한 신으로서 절충해서 채택하기로 그는 생각 끝에 결정했다. 모세는 다른 민족과 나라가 다른 신을 가지면 안 된다고 꼬집어 가르치지 않았지만, 야웨가 만물 위에 으뜸이라, 특히 히브리인에게 그렇다고 확고히 주장했다. 그러나 옛 이름 야웨의 탈 밑에서, 새롭고 더 높은 신 개념을 이 무지한 노예들에게 제시하려고 애쓰는 거북한 문제로 그는 늘 골치를 앓았으며, 언제나 베두인 부족들의 금 송아지가 이 야웨를 상징했다.
2001 CM 96:4.3 모세는 이 베두인족에게 엘 엘리온 관념을 가르치려고 애썼지만, 그들이 이 교리를 충분히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이집트를 떠나기 전에 확신하게 됐다. 그래서 그는, 그 부족이 섬기는 사막의 신을, 추종자들의 유일한 신으로 절충하여 채택하기로 신중하게 결정했다. 모세는 다른 민족이나 나라들이 다른 신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명확하게 가르치지는 않았으나, 야훼가 모든 존재보다 우월하다고, 특히 히브리인에게는 그렇다고 단호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베두인 부족들의 금송아지로 늘 상징되던 야훼라는 옛 이름을 가장하여, 새롭고 더 높은 신격 관념을 이 무지한 노예들에게 제시하려고 애써야하는 곤란한 지경에 늘 처해 있었다.
2007 URKA 96:4.3 모세는 이 베도윈 사람들에게 엘 엘리온의 관념을 가르치려고 노력하였지만, 이집트를 떠나기에 앞서서, 그는 그들이 이 교리를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기를 따르는 무리들의 하나의 유일한 하느님으로서 그들의 사막의 부족 하느님을 타협안으로 채택하기로 신중하게 결정하였다. 모세는 다른 민족들이나 다른 나라들이 다른 하느님들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명확하게 가르치지는 않았지만, 특별히 히브리인들에게는 야훼가 모든 존재들보다 위에 그 너머에 있다고 단호하게 주장하였다. 그러나 베도윈 부족들의 금송아지에 의해 항상 상징화되어 왔던, 야훼라는 옛 이름을 가장하여, 무지한 이 노예들에게 신(神)에 대한 보다 높고 새로운 관념을 제시하려고 노력하는 거북스러운 상태 때문에 그는 항상 괴로워하였다.
2025 96:4.3 모세는 이 베두인 족속에게 엘 엘리욘 개념을 가르치려고 애썼지만, 에집트를 떠나기 전에 그들이 결코 이 교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 부족이 섬기는 사막(沙漠)의 신을 추종자들의 유일한 신으로서 절충해서 채택하기로 그는 생각 끝에 결정했다. 모세는 다른 민족과 나라가 다른 신을 가지면 안 된다고 꼬집어 가르치지 않았지만, 야웨가 만물 위에 으뜸이라, 특히 히브리인에게 그렇다고 확고히 주장했다. 그러나 옛 이름 야웨의 탈 밑에서, 새롭고 더 높은 신 개념을 이 무지한 노예들에게 제시하려고 애쓰는 거북한 문제로 그는 늘 골치를 앓았으며, 언제나 베두인 부족들의 금 송아지가 이 야웨를 상징했다.
1955 96:4.4 The fact that Yahweh was the god of the fleeing Hebrews explains why they tarried so long before the holy mountain of Sinai, and why they there received the ten commandments which Moses promulgated in the name of Yahweh, the god of Horeb. During this lengthy sojourn before Sinai the religious ceremonials of the newly evolving Hebrew worship were further perfected.
2000 96:4.4 야웨가 달아나는 히브리인의 신이었다는 사실은 어째서 그들이 거룩한 시나이 산 앞에서 그리 오래 머물렀는가, 어째서 거기서 그들이 십계(十戒)를 받았는가 설명하며, 이것을 모세는 호렙 산의 신 야웨의 이름으로 선포하였다. 시나이 산 앞에서 이렇게 오래 머무르는 동안, 새로이 진화하는 히브리인 예배의 종교 의식(儀式)이 더욱 다듬어졌다.
2001 CM 96:4.4 도망치는 히브리인의 신이 야훼였다는 사실은, 왜 그들이 거룩한 시내 산 앞에서 그토록 오랫동안 머물 수밖에 없었는지, 호렙 산의 신{神} 야훼의 이름으로 모세가 공표했던 십계명이 왜 거기서 그들에게 주어졌는지 설명한다. 시내 산 앞에 오래 머무는 동안, 새로 진화하는 히브리인 경배의 종교 예식절차가 더욱 다듬어졌다.
2007 URKA 96:4.4 야훼가 도망치는 히브리인들의 하느님이었다는 사실은, 그들이 거룩한 시나이 산 앞에서 그토록 오랫동안 머무르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와, 호렙산의 하느님인 야훼의 이름으로 모세가 공표 하였던 십계명이 왜 그곳에서 그들이 받아들였는지를 설명해 준다. 시나이 산 앞에서 오래 머무는 동안, 새로이 발전되는 히브리 경배의 종교적 예식들이 더욱 완전하게 되었다.
2025 96:4.4 야웨가 달아나는 히브리인의 신이었다는 사실은 어째서 그들이 거룩한 시나이 산 앞에서 그리 오래 머물렀는가, 어째서 거기서 그들이 십계(十戒)를 받았는가 설명하며, 이것을 모세는 호렙 산의 신 야웨의 이름으로 선포하였다. 시나이 산 앞에서 이렇게 오래 머무르는 동안, 새로이 진화하는 히브리인 예배의 종교 의식(儀式)이 더욱 다듬어졌다.
1955 96:4.5 It does not appear that Moses would ever have succeeded in the establishment of his somewhat advanced ceremonial worship and in keeping his followers intact for a quarter of a century had it not been for the violent eruption of Horeb during the third week of their worshipful sojourn at its base. “The mountain of Yahweh was consumed in fire, and the smoke ascended like the smoke of a furnace, and the whole mountain quaked greatly.” In view of this cataclysm it is not surprising that Moses could impress upon his brethren the teaching that their God was “mighty, terrible, a devouring fire, fearful, and all-powerful.”
2000 96:4.5 그들이 산밑에서 경건한 마음으로 머무르던 셋째 주에 호렙 산이 사납게 분출하지 않았더라면, 모세는 얼마큼 진보된 예배 예식을 확립하고, 4분의 1세기 동안 추종자들을 그대로 유지하는 데 결코 성공하지 못했을 듯하다. “야웨의 산은 불 속에 휩싸였고, 화로의 연기처럼 연기가 떠오르고 산 전체가 크게 떨었더라.”[5] 이 천재지변을 보건대, 그들의 하나님은 “막강하고 무서우며, 삼키는 불이요, 두렵고 전능하니라”하는 가르침을 모세가 동포에게 명심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은 놀랍지 않다.
2001 CM 96:4.5 그들이 산 아래서 경건하게 머물던 셋째 주에 호렙 산의 맹렬한 화산 분출이 없었다면, 어느 정도 진보된 숭배 예식을 제정하고 4분의 1세기 동안 추종자들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데, 모세가 성공을 거뒀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야훼의 산이 불 속에 휩싸이고, 연기가 마치 화로{火爐} 연기처럼 올라갔고, 산 전체가 크게 흔들렸다.” 이런 지각변동을 고려한다면, 그들의 하나님이 “막강하고, 무시무시하고, 맹렬한 불이고, 무섭고, 전능하신 분”이라고 모세가 동족에게 가르쳤을 때, 깊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었던 것은 놀랍지 않다.
2007 URKA 96:4.5 그들이 산 밑에서 엄숙하게 머무른 세 번째 주간 동안에 호렙산의 맹렬한 화산 분출이 없었더라면, 어느 정도 진보된 예식 경배의 제정에 있어서 그리고 자기를 따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25년 동안 변하지 않게 지키는 일에 있어서 모세가 성공을 거두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야훼의 산이 불 속에 타오르고, 연기가 마치 화로(火爐)의 연기처럼 올라갔으며, 산 전체가 크게 흔들렸다.” 이러한 지각변동을 고려한다면, 모세가 그들의 하느님이 “막강하시고, 무시무시하며, 맹렬한 불이시고, 무서우며, 만능이신” 것으로 자기 동족들에게 가르쳤을 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으리라는 사실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1955 96:4.6 Moses proclaimed that Yahweh was the Lord God of Israel, who had singled out the Hebrews as his chosen people; he was building a new nation, and he wisely nationalized his religious teachings, telling his followers that Yahweh was a hard taskmaster, a “jealous God.” But nonetheless he sought to enlarge their concept of divinity when he taught them that Yahweh was the “God of the spirits of all flesh,” and when he said, “The eternal God is your refuge, and underneath are the everlasting arms.” Moses taught that Yahweh was a covenant-keeping God; that he “will not forsake you, neither destroy you, nor forget the covenant of your fathers because the Lord loves you and will not forget the oath by which he swore to your fathers.”
2000 96:4.6 야웨는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요 하나님이 히브리인을 선민으로 골랐다고 모세는 선포했다. 그는 새 민족을 세우고 있었고, 지혜롭게도 종교적 가르침을 민족의 것으로 만들었으며, 야웨가 엄한 감독자요 “질투하는 하나님”이라고 추종자들에게 일러 주었다. 그런데도, 야웨가 “모든 육체에게 영의 하나님”이라고 그들을 가르쳤을 때, 그리고 “영원한 하나님은 너희의 안식처요, 그 아래에 영원한 팔이 있도다”하고 말했을 때, 모세는 그들의 신 개념을 키우려고 애썼다. 야웨가 약속을 지키는 하나님이라, 하나님이 “너희를 버리지 않고, 너희를 멸망시키거나 너희 선조와 한 약속을 잊지 아니하리니, 이는 주가 너희를 사랑하고, 너희 아버지들에게 한 맹세를 잊지 아니할 것임이라”하고 모세는 가르쳤다.
2001 CM 96:4.6 모세는, 야훼가 직접 히브리인을 유일한 선민{選民}으로 택하신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라고 선포했으며;새 민족을 세우고 있었고, 현명하게도 자신의 종교 교훈을 민족의 것으로 만들었고, 야훼가 엄격한 감독관 곧 “질투하는 하나님”이라고 추종자들에게 가르쳤다. 그럼에도, 야훼가 “모든 육신의 영들의 하나님”이라고 가르쳤을 때, 그리고 “영원하신 하나님은 너희 피난처시며 영원한 팔로 보호하신다”고 말했을 때, 그들의 신성 개념을 확장시키려고 애썼다. 모세는, 야훼가 언약을 지키는 하나님이라고 가르쳤으며;“주께서는 너희를 사랑하기 때문에, 너희를 저버리지 않고, 너희를 멸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너희 조상과 맺은 언약을 잊지 않을 것이고, 너희 조상에게 맹세한 그 맹세를 잊지 않으실 것이라”고 가르쳤다.
2007 URKA 96:4.6 모세는 야훼가 직접 히브리인들을 선민(選民)으로 선택하신 이스라엘의 주 하느님이라고 선포하였다; 하나의 새로운 나라를 세웠고, 따르는 무리들에게 야훼가 엄격한 과업감독자, “질투하시는 하느님”이라고 가르치면서 자신의 종교적인 기르침을 현명하게 국가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들에게 야훼가 “모든 육신의 영들의 하느님”이라고 그들에게 가르칠 때, 그리고 “영원하신 하느님은 너희의 피난처이시며 너희는 영속하는 팔 아래에 있다.”고 말할 때, 신성에 대한 그들의 개념을 확장하려고 애썼다. 모세는 야훼가 계약을 지키시는 하느님이라고 가르쳤으며; “주님은 너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너희를 저버리지 않으시고, 너희를 멸하지도 않으실 뿐더러 너희 조상들과 맺은 계약을 잊지 않으실 것이며 너희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그 맹세를 잊지 않으실 것이다”라고 가르쳤다.
2025 96:4.6 야웨는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요 하나님이 히브리인을 선민으로 골랐다고 모세는 선포했다[19]. 그는 새 민족을 세우고 있었고, 지혜롭게도 종교적 가르침을 민족의 것으로 만들었으며, 야웨가 엄한 감독자요 “질투하는 하나님”이라고 추종자들에게 일러주었다
[20][21]. 그런데도, 야웨가 “모든 육체의 영들에게 하나님”이라고 그들을 가르쳤을 때, 그리고 “영원한 하나님은 너희의 안식처요, 그 아래에 영원한 팔이 있도다”하고 말했을 때, 모세는 그들의 신 개념을 키우려고 애썼다
[22]. 야웨가 약속을 지키는 하나님이라, 하나님이 “너희를 버리지 않고, 너희를 멸망시키거나 너희 선조와 한 약속을 잊지 아니하리니, 이는 주가 너희를 사랑하고, 너희 아버지들에게 한 맹세를 잊지 아니할 것임이라”고 모세는 가르쳤다.
1955 96:4.7 Moses made a heroic effort to uplift Yahweh to the dignity of a supreme Deity when he presented him as the “God of truth and without iniquity, just and right in all his ways.” And yet, despite this exalted teaching,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his followers made it necessary to speak of God as being in man’s image, as being subject to fits of anger, wrath, and severity, even that he was vengeful and easily influenced by man’s conduct.
2000 96:4.7 야웨가 “진실한 하나님이요 불의가 없고 모든 길에 정당하고 옳다”고 제시했을 때, 모세는 그를 최고 신의 위엄까지 올려놓으려고 영웅다운 노력을 기울였다. 그래도, 이 드높은 가르침이 있었는데도, 추종자들의 이해력이 제한된 것은 하나님을 사람 모습을 한 존재로서, 성내고 진노하고 가혹함으로 날뛰며, 아니 복수심에 불타 있고 사람의 행위에 쉽게 영향을 받는 하나님이라고 말하는 것이 필요하게 만들었다.
2001 CM 96:4.7 모세는, “진실하고 죄악이 없으신, 모든 행사가 정당하고 옳으신 하나님”이라고 야훼를 표현했을 때, 그를 최고 신격의 존엄까지 격상시키려는 영웅적인 노력을 했다. 그러나, 이런 고귀한 가르침에도, 추종자들의 제한된 이해력 때문에, 하나님은 사람의 모습을 닮았으며, 분노와 진노와 엄격함을 촉발하기 쉽고, 심지어 복수심이 불타고, 사람의 행위에 쉽게 좌우되는 존재라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
2007 URKA 96:4.7 모세는 “진리이시며 사악한 불의가 없으신, 그의 모든 행사가 공의롭고 옳으신 하느님”으로 그를 표현하였을 때 야훼를 최극 신(神)의 존엄성으로 격상시키려는 영웅적인 노력을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고양된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는 무리들의 제한된 납득 때문에 하느님을 사람의 형상, 화내고 복수하며 혹독하다고 여겨지는 존재로, 그리고 심지어는 복수심이 불타고 사람의 행위에 의해 쉽게 좌우되는 존재인 것처럼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1955 96:4.8 Under the teachings of Moses this tribal nature god, Yahweh, became the Lord God of Israel, who followed them through the wilderness and even into exile, where he presently was conceived of as the God of all peoples. The later captivity that enslaved the Jews in Babylon finally liberated the evolving concept of Yahweh to assume the monotheistic role of the God of all nations.
2000 96:4.8 모세의 가르침 밑에서, 이 부족의 자연신 야웨는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 되었고, 그는 황야를 거쳐서 추방된 곳까지도 그들을 따라갔으며, 거기서 곧 주 하나님은 모든 민족의 하나님이라고 생각되었다. 후일에 유대인이 바빌론에서 종으로서 포로 생활을 한 것은, 만국의 하나님이 되는 일신교의 역할을 맡기 위하여, 진화하는 야웨 개념을 드디어 해방하였다.
2001 CM 96:4.8 모세의 교훈에 따라서, 이 부족의 자연 신{神} 야훼는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 됐는데, 그 야훼는 광야로 나와서 방랑하는 때까지도 그들을 따라왔고, 거기서 곧 주 하나님은 모든 민족의 하나님이라고 여겨졌다. 후일에 유대인이 바벨론에서 노예가 되어 포로생활을 한 덕분에, 진화하는 야훼 개념이 마침내 해방됨으로써, 모든 나라의 하나님이라는 일신교의 역할을 떠맡았다.
2007 URKA 96:4.8 모세의 가르침에 따라서, 부족의 자연계 하느님, 야훼는 이스라엘의 주님 하느님, 그들을 따라 광야로 나오고 방랑할 때까지도 따라오고, 그곳에서 드디어 모든 민족들의 하느님으로 알려진 존재가 되었다. 유대인들을 바빌로니아에서 종으로 만든 후일의 포로 생활은, 야훼에 대한 진화하는 개념을, 모든 나라들의 하느님이신 일신교적 역할을 맡는다고 추정하도록 최종적으로 해방하였다.
2025 96:4.8 모세의 가르침 밑에서, 이 부족의 자연신 야웨는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이 되었고, 그는 황야를 거쳐서 추방된 곳까지도 그들을 따라갔으며, 거기서 곧 주 하나님은 모든 민족들의 하나님이라고 생각되었다. 후일에 유대인이 바빌론에서 종으로서 포로 생활을 한 것은, 만국의 하나님이 되는 일신교의 역할을 맡기 위하여, 진화하는 야웨 개념을 드디어 해방하였다.
1955 96:4.9 The most unique and amazing feature of the religious history of the Hebrews concerns this continuous evolution of the concept of Deity from the primitive god of Mount Horeb up through the teachings of their successive spiritual leaders to the high level of development depicted in the Deity doctrines of the Isaiahs, who proclaimed that magnificent concept of the loving and merciful Creator Father.
2000 96:4.9 히브리인의 종교 역사에서 가장 독특하고 놀라운 모습은 호렙 산의 원시 신으로부터, 뒤이은 영적 지도자들의 가르침을 거쳐서, 두 이사야의 신 교리에 묘사된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기까지, 신 개념이 이렇게 계속 진화한 것과 관계되며, 두 이사야는 사랑이 넘치고 자비로운 창조자 아버지를 묘사하는 훌륭한 개념을 선포했다.
2001 CM 96:4.9 히브리인의 종교 역사에서 가장 독특하고 놀라운 특색은, 호렙 산의 원시 신으로부터, 뒤를 이은 영적 지도자들의 교훈을 거쳐서, 두 이사야의 신격 교리에 묘사된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기까지, 신격 개념이 이렇게 계속 진화한 것과 관계되는데, 두 이사야는, 사랑이 넘치고 자비로운 창조주 하나님을 묘사하는 훌륭한 개념을 선포했다.
2007 URKA 96:4.9 히브리인들의 종교적인 역사에 있어서 가장 독특하고 놀라운 특징은, 호렙산의 원시적인 하느님 개념으로부터, 그들의 뒤를 이은 영적 영도자들의 가르침을 거쳐, 사랑이 많으시고 자비로우신 창조자 하느님에 대한 장엄한 개념을 선포하였던 이사야의 신(神) 교리 속에 묘사된 높은 차원의 발전에 이르기까지, 신(神) 개념의 이와 같은 계속적인 진화와 관계된다.
2025 96:4.9 히브리인의 종교 역사에서 가장 독특하고 놀라운 모습은 호렙 산의 원시 신으로부터, 뒤이은 영적 지도자들의 가르침을 거쳐서, 두 이사야의 신 교리에 묘사된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기까지, 신 개념이 이렇게 계속 진화한 것과 관계되며, 두 이사야는 사랑이 넘치고 자비로운 창조자 아버지를 묘사하는 훌륭한 개념을 선포했다.
5. THE TEACHINGS OF MOSES
5. 모세의 가르침
5. 모세의 교훈
5. 모세의 가르침
5. 모세의 가르침
1955 96:5.1 Moses was an extraordinary combination of military leader, social organizer, and religious teacher. He was the most important individual world teacher and leader between the times of Machiventa and Jesus. Moses attempted to introduce many reforms in Israel of which there is no record. In the space of one man’s life he led the polyglot horde of so-called Hebrews out of slavery and uncivilized roaming while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ubsequent birth of a nation and the perpetuation of a race.
2000 96:5.1 모세는 군대 지도자, 사회 조직자, 종교 스승이 특별히 통합된 사람이었다. 그는 마키벤타와 예수 사이의 시절에, 개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세계적 스승이었다. 모세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개혁 조치를 도입하려고 애썼는데, 이에 관하여 아무 기록이 없다. 한 사람의 일생 동안에, 그는 후일에 한 나라가 탄생하고 한 종족이 영속하기 위한 기초를 놓은 한편, 이른바 히브리인이라고 부르고 여러 나라 말을 쓰는 집단을 노예 신세와 개화되지 않고 방랑하던 처지로부터 이끌어냈다.
2001 CM 96:5.1 모세는, 군사 지도자와 사회 조직가와 종교 선생의 역할이 대단하게 통합된 인물이었다. 그는 마키벤타와 예수 사이의 기간에, 개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세계적 선생이자 지도자였다. 모세는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은 많은 개혁 정책을 이스라엘에 도입하려고 시도했다. 한 사람의 생애 만에, 그는 히브리인이라 불리고 여러 나라 말을 하는 유랑민 무리를 노예 신세와 문명화되지 못하고 방랑하던 처지로부터 이끌어냈고, 차후에 한 나라가 탄생하고 한 종족이 영속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2007 URKA 96:5.1 모세는 군사 영도자, 사회 조직가, 그리고 종교 스승이 비범하게 병합된 사람이었다. 그는 마키벤타와 예수 사이의 기간 동안에 개별존재로서 가장 중요한 세계의 스승이자 영도자였다. 모세는 이스라엘에 지금은 아무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많은 개혁 정책들을 도입하려고 시도하였다. 한 사람의 삶의 기간 동안, 그는 이른바 히브리인이라 불리는 여러 언어의 유목 집단을 노예 상태와 문명화되지 못한 방랑생활에서 벗어나도록 인도하였고 한편으로는 뒤이어 일어난 한 나라의 탄생과 한 종족의 영속에 대한 기초를 놓았다.
2025 96:5.1 모세는 군대 지도자, 사회 조직자, 종교 스승이 특별히 통합된 사람이었다. 그는 마키벤타와 예수 사이의 시절에, 개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세계적 스승이었다. 모세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개혁 조치를 도입하려고 애썼는데, 이에 관하여 아무 기록이 없다. 한 사람의 일생 동안에, 그는 후일에 한 나라가 탄생하고 한 종족이 영속하기 위한 기초를 놓은 한편, 이른바 히브리인이라고 부르고 여러 나라 말을 쓰는 집단을 노예 생활과 미개한 떠돌이 신세로부터 이끌어냈다.
1955 96:5.2 There is so little on record of the great work of Moses because the Hebrews had no written language at the time of the exodus. The record of the times and doings of Moses was derived from the traditions extant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great leader.
2000 96:5.2 탈출하던 당시에 히브리인이 아무 글자가 없었기 때문에, 모세의 큰 업적에 관하여 기록이 거의 없다. 모세의 시절과 그의 행적에 관한 기록은, 그 위대한 지도자가 죽은 지 천년도 더 지나서 존재하던 전통으로부터 내려왔다.
2001 CM 96:5.2 출애굽 당시에는 히브리인에게 글자가 없었으므로, 모세의 위대한 업적에 대한 기록이 매우 희귀하다. 그 시대와 모세의 활동에 대한 기록은, 위대한 지도자가 죽은 후 1,000년 이상 경과한 뒤에, 잔존하는 전승으로부터 유래됐다.
2007 URKA 96:5.2 출애굽 당시에는 히브리인들이 문자 언어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모세의 위대한 업적에 대한 기록이 매우 희귀하다. 그 시대와 모세의 활동에 대한 기록은 그 위대한 영도자가 죽은 후 1,000년 이상이 경과한 후에 잔존하는 전승들로부터 유래되었다.
2025 96:5.2 탈출하던 당시에 히브리인이 아무 글자가 없었기 때문에, 모세의 큰 업적에 관하여 기록이 거의 없다. 모세의 시절과 그의 행적에 관한 기록은, 그 위대한 지도자가 죽은 지 천년도 더 지나서 존재하던 전통으로부터 내려왔다.
1955 96:5.3 Many of the advances which Moses made over and above the religion of the Egyptians and the surrounding Levantine tribes were due to the Kenite traditions of the time of Melchizedek. Without the teaching of Machiventa to Abraham and his contemporaries, the Hebrews would have come out of Egypt in hopeless darkness. Moses and his father-in-law, Jethro, gathered up the residue of the traditions of the days of Melchizedek, and these teachings, joined to the learning of the Egyptians, guided Moses in the creation of the improved religion and ritual of the Israelites. Moses was an organizer; he selected the best in the religion and mores of Egypt and Palestine and, associating these practices with the traditions of the Melchizedek teachings, organized the Hebrew ceremonial system of worship.
2000 96:5.3 모세가 에집트인과 둘러싼 레반트 부족의 종교들보다 앞서서 많이 진행한 것은 멜기세덱 시절의 켄 족속의 전통 때문이었다. 마키벤타가 아브라함, 그리고 같은 시대에 살던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지 않았더라면, 히브리인은 희망 없는 어둠 속에서 에집트에서 나왔을 것이다. 모세와 그의 장인 예드로는 멜기세덱 시절에 있던 전통의 잔재를 거두어 들였고, 이 가르침은 에집트인의 학문과 합쳐서, 이스라엘인의 개량된 종교와 의식을 만들도록 모세를 인도하였다. 모세는 조직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에집트와 팔레스타인의 종교와 도덕 관습에서 최선을 선택하였고, 이 풍습을 멜기세덱의 가르침에서 내려온 전통과 연결짓고서, 히브리인의 예배 의식 체계를 만들었다.
2001 CM 96:5.3 모세가 이집트인과 주변의 레반트 부족들의 종교보다 앞서서 이룩한 진보 가운데 다수는, 멜기세덱 시대의 겐족속 전승 때문이었다. 아브라함과 그의 동시대{同時代} 사람에게 마키벤타가 가르침을 주지 않았다면, 히브리인은 아무 희망 없는 암흑 속에서 이집트를 빠져나왔을 것이다. 모세와 그의 장인 이드로는, 멜기세덱 시대의 전승 가운데 남은 것들을 수집했고, 이 교훈은 이집트인의 학문과 결합되어 이스라엘족속의 개량된 종교와 제례식을 창안하도록 모세를 인도했다. 모세는 조직가였으며;이집트와 팔레스틴의 종교 및 사회관행에서 가장 우수한 것들을 선택했고, 이 풍습을 멜기세덱 교훈의 전승과 결합시켜서, 히브리인 경배 예식절차 체계를 조직했다.
2007 URKA 96:5.3 모세가 이집트인들과 주변의 레반트 지역 부족들보다 뛰어나게 만들었던 대부분의 진보들은 멜기세덱 시대의 켄-사람 전승들로부터 기인된 것이었다. 마키벤타가 아브라함과 그의 동 시대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지 않았다면, 히브리인들은 아무 희망도 없는 암흑 속에서 이집트를 빠져나왔을 것이다. 모세와 그의 장인 이드로는 멜기세덱 시대의 전승들 중에서 남은 것들을 수집하였고, 이 교훈들은 이집트인들의 학문과 결합되어 이스라엘 사람들의 종교와 예식을 개선하는 창안에 있어서 모세를 안내해 주었다. 모세는 조직가였으며;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의 종교 그리고 사회관례들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것들을 선택하였고, 이 실천 관행들을 멜기세덱 교훈의 전승들과 결합시켜서, 히브리의 경배 예식 체계를 조직하였다.
2025 96:5.3 모세가 에집트인과 둘러싼 레반트 부족의 종교들보다 앞서서 많이 진행한 것은 멜기세덱 시절의 켄 족속의 전통 때문이었다. 마키벤타가 아브라함, 그리고 같은 시대에 살던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지 않았더라면, 히브리인은 희망 없는 어둠 속에서 에집트에서 나왔을 것이다. 모세와 그의 장인 예드로는 멜기세덱 시절에 있던 전통의 잔재를 거두어 들였고, 이 가르침은 에집트인의 학문과 합쳐서, 이스라엘인의 개량된 종교와 의식을 만들도록 모세를 인도하였다. 모세는 조직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에집트와 팔레스타인의 종교와 도덕 관습에서 최선을 선택하였고, 이 풍습을 멜기세덱의 가르침에서 내려온 전통과 연결짓고서, 히브리인의 예배 의식 체계를 만들었다.
1955 96:5.4 Moses was a believer in Providence; he had become thoroughly tainted with the doctrines of Egypt concerning the supernatural control of the Nile and the other elements of nature. He had a great vision of God, but he was thoroughly sincere when he taught the Hebrews that, if they would obey God, “He will love you, bless you, and multiply you. He will multiply the fruit of your womb and the fruit of your land—the corn, wine, oil, and your flocks. You shall be prospered above all people, and the Lord your God will take away from you all sickness and will put none of the evil diseases of Egypt upon you.” He even said: “Remember the Lord your God, for it is he who gives you the power to get wealth.” “You shall lend to many nations, but you shall not borrow. You shall reign over many nations, but they shall not reign over you.”
2000 96:5.4 모세는 섭리를 믿는 사람이었다. 그는 초자연의 힘이 나일 강과 자연의 다른 요소들을 통제한다는 에집트의 교리에 흠뻑 젖게 되었다. 그는 하나님에 관하여 큰 환상을 가졌지만, 속속들이 진지한 마음으로 이렇게 가르쳤다. 히브리인이 하나님께 복종하면, “그는 너희를 사랑하고 복을 주고 수를 늘리리라. 그는 너희 자궁의 열매와 너희 땅의 소산(所産)―옥수수와 포도주, 기름과 너희 양 떼―를 늘이리라. 너희를 모든 민족보다 번성하게 만들고, 주 너희 하나님은 너희한테서 모든 병을 떠나게 하고, 에집트의 나쁜 병 중에 아무것도 너희에게 내리지 아니하리라.” 모세는 이렇게까지 말했다: “주 너희 하나님을 기억하라, 이는 그가 재산을 얻을 힘을 너희에게 주심이라.” “너희는 뭇 나라에게 빌려 주어도, 너희는 빌리지 아니하리라. 너희는 많은 나라를 다스릴지나 저희는 너희 위에 다스리지 못할지니라.”
2001 CM 96:5.4 모세는 섭리를 믿었으며;초자연적 힘이 나일 강 및 다른 자연 요소들을 통제한다는 이집트 교리로 철저히 오염됐었다. 그는 하나님에 대해 대단한 식견을 가졌으나, 더할 나위 없이 진지한 마음으로 히브리인에게 이렇게 가르쳤다:하나님께 복종하면, “그가 너희를 사랑하고 축복하시며 창대하게 하실 것이다. 그가 너희 태{胎}의 열매와 너희 땅의 소산물을--곧 곡식, 포도주, 기름, 가축 떼를-- 배가시킬 것이다. 너희는 모든 민족보다 번영할 것이며, 너희 하나님이신 주께서 너희의 모든 병을 물리치고, 이집트의 악한 질병들 중에서 하나도 임하지 않게 하실 것이다.” 그는 심지어:“너희 하나님이신 주를 기억하라, 그가 너희에게 재물 얻는 능력을 주시기 때문이다.” “너희는 여러 민족에게 빌려주겠으나, 너희는 빌리지 않을 것이다. 너희는 여러 민족을 다스리겠으나, 그들은 너희를 다스리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7 URKA 96:5.4 모세는 섭리를 믿는 자였으며; 나일과 다른 자연적 요소들에 대한 초자연적 통제와 관련하여 이집트의 교리들에 의해 이미 속속들이 물들어 있었다. 그는 하느님에 대해 위대한 통찰력을 가졌지만, 히브리인들에게 그들이 만일 하느님께 복종하면 “그가 너희를 사랑하시고 너희에게 복을 주시며 너희를 창대하게 하실 것이다. 그가 너희 태(胎)의 열매와 너희 땅의 소산─곡식, 포도주, 기름, 가축 떼─을 배가시키실 것이다. 너희는 모든 민족보다 더욱 번영할 것이며, 너희 하느님이신 주님께서 모든 질병을 너희로부터 물리치시고 이집트의 악한 질병들이 하나도 너희에게 임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가르쳤을 때 그는 너무나도 진지하였다. 그는 또 이렇게 말하기까지 하였다: “너희 하느님이신 주님을 기억하라, 왜냐하면 그가 너희에게 부유하게 될 수 있는 능력을 주시기 때문이다.” “너희는 여러 나라들에게 빌려주겠으나, 너희는 빌리지 않을 것이다. 너희는 여러 나라들을 다스리겠지만 너희는 다스림을 받지 않을 것이다.”
2025 96:5.4 모세는 섭리를 믿는 사람이었다. 그는 초자연의 힘이 나일 강과 자연의 다른 요소들을 통제한다는 에집트의 교리에 흠뻑 젖게 되었다. 그는 하나님에 관하여 큰 환상을 가졌지만, 속속들이 진지한 마음으로 이렇게 가르쳤다. 히브리인이 하나님께 복종하면, “그는 너희를 사랑하고 복을 주고 수를 늘리리라[24]. 그는 너희 자궁의 열매와 너희 땅의 소산(所産) ― 옥수수와 포도주, 기름과 너희 양 떼 ― 를 늘이리라
[25]. 너희를 모든 민족보다 번성하게 만들고, 주 너희 하나님은 너희한테서 모든 병을 떠나게 하고, 에집트의 나쁜 병 중에 아무것도 너희에게 내리지 아니하리라.” 모세는 이렇게까지 말했다: “주 너희 하나님을 기억하라, 이는 그가 재산을 얻을 힘을 너희에게 주심이라
[26].” “너희는 뭇 나라에게 빌려주어도, 너희는 빌리지 아니하리라. 너희는 많은 나라를 다스릴지나 저희는 너희 위에 다스리지 못 할지니라.”
1955 96:5.5 But it was truly pitiful to watch this great mind of Moses trying to adapt his sublime concept of El Elyon, the Most High, to the comprehension of the ignorant and illiterate Hebrews. To his assembled leaders he thundered, “The Lord your God is one God; there is none beside him”; while to the mixed multitude he declared, “Who is like your God among all the gods?” Moses made a brave and partly successful stand against fetishes and idolatry, declaring, “You saw no similitude on the day that your God spoke to you at Horeb out of the midst of the fire.” He also forbade the making of images of any sort.
2000 96:5.5 그러나 이 위대한 인간 모세가 무지하고 무식한 히브리인이 알아듣도록 그의 드높은 엘 엘리욘, 최고자 개념을 적응하려고 애쓰는 것을 구경하기는 참으로 딱했다. 모여든 지도자들에게 그는 우뢰처럼 소리쳤다, “주 너희 하나님은 유일한 하나님이요, 그 외에 아무도 없느니라.” 한편 혼합된 군중에게 선포했다, “모든 신 가운데 누가 너희의 하나님과 같으리오?” 모세는 용감하게 주물과 우상 숭배에 저항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고, 이렇게 선언했다, “호렙 산에서 불 한가운데서 너희 하나님이 너희에게 말씀하신 날, 너희는 아무 모습을 구경하지 못하였도다.” 그는 또한 어떤 종류의 형상을 만드는 것도 금했다.
2001 CM 96:5.5 그러나, 무지하고 무식한 히브리인이 납득하도록, 엘 엘리온 곧 지고자에 대한 자신의 고귀한 개념을 조화시키려고, 위대한 정신을 지닌 이 모세가 애쓰는 모습은 정말로 애처로웠다. 그는 모여 있는 지도자들에게, “너희 주 하나님은 유일하신 하나님이시며;그 외에 다른 하나님은 없다”고 우레같이 소리쳤고, 한편 혼합된 군중을 향해서는, “모든 신 중에서 너희 하나님 같으신 이가 누구냐?”고 선언했다. 모세는, 주물과 우상 숭배에 용감하게 대항하는 데 어느 정도는 성공했고, “하나님이 불 가운데로부터 나와서 호렙 산에서 너희에게 말씀하신 그날에 견줄만한 것을 너희가 본 일이 없다”고 선언했다. 또한 그는 어떤 종류의 형상도 만들지 못하도록 금지시켰다.
2007 URKA 96:5.5 그러나 위대한 마음을 소유한 이 모세가 무지하고 무식한 히브리인들이 이해하도록, 엘 엘리온, 지고자에 대한 자신의 고귀한 개념을 적응시키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는 것은 정말로 가엾은 일이었다. 모여 있는 자신의 영도자들에게 그는 “너희 하느님이신 주님은 유일하신 하느님이시며; 그 외에는 다른 하느님이 없다”라고 외친 반면, 혼합된 군중들을 향해서는 “모든 하느님들 중에서 너희 하느님 같으신 이가 누구이냐?”라고 선언하였다. 모세는 주물과 우상 숭배에 대항하는 일에 용감하였고 부분적으로는 성공하는 위치를 굳혔는데, 그는 “하느님께서 불 가운데에서 나와 호렙산에서 너희에게 말씀하신 그 날에 견줄만한 것을 너희가 본 일이 없다”라고 선언하였다. 또한 그는 어떤 종류의 형상도 만들지 못하도록 금지시켰다.
2025 96:5.5 그러나 이 위대한 인간 모세가 무지하고 무식한 히브리인이 알아듣도록 그의 드높은 엘 엘리욘, 최고자 개념을 적응하려고 애쓰는 것을 구경하기는 참으로 딱했다. 모여든 지도자들에게 그는 우뢰처럼 소리쳤다, “주 너희 하나님은 유일한 하나님이요, 그 외에 아무도 없느니라[27][28][29].” 한편 혼합된 군중에게 선포했다, “모든 신 가운데 누가 너희의 하나님과 같으리오?” 모세는 용감하게 주물과 우상 숭배에 저항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고, 이렇게 선언했다, “호렙 산에서 불 한가운데서 너희 하나님이 너희에게 말씀하신 날, 너희는 아무 모습을 구경하지 못하였도다
[30].” 그는 또한 어떤 종류의 형상을 만드는 것도 금했다.
1955 96:5.6 Moses feared to proclaim the mercy of Yahweh, preferring to awe his people with the fear of the justice of God, saying: “The Lord your God is God of Gods, and Lord of Lords, a great God, a mighty and terrible God, who regards not man.” Again he sought to control the turbulent clans when he declared that “your God kills when you disobey him; he heals and gives life when you obey him.” But Moses taught these tribes that they would become the chosen people of God only on condition that they “kept all his commandments and obeyed all his statutes.”
2000 96:5.6 모세는 야웨가 자비롭다고 선포하기를 두려워했고, “주 너희 하나님은 가장 높은 신이요, 가장 높은 주, 위대한 하나님, 막강하고 무서운 하나님이요, 사람을 중시하지 않으시니라”하고 말하면서, 하나님의 응보를 두려워하여 그의 민족이 경외감에 빠지게 만들기를 더 좋아했다. 또 “너희가 복종하지 않을 때 너희 하나님은 죽이시니라. 너희가 복종할 때 그는 너희를 고치고 생명을 주시니라”하고 선포하면서, 그는 난폭한 씨족들을 다루려고 애썼다. 그러나 모세는 이 부족들이 “그의 모든 계명을 지키고 모든 계율에 복종하는” 조건으로 그들이 하나님이 택한 백성이 될 것이라고 그들에게 가르쳤다.
2001 CM 96:5.6 모세는, 야훼가 자비롭다고 선포하기를 두려워했고, 하나님의 응보를 두려워하게 하여 민족을 다스리기를 선호했기 때문에 이렇게 말했다:“주 너희 하나님은 가장 높은 하나님이시고, 가장 높은 주, 위대한 하나님, 강력하고 무서운 하나님이요, 사람을 하찮게 여기신다.” 게다가 그는, “너희가 하나님께 복종하지 않으면 그가 너희를 죽이실 것이며;너희가 복종하면 고쳐주고 생명을 주실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거친 씨족들을 통제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모세는, 오직 “그의 모든 계명을 지키고 모든 법령에 복종하는” 조건에서만, 이 부족들이 하나님의 선택받은 민족이 되리라고 가르쳤다.
2007 URKA 96:5.6 모세는 야훼의 자비를 선포하는 것을 두려워하였고, 오히려 그는 말하기를: “주님이신 너희 하느님은 하느님 중 하느님이시며, 주님중의 주님이시며, 사람을 중히 여기지 아니하는, 위대하신 하느님, 막강하고 무서운 하느님이시다.” 라고 말하면서 두려움과 공의의 하느님으로 자기 민족을 겁먹게 하는 것을 더 좋아했다. 다시 말해서, 그는 “너희가 너희 하느님에게 복종하지 않으면 그가 너희를 죽이실 것이다; 너희가 그에게 복종하면 고쳐주고 생명을 주실 것이다”라고 선언하면서, 거친 씨족들을 통제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모세는 이 부족들에게 그들이 오직 “그의 모든 법규들에 복종하고 그의 모든 계명들을 지키는” 조건에서만 하느님의 선택받은 민족이 될 것이라고 가르쳤다.
2025 96:5.6 모세는 야웨가 자비롭다고 선포하기를 두려워했고, “주 너희 하나님은 가장 높은 신이요, 가장 높은 주, 위대한 하나님, 막강하고 무서운 하나님이요, 사람을 중시하지 않으시니라” 하고 말하면서, 하나님의 응보를 두려워하여 그의 민족이 경외감에 빠지게 만들기를 더 좋아했다[31]. 또 “너희가 복종하지 않을 때 너희 하나님은 죽이시니라
[32]. 너희가 복종할 때 그는 너희를 고치고 생명을 주시니라”하고 선포하면서, 그는 난폭한 씨족들을 다루려고 애썼다
[33][34]. 그러나 모세는 이 부족들이 “그의 모든 계명을 지키고 모든 계율에 복종하는” 조건으로 그들이 하나님이 택한 백성이 될 것이라고 그들에게 가르쳤다.
1955 96:5.7 Little of the mercy of God was taught the Hebrews during these early times. They learned of God as “the Almighty; the Lord is a man of war, God of battles, glorious in power, who dashes in pieces his enemies.” “The Lord your God walks in the midst of the camp to deliver you.” The Israelites thought of their God as one who loved them, but who also “hardened Pharaoh’s heart” and “cursed their enemies.”
2000 96:5.7 이 옛 시절에 히브리인은 하나님의 자비로움에 대하여 거의 가르침을 받지 않았다. 그들은 “전능자요, 주는 전쟁하는 이, 전쟁의 하나님이요, 권능이 영화롭고, 그의 적들을 가루로 만드시는” 하나님에 대하여 배웠다. “주 너희 하나님은 너희를 구원하려고 장막 가운데서 걸으시니라.”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사랑했지만, 또한 “파라오의 마음을 굳어지게 만들고,” “그들의 적을 저주하는” 분이라고 생각했다.
2001 CM 96:5.7 이 초기 시절에 히브리인은 하나님의 자비를 거의 배우지 못했다. 그들은 하나님이 “전능자요;주는 전쟁하는 이 곧 전쟁터의 하나님이요, 적들을 궤멸시키는 영광스런 권능의 존재”라고 배웠다. “너희의 주 하나님은 너희를 구출하기 위해 진영{陣營} 한 가운데서 행하신다.” 이스라엘족속은, 하나님이 자기들을 사랑하지만, 또한 “바로의 마음을 강퍅하게 만들고” “적을 저주하는” 분이라고 생각했다.
2007 URKA 96:5.7 이러한 초기시대 동안 하느님의 자비는 히브리인들에게 거의 가르쳐지지 않았다. 그들은 하느님을 “전능자; 주님은 전쟁의 사람, 자기 적들을 궤멸시키는, 힘으로 영광스러운 전쟁터의 하느님”으로 배웠다. “너희 하느님이신 주님은 너희를 구원하시기 위해 진영 한 가운데에서 행하신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기들의 하느님을 자신들을 사랑하시는 분이라고 생각하였지만, 그는 또한 “무정한 바로의 가슴”을 갖고 “그들의 적을 저주하는” 존재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1955 96:5.8 While Moses presented fleeting glimpses of a universal and beneficent Deity to the children of Israel, on the whole, their day-by-day concept of Yahweh was that of a God but little better than the tribal gods of the surrounding peoples. Their concept of God was primitive, crude, and anthropomorphic; when Moses passed on, these Bedouin tribes quickly reverted to the semibarbaric ideas of their olden gods of Horeb and the desert. The enlarged and more sublime vision of God which Moses every now and then presented to his leaders was soon lost to view, while most of the people turned to the worship of their fetish golden calves, the Palestinian herdsman’s symbol of Yahweh.
2000 96:5.8 모세는 이스라엘의 아들딸에게 우주적이며 인자한 신을 얼핏 보여주었지만, 대체로, 그들의 일상적 야웨 개념은 둘러싼 민족들의 부족 신보다 거의 낫지 않은 하나님 개념이었다. 그들의 하나님 개념은 원시적이고 투박하고, 사람과 비슷하였다. 모세가 죽었을 때, 이 베두인 부족들은 옛날 호렙 산과 사막의 신들의 개념, 어느 정도 미개한 관념으로 재빨리 되돌아갔다. 모세가 지도자들에게 이따금 제시한 환상, 확대되고 더 숭고한 하나님의 환상은 곧 눈앞에서 사라졌고,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주물이었던 금송아지 숭배로 돌아섰는데, 이것은 팔레스타인 목자들에게 야웨의 상징이었다.
2001 CM 96:5.8 모세는, 우주적이고 인자한 신격을 이스라엘 자녀들에게 거의 보여주지 못한 반면, 그들의 일상적 야훼 개념은 대체로, 주변에 있는 민족들의 부족 신들보다 나을 것이 거의 없는 하나님 개념이었다. 그들의 하나님 개념은, 원시적이고, 미숙하고, 사람의 모습을 닮은 상태였으며;모세가 죽은 후에 이 베두인 부족들은, 자신들이 그전에 섬겼던 호렙 산과 사막의 신들에 대한, 어느 정도 미개한 관념으로 신속히 돌아갔다. 모세가 지도자들에게 수시로 제시했던, 확장된 더 탁월한 하나님에 대한 환상은 곧 사라졌으며, 한편 대부분의 사람은 그들의 주물이었던 금송아지 숭배로 돌아섰는데, 금송아지는 팔레스틴 목동들에게 야훼를 상징했다.
2007 URKA 96:5.8 모세가 이스라엘의 자녀들에게 우주적이고 인정 많은 신(神)을 거의 보여주지 못한 반면, 전체적으로 볼 때, 야훼에 대한 일상적인 개념은 하느님에 대한 것이기는 하였지만 주변에 있는 민족들의 부족 하느님들보다 나을 것이 거의 없었다. 하느님에 대한 그들의 개념은 원시적이고 미숙하고, 사람모습의-신(神)이였으며; 모세가 죽은 후에는 이 베도윈 부족들은 자신들이 그 전에 섬겼던 호렙산과 사막의 하느님들에 대한 반(半)야만적인 관념들로 신속하게 되돌아갔다. 모세가 자기 영도자들에게 수시로 제시하였던 하느님에 대한 더욱 확대되고 탁월하였던 통찰력은 곧 보이지 않게 되었으며, 반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야훼에 대한 팔레스타인 목동들의 상징물인 금송아지로 만든 그들의 주물을 경배하는 쪽으로 되돌아갔다.
2025 96:5.8 모세는 이스라엘의 아들딸에게 우주적이며 인자한 신을 얼핏 보여주었지만, 대체로, 그들의 일상적 야웨 개념은 둘러싼 민족들의 부족 신보다 거의 낫지 않은 하나님 개념이었다. 그들의 하나님 개념은 원시적이고 투박하고, 사람과 비슷하였다. 모세가 죽었을 때, 이 베두인 부족들은 옛날 호렙 산과 사막의 신들의 개념, 어느 정도 미개한 관념으로 재빨리 되돌아갔다. 모세가 지도자들에게 이따금 제시한 환상, 확대되고 더 숭고한 하나님의 환상은 곧 눈앞에서 사라졌고,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주물이었던 금송아지 숭배로 돌아섰는데, 이것은 팔레스타인 목자들에게 야웨의 상징이었다.
1955 96:5.9 When Moses turned over the command of the Hebrews to Joshua, he had already gathered up thousands of the collateral descendants of Abraham, Nahor, Lot, and other of the related tribes and had whipped them into a self-sustaining and partially self-regulating nation of pastoral warriors.
2000 96:5.9 모세가 히브리인의 지휘를 요수아에게 넘겼을 때, 모세는 아브라함ㆍ나홀ㆍ롯의 간접 자손, 그리고 관계된 다른 부족들 안에서 몇천 명을 이미 모았고, 그들을 채찍질하여 스스로 지탱하고 어느 정도 자치하며 목자 생활을 하는 투사들의 민족으로 만들었다.
2001 CM 96:5.9 모세가 히브리인에 대한 지휘권을 예슈아{여호수아}에게 넘겼을 때, 모세는 이미 아브라함과 나홀과 롯의 친족 후손들, 그리고 관계된 다른 부족들 중에서 수천 명을 모았고, 그들을 채찍질하여, 스스로 지탱하고 어느 정도 자치하면서 목축을 하는 전사{戰士}들의 민족이 되도록 했다.
2007 URKA 96:5.9 모세가 히브리인들에 대한 지휘권을 여호수아에게 넘겨주었을 때, 그는 이미 아브라함과 나홀과 롯 그리고 관련된 부족들의 다른 수천 명의 방계 후손들을 모아놓은 상태에 있었으며 그들을 고쳐서 자아-지탱이 되게 하였고 목축을 하는 전사들로 구성된 부분적으로 자아-규율하는 민족이 되게 하였다.
2025 96:5.9 모세가 히브리인의 지휘를 요수아에게 넘겼을 때, 모세는 아브라함ㆍ나홀ㆍ롯의 간접 자손, 그리고 관계된 다른 부족들 안에서 몇천 명을 이미 모았고, 그들을 채찍질하여 스스로 지탱하고 어느 정도 자치하며 목자 생활을 하는 투사들의 민족으로 만들었다.
6. THE GOD CONCEPT AFTER MOSES’ DEATH
6. 모세가 죽은 뒤의 하나님 개념
6. 모세가 죽은 후의 하나님 개념
6. 모세가 죽은 이후의 하느님 개념
6. 모세가 죽은 뒤의 하나님 개념
1955 96:6.1 Upon the death of Moses his lofty concept of Yahweh rapidly deteriorated. Joshua and the leaders of Israel continued to harbor the Mosaic traditions of the all-wise, beneficent, and almighty God, but the common people rapidly reverted to the older desert idea of Yahweh. And this backward drift of the concept of Deity continued increasingly under the successive rule of the various tribal sheiks, the so-called Judges.
2000 96:6.1 모세가 죽고 나서 그의 드높은 야웨 개념은 재빨리 질이 나빠졌다. 요수아와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온통 지혜롭고 인자하고 전능한 하나님을 믿는 모세의 전통을 계속 간직했지만, 서민들은 사막에서 가졌던 더 오래 된 야웨 개념으로 재빨리 돌아갔다. 신 개념의 이러한 후퇴는 여러 부족의 족장, 이른바 판관들이 연달아 통치하는 동안에 더욱 계속되었다.
2001 CM 96:6.1 모세가 죽자, 그의 고상한 야훼 개념은 급속도로 타락했다. 예슈아와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온전히-지혜롭고 인정 많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는 모세의 전통을 계속 간직했으나, 일반 대중은 사막에서 가졌던 옛 야훼 개념으로 신속히 돌아갔다. 그리고 신격 개념이 이렇게 퇴보하는 경향은, 소위 사사{士師}라는 다양한 부족 족장이 연달아 통치하는 동안에 갈수록 심해졌다.
2007 URKA 96:6.1 모세가 숨을 거두게 되자 야훼에 대한 그의 고상한 개념은 급속도로 저하되었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의 영도자들은 전지하고 인정이 많으며 전능하신 하느님에 관한 모세의 전통들을 계속하여 품고 있었지만, 일반 대중들은 야훼에 대한 옛날의 사막에서의 관념으로 신속하게 되돌아갔다. 그리고 신(神)에 대한 이러한 퇴보 경향은 소위 판관들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부족 족장들의 연속되는 통치 밑에서 계속하여 점점 더 증가하였다.
2025 96:6.1 모세가 죽고 나서 그의 드높은 야웨 개념은 재빨리 질이 나빠졌다. 요수아와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온통 지혜롭고 인자하고 전능한 하나님을 믿는 모세의 전통을 계속 간직했지만, 서민들은 사막에서 가졌던 예전의 야웨 개념으로 재빨리 돌아갔다. 신 개념의 이러한 후퇴는 여러 부족의 족장, 이른바 판관들이 연달아 통치하는 동안에 더욱 계속되었다.
1955 96:6.2 The spell of the extraordinary personality of Moses had kept alive in the hearts of his followers the inspiration of an increasingly enlarged concept of God; but when they once reached the fertile lands of Palestine, they quickly evolved from nomadic herders into settled and somewhat sedate farmers. And this evolution of life practices and change of religious viewpoint demanded a more or less complete change in the character of their conception of the nature of their God, Yahweh. During the times of the beginning of the transmutation of the austere, crude, exacting, and thunderous desert god of Sinai into the later appearing concept of a God of love, justice, and mercy, the Hebrews almost lost sight of Moses’ lofty teachings. They came near losing all concept of monotheism; they nearly lost their opportunity of becoming the people who would serve as a vital link in the spiritual evolution of Urantia, the group who would conserve the Melchizedek teaching of one God until the times of the incarnation of a bestowal Son of that Father of all.
2000 96:6.2 모세라는 특별한 인물의 마력은 더욱 확대된 하나님 개념의 영감을그 추종자들의 마음 속에서 살려 두었다. 그러나 일단 팔레스타인의 기름진 땅에 다다르자, 그들은 양을 치던 유목민 처지에서, 정착하여 얼마큼 주저앉은 농부로 재빨리 바뀌었다. 이러한 생활 풍습의 진화와 종교 관점의 변화는 그들이 하나님, 야웨의 성품에 대하여 가진 개념의 특징에 얼마큼 철저한 변화를 요구했다. 시나이에 있던 엄격하고 투박하고 가혹하고 천둥처럼 소리치는 사막의 신(神)이 나중에 나타나는 개념, 사랑과 응보와 자비의 하나님 개념으로 성질이 변하기 시작하는 시절에, 히브리인은 모세의 드높은 가르침을 거의 잃어버렸다. 일신교의 모든 개념을 거의 잃어버리다시피 하였다. 그들은 유란시아의 영적 진화에서 불가결한 고리로서 수고할 민족, 멜기세덱이 가르친 유일한 하나님을 바로 그 만물의 아버지의 수여 아들이 육신화하기까지 보존할 집단이 되는 기회를 거의 잃어버릴 뻔하였다.
2001 CM 96:6.2 모세라는 비범한 인물의 매력이, 점점 확장되는 하나님 개념의 영감{靈感}을 추종자들의 마음 속에 생생하게 유지시켰지만;그들이 일단 팔레스틴의 비옥한 땅에 도착하자, 유목민 목축업자에서 재빨리 변화하여, 기틀이 잡히고 어느 정도 안정된 농민이 됐다. 그리고 이런 생활 풍습의 진화와 종교 관점의 변화는, 그들의 하나님인 야훼의 본성에 대한 개념의 특성에 다소 전면적인 변화를 요구했다. 시내 산의 엄격하고 미숙하고 가혹하고 우레같이 소리치는 사막의 신{神}이 변형되어, 후대에 나타난, 사랑과 응보와 자비의 하나님 개념으로 바뀌는 동안에, 히브리인은 모세의 고귀한 교훈을 거의 잊게 됐다. 그들은 일신교 개념을 거의 다 잃어버렸으며;유란시아의 영적 진화에서 지극히 중대한 연결고리 역할을 감당하게 될 민족, 즉 만유의 아버지의 증여 아들이 육신화하기까지, 유일하신 하나님에 대한 멜기세덱의 가르침을 보존하는 집단이 될 기회를 거의 잃어버릴 뻔했다.
2007 URKA 96:6.2 모세의 비범한 개인성에 대한 매력은 그의 추종자들의 가슴속에 하느님에 대한 점점 더 확대되는 개념의 통찰력을 생생하게 유지시켰었지만; 그러나 그들이 일단 팔레스타인의 비옥한 땅에 도착하게 되자, 그들은 유목민 목축업자로부터 재빨리 진화하여 기틀이 잡히고 어느 정도 안정된 농민들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생 실천 관행의 진화와 종교적인 관점의 변화는 그들의 하느님인 야훼의 본성에 대한 그들의 개념의 성격에 다소 완성된 변화를 요구하였다. 시나이 산의 엄격하고 미숙하고 가혹하고 우뢰 같이 소리치는 광야 하느님이 변형되어, 후대에 나타난 사랑과 공의 그리고 자비의 하느님의 개념으로 바뀌는 동안, 히브리인들은 모세의 고귀한 교훈들을 거의 잊게 되었다. 그들은 유일신교의 개념을 거의 다 잃어버리게 되었다; 유란시아의 영적인 진화에 있어서 지극히 중대한 연결 고리 역할을 감당하게 될 민족, 만유의 아버지의 증여된 아들의 육신화 시기까지 유일하신 하느님에 대한 멜기세덱 교훈을 보존할게 될 집단이 될 기회를 거의 잃어버리게 되었다.
2025 96:6.2 모세라는 특별한 인물의 마력은 더욱 확대된 하나님 개념의 영감을 그 추종자들의 마음 속에서 살려 두었다. 그러나 일단 팔레스타인의 기름진 땅에 다다르자, 그들은 양을 치던 유목민 처지에서, 정착하여 얼마큼 주저앉은 농부로 재빨리 바뀌었다. 이러한 생활 풍습의 진화와 종교 관점의 변화는 그들이 하나님, 야웨의 성품에 대하여 가진 개념의 특징에 얼마큼 철저한 변화를 요구하였다. 시나이에 있던 엄격하고 투박하고 가혹하고 천둥처럼 소리치는 사막의 신(神)이 나중에 나타나는 개념, 사랑과 응보와 자비의 하나님 개념으로 성질이 변하기 시작하는 시절에, 히브리인은 모세의 드높은 가르침을 거의 잃어버렸다. 일신교의 모든 개념을 거의 잃어버리다시피 하였다. 그들은 유란시아의 영적 진화에서 불가결한 고리로서 수고할 민족, 멜기세덱이 가르친 유일한 하나님을 바로 그 만물의 아버지의 수여 아들이 육신화하기까지 보존할 집단이 되는 기회를 거의 잃어버릴 뻔하였다.
1955 96:6.3 Desperately Joshua sought to hold the concept of a supreme Yahweh in the minds of the tribesmen, causing it to be proclaimed: “As I was with Moses, so will I be with you; I will not fail you nor forsake you.” Joshua found it necessary to preach a stern gospel to his disbelieving people, people all too willing to believe their old and native religion but unwilling to go forward in the religion of faith and righteousness. The burden of Joshua’s teaching became: “Yahweh is a holy God; he is a jealous God; he will not forgive your transgressions nor your sins.” The highest concept of this age pictured Yahweh as a “God of power, judgment, and justice.”
2000 96:6.3 절망에 빠져서 요수아는 부족 사람들의 머리 속에 최고의 야웨 개념을 유지하려고 애썼고, 야웨가 “내가 모세와 함께 한 것 같이, 나는 너희와 함께 하리라. 나는 너희를 놓치거나 버리지 아니하리라”하고 선언하게 만들었다. 요수아는 믿지 않는 민족에게 엄격한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필요함을 깨달았고, 이 민족은 그들의 옛 토착 종교를 아주 기꺼이 믿으면서, 신앙과 의로움을 부르짖는 종교에서 전진하려 하지 않았다. 요수아의 가르침의 요점은 이렇게 되었다: “야웨는 거룩한 하나님이요, 질투하는 하나님이라. 그는 너희가 규칙 어긴 것이나 너희의 죄를 잊지 아니하리라.” 이 시대에 가장 높은 개념은 야웨를 “권능과 심판과 응보의 하나님”으로 묘사하였다.
2001 CM 96:6.3 예슈아는 절망적 상태가 되어, 부족원의 정신 속에 지존자 야훼 개념을 유지시키려 애썼고, 그 결과로 이렇게 선포했다:“내가 모세와 함께 했듯이, 나는 너희와 함께 있을 것이며;너희를 실망시키지 않고 버리지도 않을 것이다.” 예슈아는, 믿지 않는 자기 민족에게 단호한 복음을 전하는 것이 필요함을 깨달았는데,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가졌던 원래의 옛 종교를 아주 기꺼이 믿으려했으나, 신앙과 정의를 찾는 종교에서는 한 발짝도 나가지 않으려고 했다. 예슈아의 가르침의 요지는 이랬다:“야훼는 거룩하신 하나님이며;질투하는 하나님이며;너희의 범죄와 죄악을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이 시대에 가장 높았던 개념은, 야훼를 “권능과 심판과 응보의 하나님”으로 묘사했다.
2007 URKA 96:6.3 여호수아는 절망적인 상태가 되어, 부족들의 마음속에 최극 야훼의 개념을 유지시키려고 애썼으며, 그 결과로 이렇게 선포하였다: “내가 모세와 함께 하였던 것처럼, 너희와 함께 있을 것이다; 너희를 실망시키지 않고 버리지도 않을 것이다.” 여호수아는 믿지 아니하는 자기 민족에게 단호한 복음을 전할 필요를 발견하였는데, 사람들은 모두 자신들이 가졌던 옛날의 기원적 종교를 너무나도 기꺼이 믿으려고 하였지만, 신앙과 정의를 찾는 종교에서는 한 발자국도 나가지 않으려고 하였다. 여호수아의 가르침이 주는 부담은 이러하였다: “야훼는 거룩하신 하느님이시며; 질투하시는 하느님이시고; 너희의 범죄와 죄악을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이 시대의 가장 높은 개념은 야훼를 “능력과 심판과 공의의 하느님”으로 묘사하였다.
2025 96:6.3 절망에 빠져서 요수아는 부족 사람들의 머리 속에 최고의 야웨 개념을 유지하려고 애썼고, 야웨가 “내가 모세와 함께 한 것 같이, 나는 너희와 함께 하리라[39]. 나는 너희를 놓치거나 버리지 아니하리라”하고 선언하게 만들었다. 요수아는 믿지 않는 민족에게 엄격한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필요함을 깨달았고, 이 민족은 그들의 옛 토착 종교를 아주 기꺼이 믿으면서, 신앙과 의로움의 종교에서 전진하려 하지 않았다
[40]. 요수아의 가르침의 요점은 이렇게 되었다: “야웨는 거룩한 하나님이요, 질투하는 하나님이라
[41]. 그는 너희가 규칙 어긴 것이나 너희의 죄를 잊지 아니하리라.” 이 시대에 가장 높은 개념은 야웨를 “권능과 심판과 응보의 하나님”으로 묘사하였다.
1955 96:6.4 But even in this dark age, every now and then a solitary teacher would arise proclaiming the Mosaic concept of divinity: “You children of wickedness cannot serve the Lord, for he is a holy God.” “Shall mortal man be more just than God? shall a man be more pure than his Maker?” “Can you by searching find out God? Can you find out the Almighty to perfection? Behold, God is great and we know him not. Touching the Almighty, we cannot find him out.”
2000 96:6.4 그러나 이 어두운 시대에도, 이따금 한 선생이 외로이 일어나서 모세의 신 개념을 선포하곤 하였다: “너희 사악한 아이들은 주를 섬길 수 없나니, 그가 거룩한 하나님인 까닭이라.” “필사 인간이 하나님보다 더 공정하겠느냐? 사람이 창조주보다 더 깨끗하겠느냐?” “너희가 찾는다고 해서 하나님을 찾아내겠느냐? 너희가 완전에 이르기까지 전능자를 찾아낼 수 있느냐? 보라, 하나님이 크셔도 우리가 그를 알지 못하느니라. 전능자를 만지면서 우리는 그를 발견할 수 없느니라.”
2001 CM 96:6.4 그러나 이런 어두운 시대에도, 때때로 선생이 외롭게 일어나서 모세의 신성 개념을 전파하곤 했다. “그는 거룩한 하나님이시니, 사악한 너희 자녀는 주를 섬기지 못할 것이다.” “필사적 사람이 하나님보다 더 정확할 수 있느냐? 사람이 자기 창조주보다 더 순전할 수 있느냐?” “너희가 노력한다고 해서 하나님을 찾을 수 있느냐? 완벽하신 전능자를 너희가 찾을 수 있느냐? 보라, 하나님은 위대하시니 우리가 그를 알지 못한다. 전능자와 접촉하면서도, 우리는 그를 발견할 수 없다.”
2007 URKA 96:6.4 그러나 이러한 암흑시대에 있어서도, 때때로 여러 독립적인 선생들이 일어나 신성에 대한 모세의 개념을 전파하곤 하였다. “그는 거룩하신 하느님이시니, 사악한 너희 자녀들은 주님을 섬기지 못할 것이다.” “필사 사람이 하느님보다 더 의로울 수 있느냐? 사람이 자기 조물주보다 더 순수할 수 있느냐?” “너희가 노력하여 하느님을 찾을 수 있느냐? 완전에 이르는 전능자를 너희가 찾을 수 있느냐? 보라, 하느님은 위대하시니 우리가 그를 알지 못한다. 전능자에 대하여는, 우리가 그를 발견할 수 없다.”
7. PSALMS AND THE BOOK OF JOB
7. 시편과 욥기
7. 시편과 욥기
7. 시편과 욥기
7. 시편과 욥기
1955 96:7.1 Under the leadership of their sheiks and priests the Hebrews became loosely established in Palestine. But they soon drifted back into the benighted beliefs of the desert and became contaminated with the less advanced Canaanite religious practices. They became idolatrous and licentious, and their idea of Deity fell far below the Egyptian and Mesopotamian concepts of God that were maintained by certain surviving Salem groups, and which are recorded in some of the Psalms and in the so-called Book of Job.
2000 96:7.1 족장과 사제들의 지도 하에서 히브리인은 팔레스타인에서 허술하게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그들은 곧, 사막에서 가졌던 뒤떨어진 신앙으로 도로 돌아갔고, 덜 진보된 가나안의 종교 풍습에 오염되었다. 그들은 우상 숭배에 빠지고 방종하게 되었고, 그들의 신 개념은 어떤 살아남은 살렘 집단이 유지했던, 에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하나님 개념보다 훨씬 밑으로 떨어졌으며, 이것은 시편의 어느 부분과 이른바 욥기에 기록되어 있다.
2001 CM 96:7.1 족장과 사제들의 지도 하에, 히브리인은 팔레스틴에서 엉성하게 조직됐다. 그러나 그들은 곧, 사막에서 가졌던 뒤떨어진 믿음으로 되돌아갔고, 덜 진보된 가나안 종교 풍습에 오염됐다. 우상을 섬기게 됐고 방종한 상태에 빠졌으며, 그들의 신격 관념은, 어떤 살아남은 살렘 집단이 유지했고 시편 일부와 소위 욥기라는 책에 기록돼있는, 이집트인과 메소포타미아인의 하나님 개념보다 훨씬 뒤떨어졌다.
2007 URKA 96:7.1 히브리인들은 자기들의 족장들과 사제들의 지도하에 팔레스타인에서 엉성하게 조직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곧 사막에서의 미개한 신앙으로 되돌아갔으며 보다 덜 발달된 가나안-사람의 종교적 실천 관행들에 의해 오염되게 되었다. 그들은 우상을 섬기게 되었고 방종한 상태에 빠졌으며, 신(神)에 대한 그들의 관념은 아직 살아있는 특정한 살렘 집단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었던 신에 대한 이집트인들 그리고 메소포타미아인 들의 개념들보다 훨씬 뒤떨어진 것이었는데, 그 개념들은 소위 욥기라 불리는 책과 시편의 일부분에 기록되어 있다.
2025 96:7.1 족장과 사제들의 지도 하에서 히브리인은 팔레스타인에서 허술하게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그들은 곧, 사막에서 가졌던 뒤떨어진 신앙으로 도로 돌아갔고, 뒤처진 가나안의 종교 풍습에 오염되었다. 그들은 우상 숭배에 빠지고 방종하게 되었고, 그들의 신 개념은 어떤 살아남은 살렘 집단이 유지했던, 에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하나님 개념보다 훨씬 밑으로 떨어졌으며, 이것은 시편의 어느 부분과 이른바 욥기에 기록되어 있다.
1955 96:7.2 The Psalms are the work of a score or more of authors; many were written by Egyptian and Mesopotamian teachers. During these times when the Levant worshiped nature gods, there were still a goodly number who believed in the supremacy of El Elyon, the Most High.
2000 96:7.2 시편은 20명 이상의 저자들이 쓴 작품이다. 많은 것을 에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선생들이 썼다. 레반트가 자연신들을 숭배하던 이 시절에, 엘 엘리욘, 최고자가 제일 높은 것을 믿은 사람들이 아직도 상당히 있었다.
2001 CM 96:7.2 시편은 20명 이상의 저자들이 쓴 작품이며;많은 것을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선생들이 썼다. 레반트 사람이 자연 신들을 숭배하던 이 시절에, 지고자인 엘 엘리온의 지존성을 믿는 사람이 여전히 꽤 많았다.
2007 URKA 96:7.2 시편은 상당히 많은 숫자의 사람들의 작품인데, 그 중에 많은 부분들이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선생들에 의해 씌어졌다. 레반트 지역 사람들이 자연계 하느님들을 경배하던 이 시대 동안에도, 지고자, 엘 엘리온의 최극위를 믿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있었다.
2025 96:7.2 시편은 20명 이상의 저자들이 쓴 작품이다. 많은 것을 에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선생들이 썼다. 레반트가 자연신들을 숭배하던 이 시절에, 엘 엘리욘, 최고자가 제일 높은 것을 믿은 사람들이 아직도 상당히 있었다.
1955 96:7.3 No collection of religious writings gives expression to such a wealth of devotion and inspirational ideas of God as the Book of Psalms. And it would be very helpful if, in the perusal of this wonderful collection of worshipful literature, consideration could be given to the source and chronology of each separate hymn of praise and adoration, bearing in mind that no other single collection covers such a great range of time. This Book of Psalms is the record of the varying concepts of God entertained by the believers of the Salem religion throughout the Levant and embraces the entire period from Amenemope to Isaiah. In the Psalms God is depicted in all phases of conception, from the crude idea of a tribal deity to the vastly expanded ideal of the later Hebrews, wherein Yahweh is pictured as a loving ruler and merciful Father.
2000 96:7.3 어떤 종교적 기록의 수집도 시편처럼, 하나님을 예배하고 감동을 주는 하나님 개념을 그렇게 풍부히 표현하지 못했다. 이 놀라운 예배 문헌의 수집을 훑어보면서, 어떤 다른 단일 문집도 그렇게 긴 세월에 걸쳐 쓰이지 않았음을 기억하면서, 찬송하고 찬양하는 독립된 각 노래의 근원과 연대(年代)를 고려할 수 있다면 무척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시편은 레반트에 두루, 살렘 종교를 믿던 사람들이 품었던 다른 하나님 개념을 기록한 것이며, 아메니모피와 이사야 사이의 기간 전체를 포함한다. 시편에는 투박한 부족 신 관념으로부터 나중에 히브리서에 엄청나게 확대된 이상에 이르기까지 온갖 단계의 하나님 개념이 묘사되었으며, 히브리서에는 야웨가 사랑이 그윽한 통치자요 자비로운 아버지로 묘사된다.
2001 CM 96:7.3 수집된 어떤 종교 문서도, 헌신하게 하고 영감을 주는 하나님 관념을, 시편 기록만큼 그렇게 풍성히 표현하지 못한다. 그리고 놀랄만하게 수집된 이 경건한 문헌을 정독{情讀}하는 동안, 어떤 다른 단일 수집품도 그렇게 긴 세월을 망라하지 못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서, 독립된 각각의 찬양과 경배의 시의 출처와 연대{年代}를 고려할 수만 있다면, 무척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시편은, 아메네몹 부터 이사야 때에 이르는 전체 기간을 포함하고, 레반트 전역에서 살렘 종교 신자들이 환영했던, 다양한 하나님 개념을 기록했다. 시편에서는, 미개한 부족 신격 개념으로부터 후대 히브리인의 크게 확장된 이상{理想}에 이르기까지, 온갖 국면의 하나님 개념이 서술돼있는데, 그중에 야훼는 사랑 많은 통치자이면서도 자비로운 아버지로서 묘사된다.
2007 URKA 96:7.3 수집된 어떤 종교적 문서들도 시편 기록만큼 그토록 하느님에 대한 풍부한 영감어린 관념들과 신앙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놀랄만하게 수집된 이러한 경건한 문헌들을 정독함에 있어서, 어떤 다른 단일 수집품도 그러한 엄청난 기간 동안을 포함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염두에 두면서 각각의 분리된 찬양과 경배의 시에 대한 출처와 연대를 고려할 수만 있다면,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시편은 아메니몹 때부터 이사야에 이르는 전체 기간 동안, 그리고 레반트 지역 전체에서 살렘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 의해 환영을 받았던, 하느님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기록한 것이다. 시편에서 보면 하느님이, 부족 신(神)의 투박한 관념으로부터 후대의 히브리인들의 크게 확대된 이상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의 개념 속에 묘사되어 있는데, 그 속에서 야훼는 사랑이 많은 통치자이면서 자비로운 아버지로 묘사되어 있다.
2025 96:7.3 어떤 종교적 기록의 수집도 시편처럼, 하나님을 예배하고 감동을 주는 하나님 개념을 그렇게 풍부히 표현하지 못했다. 이 놀라운 예배 문헌의 수집을 훑어보면서, 어떤 다른 단일 문집도 그렇게 긴 세월에 걸쳐 쓰지 않았음을 기억하면서, 찬송하고 찬양하는 독립된 각 노래의 근원과 연대(年代)를 고려할 수 있다면 무척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시편은 레반트에 두루, 살렘 종교를 믿던 사람들이 품었던 다른 하나님 개념들을 기록한 것이며, 아메니모피와 이사야 사이의 기간 전체를 포함한다. 시편에는 투박한 부족 신 관념을 비롯하여 나중에 히브리서에 엄청나게 확대된 이상에 이르기까지 온갖 단계의 하나님 개념이 묘사되었으며, 히브리서에는 야웨가 사랑이 그윽한 통치자요 자비로운 아버지로서 묘사된다.
1955 96:7.4 And when thus regarded, this group of Psalms constitutes the most valuable and helpful assortment of devotional sentiments ever assembled by man up to the times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worshipful spirit of this collection of hymns transcends that of all other sacred books of the world.
2000 96:7.4 이렇게 볼 때, 이러한 찬송가의 집합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일찍이 모은, 가장 귀중하고 유익한 예배 감정을 수집한 것이다. 이 찬송가집에 담긴 예배 정신은 세상의 모든 다른 신성한 책에 있는 정신을 뛰어넘는다.
2001 CM 96:7.4 이렇게 볼 때, 시편의 이 작품들은 20세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일찍이 모은 모든 것 가운데 가장 가치 있고 유익한, 경건한 감정 표현을 두루 갖추고 있다. 이렇게 수집된 찬송시의 경건한 영성{靈性}은 세상에서 신성시되는 어떤 책보다 뛰어나다.
2007 URKA 96:7.4 그리고 그렇게 간주되었을 때, 시편의 이 작품들은 20세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인류에 의해서 조합되었던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가치 있고 도움을 주는 신앙적 정서의 유형을 이룩하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찬송 시들의 경건한 마음은 이 세상에 있는 다른 모든 종교적 서적들보다 뛰어나다.
2025 96:7.4 이렇게 볼 때, 이러한 찬송가의 집합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일찍이 모은, 가장 귀중하고 유익한 예배 감정을 수집한 것이다. 이 찬송가집에 담긴 예배 정신은 세상의 모든 다른 신성한 책에 있는 정신을 뛰어넘는다.
1955 96:7.5 The variegated picture of Deity presented in the Book of Job was the product of more than a score of Mesopotamian religious teachers extending over a period of almost three hundred years. And when you read the lofty concept of divinity found in this compilation of Mesopotamian beliefs, you will recognize that it was in the neighborhood of Ur of Chaldea that the idea of a real God was best preserved during the dark days in Palestine.
2000 96:7.5 욥기에 제시된 얼룩덜룩한 신의 그림은 거의 3백 년에 걸쳐서, 20명이 넘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스승들이 지은 것이다. 이 메소포타미아 신앙의 수집에서 발견되는 드높은 신 개념을 읽을 때, 너희는 팔레스타인의 어두운 시절, 갈대아 지방의 우르 근처에서 참 하나님의 개념이 최선으로 간직되었음을 깨달을 것이다.
2001 CM 96:7.5 욥기에 묘사된 다채로운 신격의 모습은, 거의 300년에 걸쳐서, 20명 이상의 메소포타미아 종교 교사들이 창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메소포타미아 믿음의 수집품에서 발견되는 고상한 신성 개념을 너희가 읽게 되면, 팔레스틴이 암흑기를 맞이하는 동안에 참된 하나님 관념을 가장 잘 보존한 곳이, 바로 갈대아 우르 주변이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2007 URKA 96:7.5 욥기에 묘사되어 있는 신(神)에 대한 다채로운 묘사는 거의 3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20명이 넘는 메소포타미아 종교 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메소포타미아의 신앙들에 대한 이러한 수집품들 속에서 발견되는 신성에 대한 고상한 개념을 너희가 읽게 되면, 팔레스타인이 암흑기를 맞이하는 동안 실제적인 하느님에 대한 관념이 가장 잘 보존된 곳이 바로 갈대아에 있는 우르의 주변지역이었음을 너희가 알게 될 것이다.
2025 96:7.5 욥기에 제시된 얼룩덜룩한 신의 그림은 거의 3백 년에 걸쳐서, 20명이 넘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스승들이 지은 것이다. 이 메소포타미아 신앙의 수집에서 발견되는 드높은 신 개념을 읽을 때, 너희는 팔레스타인의 어두운 시절, 갈대아 지방의 우르 근처에서 참 하나님 개념이 최선으로 간직되었음을 깨달을 것이다.
1955 96:7.6 In Palestine the wisdom and all-pervasiveness of God was often grasped but seldom his love and mercy. The Yahweh of these times “sends evil spirits to dominate the souls of his enemies”; he prospers his own and obedient children, while he curses and visits dire judgments upon all others. “He disappoints the devices of the crafty; he takes the wise in their own deceit.”
2000 96:7.6 팔레스타인에서 사람들이 하나님의 지혜와 만물에 침투하는 성질을 흔히 파악했지만, 그의 사랑과 자비를 파악한 적은 드물다. 이 시절의 야웨는 “그의 적들의 혼을 지배하려고 악령들을 보내며,” 자기의 복종하는 아이들을 번성케 하고 한편 모든 다른 사람을 저주하고 그들에게 끔찍한 심판을 내린다. “그는 교활한 자의 계교를 망치며, 지혜로운 자를 제가 만든 속임수에 빠뜨려 잡는다.”
2001 CM 96:7.6 팔레스틴에서, 하나님의 지혜와 만물에-충만하심을 종종 파악했지만, 그의 사랑과 자비를 파악한 경우는 드물었다. 이 시대의 야훼는, “그를 대적하는 자들의 혼을 지배하려고 악한 영들을 보내는” 존재였으며;복종하는 자녀들을 번성케 하는 반면, 다른 모든 사람에게는 저주하고 무시무시한 심판을 내리는 존재였다. “그는 교활한 자의 방책을 좌절시키고;스스로 속임수에 빠지게 하여 교활한 자를 잡는다.”
2007 URKA 96:7.6 팔레스타인에서는 하느님의 모든-충만함과 지혜가 파악되는 경우는 때로 있었지만 그의 사랑과 자비가 파악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이 시대의 야훼는 “자기 적들의 혼을 지배하기 위하여 악한 영들을 보내는” 존재였으며; 자기에게 소속되고 복종하는 자녀들을 번영케 하는 반면,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는 저주하고 무시무시한 심판을 내리는 존재였다. “그는 교활한 계략을 미워하고, 그들 자신의 책략에서 방법을 모색한다.”
1955 96:7.7 Only at Ur did a voice arise to cry out the mercy of God, saying: “He shall pray to God and shall find favor with him and shall see his face with joy, for God will give to man divine righteousness.” Thus from Ur there is preached salvation, divine favor, by faith: “He is gracious to the repentant and says, ‘Deliver him from going down in the pit, for I have found a ransom.’ If any say, ‘I have sinned and perverted that which was right, and it profited me not,’ God will deliver his soul from going into the pit, and he shall see the light.” Not since the times of Melchizedek had the Levantine world heard such a ringing and cheering message of human salvation as this extraordinary teaching of Elihu, the prophet of Ur and priest of the Salem believers, that is, the remnant of the onetime Melchizedek colony in Mesopotamia.
2000 96:7.7 오직 우르에서 한 목소리가 일어나서 하나님의 자비를 외치며 말했다. “사람은 하나님께 기도하고, 그에게 은총을 얻고 기쁨으로 그의 얼굴을 뵐지니, 이는 하나님이 사람에게 신다운 올바름을 주실 것임이라.” 이렇게 우르에서 믿음으로 구원, 신의 은총을 얻는다는 것이 설파되었다: “그는 뉘우치는 자에게 인자하시며, ‘구렁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그를 구원하라, 내가 몸값을 찾아낸 까닭이라’하고 말씀하시니라. 누구라도 ‘나는 죄를 지었고 옳은 것을 곡해하였으며, 그것이 내게 이롭지 않았도다’하고 말하면, 하나님은 그를 구렁에서 구원하실 것이요, 그는 빛을 볼지니라.” 멜기세덱의 시절 이후로, 레반트 세계는 엘리후의 이 놀라운 가르침처럼, 그렇게 우렁차게 울려 퍼지고 격려하는 소식, 인간이 구원받는다는 소식을 들은 적이 없으니, 엘리후는 우르의 선지자였고, 살렘 신자들, 다시 말해서 한때 메소포타미아에서 멜기세덱 거류지에 남아 있던 사람들의 사제였다.
2001 CM 96:7.7 우르에서만 하나님의 자비를 외치는 목소리가 일어나서 말했다:“하나님께 기도하는 자는 그의 은혜를 얻게 되고 기쁨으로 그를 만나게 될 것인데, 하나님은 사람에게 신성한 정의를 베푸실 것이기 때문이다.” 신앙으로 구원받음 곧 신의 은혜가 우르에서 전파됐다:“그는 뉘우치는 자에게 인자하시며, ‘내가 몸값을 받았으니, 무저갱{無低坑}에 들어가지 않게 그를 구출하라’고 말씀하신다. 누구든지 ‘내가 죄를 지었고 옳은 것을 악용했으며, 그것이 내게 유익이 되지 못했다’고 말하면, 하나님이 그의 혼을 무저갱에 들어가지 않도록 구출하시고, 그는 빛을 볼 것이다.” 멜기세덱 이후로, 레반트 세계는 엘리후의 이 놀라운 교훈만큼, 그렇게 울려 퍼지면서 격려하는 메시지, 인간이 구원받는다는 메시지를 들은 적이 없었는데, 엘리후는 우르의 선지자였고, 살렘 신자들의 사제 곧 한때 메소포타미아에서 멜기세덱 거류지에 남아있던 사람들의 사제였다.
2007 URKA 96:7.7 오직 우르에서만 하느님의 자비를 외치려고 한 음성이 일어나 말했다,: “하느님께 기도하는 자는 그의 은혜를 얻게 되고 기쁨으로 그를 만나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하느님은 인간에게 신성한 정의를 베푸실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르로부터 신앙에 의해 신성한 은혜를 받는다는 구원이 이렇게 전파되었다: “그는 뉘우치는 자들에게 인자하시며, ‘내가 몸값을 받았으니, 그가 무저갱으로 들어가지 않게 구원하라’고 말씀하신다. 누구든지 ‘내가 죄를 지었고 옳은 것을 행치 않았으며, 그것이 내게 유익이 되지 못했다’고 말하면, 하느님이 그의 혼을 무저갱에 들어가지 않도록 구원하실 것이며, 그는 빛을 보게 될 것이다.” 우르의 선지자이고 살렘 신자들의 사제, 메소포타미아에 한 때 있었던 멜기세덱 거류민단 중에서 남은 자였던 엘리후의 이 특이한 교훈만큼 인간의 생존에 대한 그러한 우렁차고 기운차게 하는 메시지를, 멜기세덱 이후로는 들은 적이 없었다.
2025 96:7.7 오직 우르에서 한 목소리가 일어나서 하나님의 자비를 외치며 말했다[47]. “사람은 하나님께 기도하고, 그에게 은총을 얻고 기쁨으로 그의 얼굴을 뵐지니, 이는 하나님이 사람에게 신다운 올바름을 주실 것임이라.” 이렇게 우르에서 믿음으로 구원, 신의 은총을 얻는다는 것이 설파되었다: “그는 뉘우치는 자에게 인자하시며, ‘구렁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그를 구원하라, 내가 몸값을 찾아낸 까닭이라’ 하고 말씀하시니라
[48]. 누구라도 ‘나는 죄를 지었고 옳은 것을 곡해하였으며, 그것이 내게 이롭지 않았도다’하고 말하면, 하나님은 그를 구렁에서 구원하실 것이요, 그는 빛을 볼지니라
[49].” 멜기세덱의 시절 이후로, 레반트 세계는 엘리후의 이 놀라운 가르침처럼, 그렇게 우렁차게 울려 퍼지고 격려하는 소식, 인간이 구원 받는다는 소식을 들은 적이 없으니, 엘리후는 우르의 선지자였고, 살렘 신자들, 다시 말해서 한때 메소포타미아의 멜기세덱 거류지에 남아 있던 사람들의 사제였다.
1955 96:7.8 And thus did the remnants of the Salem missionaries in Mesopotamia maintain the light of truth during the period of the disorganization of the Hebrew peoples until the appearance of the first of that long line of the teachers of Israel who never stopped as they built, concept upon concept, until they had achieved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of the Universal and Creator Father of all, the acme of the evolution of the Yahweh concept.
2000 96:7.8 이처럼 메소포타미아에서 살렘 선교사들의 잔재는, 길게 이어진 이스라엘 선생들의 선구자가 나타날 때까지, 히브리 민족의 분열기에 진리의 빛을 유지했다. 이 선생들은 만물에게 우주의 창조자 아버지의 이상, 곧 야웨 개념의 진화가 절정에 이를 때까지, 개념을 하나씩 쌓으면서 결코 멈추지 않았다.
2001 CM 96:7.8 그리하여 메소포타미아에서 살렘 선교사들의 잔재는 히브리 민족이 해체되던 기간에 진리의 빛을 꺼트리지 않았으며, 이스라엘 선생들의 길게 이어진 계보 중에서 선구자가 나타날 때까지, 개념 위에 개념을 쌓아올리면서 결코 멈추지 않고 야훼 개념의 진화가 최고조에 달하여 만유의 우주 및 창조주 아버지의 이상을 실현할 때까지 진리의 빛을 꺼트리지 않았다.
2007 URKA 96:7.8 그리하여 살렘 선교사들 중에서 메소포타미아에 남은 자들은, 히브리 민족이 아직 조직화되기 이전 동안, 개념 위에 개념을 세우기를 멈추지 않았던 이스라엘 선생들의 긴 행렬에서의 첫 번째까 출현하기까지, 야훼 개념이 진화에서 절정에 달한 만유의 창조자 그리고 우주 아버지에 대한 이상에서의 그들의 실현이 성취되기까지, 진리의 빛을 꺼트리지 않았다
2025 96:7.8 이처럼 메소포타미아에서 살렘 선교사들의 잔재는, 길게 이어진 이스라엘 선생들의 선구자가 나타날 때까지, 히브리 민족의 분열기에 진실의 빛을 유지했다. 이 선생들은 만물에게 우주의 창조자 아버지의 이상, 곧 야웨 개념의 진화가 절정에 이를 때까지, 개념을 하나씩 쌓으면서 결코 멈추지 않았다.
1955 96:7.9 [Presented by a Melchizedek of Nebadon.]
2000 96:7.9 [네바돈의 한 멜기세덱이 발표하였다.]
2001 CM 96:7.9 [네바돈의 한 멜기세덱이 제시했음.]
2007 URKA 96:7.9 [네바돈의 멜기세덱에 의해 제시되었음]
2025 96:7.9 [네바돈의 한 멜기세덱이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