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된 유란시아 책은 2006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번역: © 2000, 2025 유란시아 재단
번역: © 2001, 2007 Urantia Society of Greater New York
SHAMANISM—MEDICINE MEN AND PRIESTS
제 90 편주술 신앙―주술사와 사제
제90편: 무속신앙--주술사와 사제
제 90 편: 샤머니즘─주술사와 사제
주술 신앙 ― 주술사와 사제
1955 90:0.1 THE evolution of religious observances progressed from placation, avoidance, exorcism, coercion, conciliation, and propitiation to sacrifice, atonement, and redemption. The technique of religious ritual passed from the forms of the primitive cult through fetishes to magic and miracles; and as ritual became more complex in response to man’s increasingly complex concept of the supermaterial realms, it was inevitably dominated by medicine men, shamans, and priests.
2000 90:0.1 종교적 관행의 진화는 구슬리기, 회피, 귀신 쫓아내기, 강요ㆍ화해ㆍ달래기로부터 제물 바치기, 죄지은 값 물어내기, 값을 치르고 되찾기에 이르기까지 진보하였다. 종교적 의식을 치르는 기술은 원시 종파의 형태로부터, 주물을 거쳐서 마술과 기적에 이르기까지 변화되었다. 물질을 초월하는 영역에 대한 사람의 개념이 갈수록 더 복잡해지는 데 반응하여 의식(儀式)이 더 복잡해지자, 불가피하게 주술사ㆍ샤먼ㆍ사제들이 의식을 지배하였다.
2001 CM 90:0.1 종교 행사의 진화는 회유, 회피, 쫓아내기, 강압, 화해, 달래기에서 희생제물, 죄값, 구속{救贖}으로 발전했다. 종교 제례식을 치르는 기법은 원시 예찬집단 형태로부터 주물숭배를 거쳐서 마술과 기적으로 발전했으며;초물질 영역에 대한 사람의 개념이 점점 복잡하게 됨으로써 제례식도 더 복잡하게 되자, 제례식은 필연적으로 주술사나 무당이나 사제들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2007 URKA 90:0.1 종교적인 관례들은 달래기, 피하기, 쫓아내기, 강압, 회유, 그리고 화해로부터 진화하여 희생제물, 죄 값, 대속에 이르게 되었다. 종교적 예식 기법은 원시적인 예배종파의 형태들로부터 주물숭배를 거쳐 마술과 이적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초물질적 영역에 대한 사람의 개념이 점점 더 복잡하게 됨으로써 예식도 더욱 복잡하게 되자, 그 기술은 주술사들과 무당들 그리고 사제들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지배를 당하게 되었다.
2025 90:0.1 종교적 관행의 진화는 구슬리기, 회피, 귀신 쫓아내기, 강요ㆍ화해ㆍ달래기로부터 제물 바치기, 죄 지은 값 물어내기, 값을 치르고 되찾기에 이르기까지 진보하였다. 종교적 의식을 치르는 기술은 원시 제사의 형태로부터, 주물을 거쳐서 마술과 기적에 이르기까지 변화되었다. 물질을 초월하는 영역에 대한 사람의 개념이 갈수록 더 복잡해지는 데 반응하여 의식(儀式)이 더 복잡해지자, 불가피하게 주술사ㆍ샤먼ㆍ사제들이 의식을 지배하였다.
1955 90:0.2 In the advancing concepts of primitive man the spirit world was eventually regarded as being unresponsive to the ordinary mortal. Only the exceptional among humans could catch the ear of the gods; only the extraordinary man or woman would be heard by the spirits. Religion thus enters upon a new phase, a stage wherein it gradually becomes secondhanded; always does a medicine man, a shaman, or a priest intervene between the religionist and the object of worship. And today most Urantia systems of organized religious belief are passing through this level of evolutionary development.
2000 90:0.2 원시인의 진보하는 개념에서 결국, 영 세계는 보통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사람들 가운데 오직 예외인 자들만 신에게 말씀을 드릴 수 있었다. 영들은 오직 특별한 남자나 여자의 말만 듣곤 했다. 이처럼 종교는 차츰차츰 남의 손을 빌리게 되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반드시 주술사나 샤먼이나[1] 사제가 신자와 숭배 받는 대상 사이에 끼어든다. 오늘날 유란시아 체계의 조직된 종교의 신앙은 이 수준에서 진화하는 발전을 거치고 있다.
2001 CM 90:0.2 진보하는 원시인 개념에서, 결국 영 세계가 평범한 필사자에게는 반응하지 않는다고 생각됐다. 인간 가운데 오직 예외적인 사람들만 신과 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영들은 특별한 남자나 여자의 말만 듣곤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종교는 새로운 국면, 즉 점차 매개체에 의존하는 단계로 접어들게 됐으며;숭배 대상과 종교인 사이에, 주술사나 무당 또는 사제가 반드시 개입했다. 그리고 오늘날 조직된 유란시아 종교 신념 체계 대부분은 이런 수준에서 진화하는 발전을 거치고 있다.
2007 URKA 90:0.2 원시인의 진보적인 개념 중에서 영적인 세계는 결국에는 평범한 필사자에게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인간들 중에서 오로지 예외적인 사람들만이 하느님들에게 말씀을 드릴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특별한 남자 또는 여자만이 영들에게 말을 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종교는 새로운 위상, 그것이 점차적으로 매개자가 되는 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다; 경배의 대상물과 종교인 사이에는 언제나 주술사나 무당 또는 사제가 개입되었다. 그리고 오늘날 유란시아에 있는 체계화된 종교적 신앙 체계들 대부분은 진화적 발전에 있어서의 이러한 차원을 벗어나고 있는 중이다.
2025 90:0.2 원시인의 진보하는 개념에서 결국, 영 세계는 보통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사람들 가운데 오직 예외인 자들만 신에게 말씀을 드릴 수 있었다. 영들은 오직 특별한 남자나 여자의 말만 듣곤 했다. 이처럼 종교는 차츰차츰 남의 손을 빌리게 되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반드시 주술사나 샤먼이나[95] 사제가 신자와 숭배 받는 대상 사이에 끼어든다. 오늘날 유란시아 체계의 조직된 종교의 신앙은 이 수준에서 진화하는 발전을 거치고 있다.
1955 90:0.3 Evolutionary religion is born of a simple and all-powerful fear, the fear which surges through the human mind when confronted with the unknown, the inexplicable, and the incomprehensible. Religion eventually achieves the profoundly simple realization of an all-powerful love, the love which sweeps irresistibly through the human soul when awakened to the conception of the limitless affection of the Universal Father for the sons of the universe. But i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consummation of religious evolution, there intervene the long ages of the shamans, who presume to stand between man and God as intermediaries, interpreters, and intercessors.
2000 90:0.3 진화 종교는 단순하고 온통 강력한 두려움에서 생겨나고, 이 두려움은 알지 못하는 것, 설명할 수 없는 것,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부딪쳤을 때 인간의 머리를 통해서 솟구친다. 궁극에 종교는 전능한 사랑을 매우 단순히 깨닫는 경지에 이르며, 인간의 혼이 우주의 아버지가 우주의 아들들을 한없이 사랑한다는 개념을 깨우칠 때, 이 사랑은 견딜 수 없이 그 혼을 휩쓴다. 그러나 종교적 진화의 시작과 절정 사이에는 샤먼이 판치는 긴 세월이 끼며, 이들은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 중개자ㆍ통역자ㆍ중재자로서 주제넘게 자리를 차지한다.
2001 CM 90:0.3 진화 종교는 단순하고 온통-강력한 두려움에서 생겨나는데, 이 두려움은, 알려지지 않은 것, 설명할 수 없는 것, 납득할 수 없는 것에 직면할 때 인간 정신을 통해서 급증한다. 결국 종교는, 전능한 사랑을 몹시 단순하게 깨닫는 경지를 성취하는데, 우주 아버지께서 우주의 아들들에게 무한한 애정을 베푸신다는 생각에 인간의 혼이 눈을 뜨게 될 때, 그 사랑이 압도적으로 그 혼을 휩쓴다. 그러나 종교적 진화의 시초와 완료 사이에 무당시대가 오랫동안 개재했는데, 이들은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 중재인이요 통역자요 조정자로서 주제넘게 서 있다.
2007 URKA 90:0.3 진화 종교는 알 수 없는 것, 설명할 수 없는 것,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부딪쳤을 때 인간의 마음 속으로 파도처럼 밀려오는 두려움, 단순하지만 강력한 두려움으로부터 탄생되었다. 종교는 결국에는 우주의 아버지가 우주에 있는 아들들에게 한없는 애정을 가진다는 개념을 깨우치면서 인간의 혼을 통하여 불가항력적으로 휘몰아치는 사랑, 어떤 만능이신 사랑에 대한 깊고도 단순한 실현을 성취한다. 그러나 종교적 진화의 시초와 절정 사이에는, 오랜 동안 사람과 하느님 사이에 중개자, 통역자 그리고 중재자로 서 있다고 자처하는 무당들의 시대가 차지한다.
2025 90:0.3 진화 종교는 단순하고 온통 강력한 두려움에서 생겨나고, 이 두려움은 알지 못하는 것, 설명할 수 없는 것,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부딪쳤을 때 인간의 머리를 통해서 솟구친다. 궁극에 종교는 전능한 사랑을 매우 단순히 깨닫는 경지에 이르며, 인간의 혼이 우주의 아버지가 우주의 아들들을 한없이 사랑한다는 개념을 깨우칠 때, 이 사랑은 견딜 수 없이 그 혼을 휩쓴다. 그러나 종교적 진화의 시작과 절정 사이에는 샤먼이 판치는 긴 세월이 끼며, 이들은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 중개자ㆍ통역자ㆍ중재자로서 주제넘게 자리를 차지한다.
1. THE FIRST SHAMANS—THE MEDICINE MEN
1. 처음 샤먼―주술사
1. 첫 무당--주술사
1. 최초의 무당─주술사(呪術師)들
1. 처음 샤먼 ― 주술사
1955 90:1.1 The shaman was the ranking medicine man, the ceremonial fetishman, and the focus personality for all the practices of evolutionary religion. In many groups the shaman outranked the war chief, marking the beginning of the church domination of the state. The shaman sometimes functioned as a priest and even as a priest-king. Some of the later tribes had both the earlier shaman-medicine men (seers) and the later appearing shaman-priests. And in many cases the office of shaman became hereditary.
2000 90:1.1 샤먼은 상급 주술사요, 예식을 맡는 주물 인간이요, 진화 종교의 모든 관습에서 초점이 되는 인물이었다. 많은 집단에서 샤먼은 전쟁 추장보다 높았는데, 이것은 교회가 국가를 지배하는 시대가 시작된 것을 알린다. 샤먼은 때때로 사제로서, 아니 사제인 임금으로서도 활동하였다. 후일의 어떤 부족들은 초기의 샤먼 주술사(점쟁이)와 나중에 나타나는 샤먼 사제를 모두 가졌다. 여러 경우에 샤먼의 직책은 상속되었다.
2001 CM 90:1.1 무당은 뛰어난 주술사{呪術師}였고, 예식을 맡은 주물인간이었고, 모든 진화 종교 풍습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이었다. 많은 집단에서 무당이 전쟁터의 최고책임자보다 지위가 높았는데, 이것은 교회가 국가를 지배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 무당은 때때로 사제 역할을 했고, 심지어 사제-겸-왕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후대의 일부 부족들에는, 초기 무당-주술사(곧 선각자)와 후대에 나타난 무당-사제가 동시에 존재했다. 그리고 무당 직책은 세습되는 경우가 많았다.
2007 URKA 90:1.1 무당은 뛰어난 주술사였고, 제례적인 맹목적 숭배 대상이었으며, 진화 종교의 모든 실천 관행들에 대한 중심인물이었다. 많은 집단들에서는 무당이 전쟁터의 우두머리보다도 지위가 높았는데, 그 나라의 교파(敎派)의 발단을 결정지었다. 무당은 때로 사제로 활동하였고 심지어는 사제-왕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후대의 부족들 중에서 어떤 부족들의 경우에는 초기의 무당-주술사(선지자)와 후대에 나타난 무당-사제가 동시적으로 존재하였다. 그리고 많은 경우에 무당의 직책은 세습적인 것이었다.
1955 90:1.2 Since in olden times anything abnormal was ascribed to spirit possession, any striking mental or physical abnormality constituted qualification for being a medicine man. Many of these men were epileptic, many of the women hysteric, and these two types accounted for a good deal of ancient inspiration as well as spirit and devil possession. Quite a few of these earliest of priests were of a class which has since been denominated paranoiac.
2000 90:1.2 옛날에 이상한 것은 무엇이나 귀신에 들렸다고 보았기 때문에, 어떤 놀라운 기형(奇形), 정신이나 육체의 기형은, 주술사가 되는 자격이었다. 이들 가운데 많은 남자가 지랄병을 가졌고, 많은 여자가 히스테리가 있었다. 이 두 종류는 신과 악마에 들린 것 뿐 아니라, 옛적의 영감(靈感)의 상당 부분을 설명했다. 옛날부터 있던 사제들의 상당수가 나중에 망상증 환자라 부른 등급에 속했다.
2001 CM 90:1.2 옛날에는 평범하지 않은 것은 모두 영{靈}에 사로잡힌 탓이라고 여겼으므로, 정신병 또는 육체적 기형{奇形}이 나타나면, 주술사가 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이들 가운데 많은 남자가 간질병이었고, 많은 여자가 히스테리 환자였으며, 이 두 유형은, 상당 부분의 옛적 신통력뿐만 아니라 영이나 마귀에 사로잡힘을 설명했다. 초기 사제들 중 상당수는, 나중에 편집증 환자로 분류되는 부류에 속했다.
2007 URKA 90:1.2 옛날에는 평범하지 않은 모든 것들은 영에 의해 사로잡힌 탓으로 돌려졌기 때문에, 두드러진 정신병 또는 육체적인 기형이 주술사가 되기 위한 분별된-자격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남자들 중에는 간질병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여자들의 경우에는 히스테리 환자가 많았으며, 이러한 두 가지 유형들은 고대의 신통력뿐만 아니라 영과 악마에 사로잡힌 것을 잘 설명해 준다. 초기 사제들 중에서 꽤 많은 숫자가 그 때부터 편집증 환자라고 불리는 부류에 속하였다.
2025 90:1.2 옛날에 이상한 것은 무엇이나 귀신에 들렸다고 보았기 때문에, 어떤 놀라운 기형(奇形), 정신이나 육체의 기형은, 주술사가 되는 자격이었다. 이들 가운데 많은 남자가 간질병을 가졌고, 많은 여자가 히스테리가 있었다. 이 두 종류는 신과 악마에 들린 것만 아니라, 옛적의 영감(靈感)의 상당 부분을 설명했다. 옛날부터 있던 사제들의 상당수가 나중에 망상증 환자라 부른 등급에 속했다.
1955 90:1.3 While they may have practiced deception in minor matters, the great majority of the shamans believed in the fact of their spirit possession. Women who were able to throw themselves into a trance or a cataleptic fit became powerful shamanesses; later, such women became prophets and spirit mediums. Their cataleptic trances usually involved alleged communications with the ghosts of the dead. Many female shamans were also professional dancers.
2000 90:1.3 사소한 문제에서 속임수를 썼을지 모르지만, 대다수의 샤먼은 그들이 신들렸다는 사실을 믿었다. 황홀한 상태나 몸이 굳어지는 발작에 스스로 빠질 수 있는 여자는 강력한 샤먼이 되었다. 나중에 그런 여자들은 선지자와 영 매체가 되었다. 그들의 몸이 굳어지는 황홀한 상태는, 주장에 따르면, 죽은 사람의 귀신과 교통하는 데 보통 관련되었다. 뭇 여자 샤먼이 또한 전문 춤꾼이었다.
2001 CM 90:1.3 사소한 문제에서 속임수를 쓰기도 했겠지만, 대다수의 무당은 자신이 영에 사로잡혔다고 믿었다. 황홀경 또는 강경증{强硬症} 발작 상태에 스스로 빠져들 수 있는 여자는 강력한 여자 무당이 됐으며;나중에는 그런 여자들이 선지자 또는 영매{靈媒}가 됐다. 전해진 바에 의하면, 강경증으로 인한 그들의 혼수상태는 대개 죽은 사람의 유령과 교통하는 데 관련됐다. 많은 여자 무당은 전문 춤꾼이기도 했다.
2007 URKA 90:1.3 그들은 사소한 문제들에 대하여 속임수를 실천할 수도 있었던 반면, 무당들 거의 대부분은 자기들이 영에 사로잡혀있음을 사실로 믿었다. 최면상태나 몸이 굳는 발작상태에 스스로 빠져들어 갈 수 있는 여자들은 강력한 여자 무당이 되었다; 나중에는 그러한 여자들이 선지자 또는 영매자들이 되었다. 강경증에 의한 그들의 혼수상태는 대개 죽은 사람의 귀신들과 교통을 나누는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여자 무당들은 전문적인 무녀이기도 하였다.
2025 90:1.3 사소한 문제에서 속임수를 썼을지 모르지만, 대다수의 샤먼은 그들이 신들렸다는 사실을 믿었다. 황홀한 상태나 몸이 굳어지는 발작에 스스로 빠질 수 있는 여자는 강력한 샤먼이 되었다. 나중에 그런 여자들은 선지자와 영 매체가 되었다. 그들의 몸이 굳어지는 황홀한 상태는, 주장에 따르면, 죽은 사람의 귀신과 교통하는 데 보통 관련되었다. 뭇 여자 샤먼이 또한 전문 춤꾼이었다.
1955 90:1.4 But not all shamans were self-deceived; many were shrewd and able tricksters. As the profession developed, a novice was required to serve an apprenticeship of ten years of hardship and self-denial to qualify as a medicine man. The shamans developed a professional mode of dress and affected a mysterious conduct. They frequently employed drugs to induce certain physical states which would impress and mystify the tribesmen. Sleight-of-hand feats were regarded as supernatural by the common folk, and ventriloquism was first used by shrewd priests. Many of the olden shamans unwittingly stumbled onto hypnotism; others induced autohypnosis by prolonged staring at their navels.
2000 90:1.4 그러나 모든 샤먼이 스스로에게 속지는 않았다. 많은 샤먼이 눈치 빠르고 유능한 사기꾼이었다. 그 직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풋내기는 주술사 자격을 얻기 위해서 시련과 극기로 10년의 세월을 견습생으로 일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샤먼들은 전문 형태의 복장을 개발했고 신비스러운 행위를 흉내냈다. 그들은 부족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신비스러운 느낌이 들게 하는 어떤 신체적 상태를 유도하려고 흔히 마약을 이용했다. 보통 사람들은 날랜 손재주의 묘기를 초자연의 것으로 여겼고, 약삭빠른 사제들은 복화술(複話術)을 처음으로 이용하였다. 여러 옛날 샤먼은 뜻하지 않게 최면술과 마주쳤고, 다른 사람들은 자기 배꼽을 오랫동안 뚫어져라 봄으로 자기 최면을 유도했다.
2001 CM 90:1.4 그러나 모든 무당이 자아-기만적이지는 않았으며;교활한 사람과 유능한 사기꾼도 많았다. 그 직업이 발달하게 되자, 주술사 자격을 얻기 까지 10년 동안 고생하고 금욕하면서 실습하는 봉사기간이 초보자에게 요구됐다. 무당은 특화된 형태의 복장을 개발했고, 신비스럽게 보이는 행위를 꾸며냈다. 그들은 부족원들을 감동시키고 미혹할 수 있는 어떤 신체 상태를 유발하려고 흔히 약품을 사용했다. 재빠른 손재주는 평범한 사람들에게 초자연적인 것처럼 보였고, 교활한 사제들이 복화술{腹話術}을 처음 이용했다. 옛 무당 중에 상당수는 자신도 모르게 최면 상태에 빠졌으며, 자기 배꼽을 오랫동안 집중하여 응시함으로써 자가 최면을 유도하는 경우도 많았다.
2007 URKA 90:1.4 그러나 모든 무당들이 자아-기만적인 것은 아니었다; 영리한 사람들과 유능한 요술쟁이들이 많았다. 그 직업이 발달하게 되자, 초보자들에게는 10년 동안 고생을 하면서 훈련을 받는 봉사 기간이 요구되었고 주술사의 자격을 갖추기 위한 자아-부정이 요구되었다. 무당들은 전문적인 형태의 복장을 개발하였고 신비스러운 행위를 꾸며내었다. 그들은 부족민들에게 감동을 주고 그들을 미혹할 수 있는 특정한 육체적인 상태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재빠른 손재주는 평범한 사람들에게 초자연적인 것으로 보였으며, 영리한 사제들이 복화술을 처음으로 이용하였다. 옛 무당들 중에는 최면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비틀거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어떤 자들은 자신들의 배꼽을 오랫동안 집중적으로 쳐다봄으로서 자기최면에 걸리도록 유도하였다.
2025 90:1.4 그러나 모든 샤먼이 스스로에게 속지는 않았다. 많은 샤먼이 눈치 빠르고 유능한 사기꾼이었다. 그 직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초심자는 주술사 자격을 얻기 위해서 시련과 극기로 10년의 세월을 견습생으로 일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샤먼들은 전문 형태의 복장을 개발했고 신비스러운 행위를 흉내냈다. 그들은 부족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신비스러운 느낌이 들게 하는 어떤 신체적 상태를 유도하려고 흔히 마약을 이용했다. 보통 사람들은 날랜 손재주의 묘기를 초자연의 것으로 여겼고, 약삭빠른 사제들은 복화술(複話術)을 처음으로 이용하였다. 여러 옛날 샤먼은 뜻하지 않게 최면술과 마주쳤고, 다른 사람들은 자기 배꼽을 오랫동안 뚫어져라 봄으로 자기 최면을 유도했다.
1955 90:1.5 While many resorted to these tricks and deceptions, their reputation as a class, after all, stood on apparent achievement. When a shaman failed in his undertakings, if he could not advance a plausible alibi, he was either demoted or killed. Thus the honest shamans early perished; only the shrewd actors survived.
2000 90:1.5 많은 사람이 이 술수와 속임수를 이용했지만, 하나의 등급으로서 그들의 명성은 결국 겉으로 나타난 업적에 달려 있었다. 샤먼이 시도한 일에 실패했을 때, 그럴듯한 변명을 늘어놓을 수 없으면, 강등(降等)되거나 죽음을 당했다. 이처럼 정직한 샤먼은 일찍 이슬로 사라졌고, 오직 눈치 빠른 배우들만 살아남았다.
2001 CM 90:1.5 많은 사람이 이런 사기와 속임수에 의지했으나, 한 계층으로서 그들의 명성은 결국 겉으로 나타난 업적에 달려있었다. 무당이 자신의 이행업무에 실패했을 때 그럴듯한 구실을 제시하지 못하면, 그 지위를 잃거나 살해됐다. 그래서 정직한 무당은 일찍 사라졌고;오직 교활한 연기자만 살아남았다.
2007 URKA 90:1.5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요술과 속임수를 이용한 반면, 하나의 집단으로서의 그들의 명성은 결국 겉으로 보기에 성공한 것 같은 상태에 있었다. 무당이 자기 일에 실패하였을 때, 만일에 그럴듯한 구실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에는, 그 지위를 잃거나 살해되었다. 그래서 정직한 무당들은 일찍 죽었고; 오직 약삭빠른 연기자들만이 살아남았다.
2025 90:1.5 많은 사람이 이 술수와 속임수를 이용했지만, 하나의 등급으로서 그들의 명성은 결국 겉으로 나타난 업적에 달려 있었다. 샤먼이 시도한 일에 실패했을 때, 그럴듯한 변명을 늘어놓을 수 없으면, 강등(降等)되거나 죽음을 당했다. 이처럼 정직한 샤먼은 일찍 이슬로 사라졌고, 오직 눈치 빠른 배우들만 살아남았다.
1955 90:1.6 It was shamanism that took the exclusive direction of tribal affairs out of the hands of the old and the strong and lodged it in the hands of the shrewd, the clever, and the farsighted.
2000 90:1.6 늙은이와 힘센 사람들의 손에서 부족 사무의 독점 지휘를 빼앗아 눈치 빠른자, 영리한 자, 선견이 있는 자의 손에 던져 준 것은 주술 신앙이었다.
2001 CM 90:1.6 부족{部族} 직무의 독점 지휘권을 노인과 강자의 손에서 빼앗아, 교활한 자나 영리한 자나 선견지명 있는 자의 손에 맡기게 한 것은 바로 무속신앙{巫俗信仰}이었다.
2007 URKA 90:1.6 부족의 관련사들에 대한 배타적인 지도권을 노인들과 강자들의 손으로부터 회수하여 약삭빠른 자들과 영리한 자들 그리고 선견지명이 있는 자들의 손에 맡기게 한 것은 바로 샤머니즘이었다.
2025 90:1.6 늙은이와 힘센 사람들의 손에서 부족 사무의 독점 지휘를 빼앗아 눈치 빠른 자, 영리한 자, 선견이 있는 자의 손에 던져 준 것은 주술 신앙이었다.
2. SHAMANISTIC PRACTICES
2. 주술 관습
2. 무속 풍습
2. 주술 신앙의 실천 관행
2. 주술 관습
1955 90:2.1 Spirit conjuring was a very precise and highly complicated procedure, comparable to present-day church rituals conducted in an ancient tongue. The human race very early sought for superhuman help, for revelation; and men believed that the shaman actually received such revelations. While the shamans utilized the great power of suggestion in their work, it was almost invariably negative suggestion; only in very recent times has the technique of positive suggestion been employed. I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 the shamans began to specialize in such vocations as rain making, disease healing, and crime detecting. To heal diseases was not, however, the chief function of a shamanic medicine man; it was, rather, to know and to control the hazards of living.
2000 90:2.1 영을 불러내는 것은 아주 정밀하고 상당히 까다로운 절차였고, 옛날의 말로 행해지는 오늘날의 교회 의식과 견줄 만하다. 인류는 아주 일찍부터 초인간적 도움, 계시를 추구하였고, 사람들은 샤먼이 실제로 그러한 계시를 받는다고 믿었다. 샤먼들은 일할 때 암시의 큰 힘을 이용했어도, 거의 변함없이 그것은 소극적 암시였다. 겨우 최근에 와서야 적극적으로 암시 기술이 이용되었다. 샤먼 직업이 발전하는 초기에 그들은 비 부르기, 병 고치기, 범죄 찾아내기와 같은 직종으로 전문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병 고치는 것은 샤먼 주술사의 주요한 기능이 아니었다. 그보다 차라리 생활의 위험을 알고 통제하는 것이었다.
2001 CM 90:2.1 영{靈}을 불러내는 것은 몹시 까다롭고 심히 복잡한 과정이었는데, 오늘날 교회 예식에서 옛 말투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될 수 있다. 인간 종족은 초인적 존재의 도움 곧 계시를 아주 일찍부터 추구했으며;사람은 무당이 실제로 그런 계시를 받는다고 믿었다. 무당들은 활동할 때 큰 암시 능력을 활용했지만, 그것은 거의 변함없이 소극적인 암시였으며;아주 최근에 와서야 적극적 암시 기법이 채택됐다. 전문적인 무당 직업이 발달하던 초기에, 그들은 비 내리기, 병 고치기, 범죄자 찾아내기 등의 분야로 전문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병 고치는 것은 무속{巫俗} 주술사의 주요 기능이 아니었으며;오히려 삶 속에서 위험요소를 알아내고 통제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었다.
2007 URKA 90:2.1 영을 불러내는 것은 매우 까다롭고 심히 복잡한 과정인데, 지금-현재 교회의 경배에서 옛날 말투를 사용하는 행위와 비슷하다. 인간 종족은 매우 일찍부터 초인간적 존재의 도움, 계시를 추구하였다; 사람들은 무당이 실재적으로 그러한 계시들을 받아들인다고 믿었다. 무당들이 자신의 일에 암시 방법이 갖는 큰 힘을 활용하였지만 그것은 거의 변함없이 부정적인 암시였으며; 아주 최근에 이르러서야 긍정적인 암시 기법이 활용되게 되었다. 무당들의 전문 직업이 발달하던 초기에 그들은 비를 내리게 하고 병을 고치며 범죄자를 찾아내는 그러한 분야로 전문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질병을 고치는 일은 무속적인 마력사의 주요 기능이 아니었다; 오히려 삶 속에서의 위험한 상황들을 알아내고 통제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었다.
2025 90:2.1 영을 불러내는 것은 아주 정밀하고 상당히 까다로운 절차였고, 옛날의 말로 행해지는 오늘날의 교회 의식과 견줄 만하다. 인류는 아주 일찍부터 초인간적 도움, 계시를 추구하였고, 사람들은 샤먼이 실제로 그러한 계시를 받는다고 믿었다. 샤먼들은 일할 때 암시의 큰 힘을 이용했어도, 거의 변함없이 그것은 소극적 암시였다. 겨우 최근에 와서야 적극적으로 암시 기술이 이용되었다. 샤먼 직업이 발전하는 초기에 그들은 비 부르기, 병 고치기, 범죄 찾아내기와 같은 직종으로 전문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병 고치는 것은 샤먼 주술사의 주요한 기능이 아니었다. 주요 기능은 차라리 생활의 위험을 알고 통제하는 것이었다.
1955 90:2.2 Ancient black art, both religious and secular, was called white art when practiced by either priests, seers, shamans, or medicine men. The practitioners of the black art were called sorcerers, magicians, wizards, witches, enchanters, necromancers, conjurers, and soothsayers. As time passed, all such purported contact with the supernatural was classified either as witchcraft or shamancraft.
2000 90:2.2 고대에 종교와 속세에서 쓰인 흑마술은 사제나 예언자나 샤먼이나 주술사들이 부릴 때 백마술이라고 불렀다. 흑마술을 실행하는 자를 마법사ㆍ마술사ㆍ요술사ㆍ마녀ㆍ마술쟁이ㆍ강신술사ㆍ요술쟁이ㆍ점쟁이로 불렀다. 시간이 지나자, 자연을 초월한다고 주장하는 그러한 접촉은 모두 요술이나 주술로 분류되었다.
2001 CM 90:2.2 고대에 종교와 속세에서 쓰인 흑마술은, 사제, 선각자, 무당, 또는 주술사가 행할 때 백마술이라고 불렀다. 흑마술을 행하는 사람은, 요술쟁이, 마술사, 마법사, 마녀, 요술사, 마술쟁이, 강령술사, 또는 점쟁이라고 불렸다. 시간이 흐르자, 초자연적 존재와 접촉한다고 주장하는 그런 모든 현상은, 마술 또는 무당술책으로 분류됐다.
2007 URKA 90:2.2 종교적이면서 동시에 세속적이었던 고대의 흑(黑)마술은, 그것이 사제들이나 선지자들 또는 무당들이나 묘약 제조자들에 의해서 실천될 때에는 백(白)마술로 여겨졌다. 흑(黑)마술을 행하는 사람들은 마술사, 요술쟁이, 마법사, 마녀, 요술사, 강신술사, 마술사, 그리고 주술사로 불렸다. 시간이 흐르면서, 초자연적인 존재와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진 그러한 모든 현상들은 마술 또는 주술로 분류되었다.
2025 90:2.2 고대에 종교와 속세에서 쓰인 흑마술은 사제나 예언자나, 샤먼이나 주술사들이 부릴 때 백마술이라고 불렀다. 흑마술을 실행하는 자를 마법사ㆍ마술사ㆍ요술사ㆍ마녀ㆍ마술쟁이, 강신술사ㆍ요술쟁이ㆍ점쟁이라 불렀다. 시간이 지나자, 자연을 초월한다고 주장하는 그러한 접촉은 모두 요술이나 주술로 분류되었다.
1955 90:2.3 Witchcraft embraced the magic performed by earlier, irregular, and unrecognized spirits; shamancraft had to do with miracles performed by regular spirits and recognized gods of the tribe. In later times the witch became associated with the devil, and thus was the stage set for the many comparatively recent exhibitions of religious intolerance. Witchcraft was a religion with many primitive tribes.
2000 90:2.3 마녀의 마법은 더 일찍 있던 비정상이고 인정받지 않은 영들이 부리는 마술을 포함했다. 샤먼의 주술은 보통의 영, 그리고 부족이 인정하는 신들이 행하는 기적과 관계되었다. 후일에 마녀는 악마와 연결되었고, 이처럼 종교적 불관용을 비교적 최근에 많이 드러내는 무대가 마련되었다. 마술은 많은 원시 부족에게 종교였다.
2001 CM 90:2.3 옛날의 비정규적이고 알려지지 않은 영들이 행한다고 생각되는 요술은 마술에 포함됐으며;무당술책은 부족이 인정하는 신들과 일반 영들이 행한다는 기적과 관계됐다. 후대에 이르러서, 마녀는 마귀와 연결됐고,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종교적 편협성 분위기가, 그렇게 해서 조성됐다. 마술은 많은 원시 부족에게 일종의 종교였다.
2007 URKA 90:2.3 옛날의 비정상적이고 알려지지 않은 영들에 의해서 행해진다고 생각하는요술은 마술을 포옹하였다; 주술(呪術)은 부족의 알려진 하느님들과 정상적인 영들에 의해서 발생된다고 여겨지는 기적들을 행해야만 했다. 후대에 이르러서 요술쟁이는 악마와 연관되었고, 이로 인하여 최근의 상당히 많은 종교적 편협의 무대가 그렇게 마련된 것이다. 많은 원시적 부족들에게 있어서 요술은 일종의 종교였다.
1955 90:2.4 The shamans were great believers in the mission of chance as revelatory of the will of the spirits; they frequently cast lots to arrive at decisions. Modern survivals of this proclivity for casting lots are illustrated, not only in the many games of chance, but also in the well-known “counting-out” rhymes. Once, the person counted out must die; now, he is only it in some childish game. That which was serious business to primitive man has survived as a diversion of the modern child.
2000 90:2.4 샤먼들은 우연이 영들의 뜻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고 크게 믿었다. 그들은 제비를 뽑아서 자주 결정을 내렸다. 이 제비뽑는 성향이 현대에 남아 있는 것은 우연이 결정하는 많은 노름 뿐 아니라, 또한 잘 알려진 “술래로 따돌리기”하는[2] 운문(韻文)에서도 나타난다. 한때는 따돌림받은 술래는 죽어야 했다. 이제 그런 사람은 어떤 어린아이 놀이에서 술래이다. 원시인에게 심각한 일이었던 것이 현대에 어린아이의 오락으로 살아남았다.
2001 CM 90:2.4 무당은, 우연이 영들의 뜻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고 굳게 믿었으며;자주 제비뽑기를 하여 결정했다. 제비뽑는 성향이 현대에도 사라지지 않은 것은, 운수를 바라는 많은 경기{競技}에서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셈노래로-뽑아내기”라는 노랫말에서도 잘 나타난다. 일단 뽑힌 사람은 반드시 죽어야했는데;오늘날에는 아이들의 어떤 놀이에서만 그럴 뿐이다. 원시인에게 심각한 일이던 것이 변하여 오늘날 아이들의 오락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2007 URKA 90:2.4 무당들은 운(運)의 역할을 영들의 뜻에 대한 계시적인 것으로 굳게 믿었다; 결정을 내리기 위해 제비를 뽑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제비를 뽑는 성향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라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운수를 바라는 많은 경기들에서 뿐만 아니라 “숫자를 세어-뽑아내기”는 유명한 말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한 때는 일단 뽑힌 사람은 반드시 죽어야 했는데; 오늘날에는 아이들의 장난 속에서만이 그렇게 된다. 원시인에게 심각한 일이었던 그러한 것이 현대 아이들의 기분전환으로 생존하고 있다.
2025 90:2.4 샤먼들은 우연이 영들의 뜻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고 크게 믿었다. 그들은 제비를 뽑아서 자주 결정을 내렸다. 이 제비 뽑는 성향이 현대에 남아 있는 것은 우연이 결정하는 많은 노름뿐 아니라, 또한 잘 알려진 “술래를 따돌리기”하는[96] 운문(韻文)에서도 나타난다. 한때는 따돌림 받은 술래는 죽어야 했다. 이제 그런 사람은 어떤 어린아이 놀이에서 술래이다. 원시인에게 심각한 일이었던 것이 현대에 어린아이의 오락으로 살아남았다.
1955 90:2.5 The medicine men put great trust in signs and omens, such as, “When you hear the sound of a rustling in the tops of the mulberry trees, then shall you bestir yourself.” Very early in the history of the race the shamans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stars. Primitive astrology was a world-wide belief and practice; dream interpreting also became widespread. All this was soon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those temperamental shamanesses who profess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pirits of the dead.
2000 90:2.5 “뽕나무 꼭대기에서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들을 때, 너는 분발할지라”하는 것처럼, 주술사는 징조와 전조를 크게 믿었다. 종족의 역사에서 아주 일찍부터 샤먼들은 별에 눈을 돌렸다. 원시의 점성술은 세계에 널리 퍼진 믿음이요 관습이었다. 꿈의 풀이도 널리 퍼졌다. 이 모든 것 후에, 죽은 자의 영과 교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변덕스러운 여자 샤먼이 뒤이어 나타났다.
2001 CM 90:2.5 주술사{呪術師}는, “뽕나무 꼭대기에서 부스럭거리는 소리를 듣거든, 더 분발해서 일해야한다”는 식으로, 표적과 징조를 대단히 신용하도록 만들었다. 무당은 종족의 역사에서 아주 초기부터 별에 관심을 쏟았다. 원시 점성술은 범세계적인 믿음과 풍습이었으며;꿈 해몽 역시 널리 퍼졌다. 이 모든 것에 뒤이어, 죽은 자의 영{靈}과 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신경과민증 여자 무당들이 곧 출현했다.
2007 URKA 90:2.5 주술사는 “뽕나무 꼭대기에서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나거든 더욱 분발해서 일해야 한다.”는 식으로 표적들과 징조들을 속에 커다란 신뢰감을 불어넣었다. 인류 역사의 매우 초기 시대부터 무당들은 별들에게 관심을 쏟았다. 원시적인 점성술은 범세계적인 신념 그리고 실천 관행이었다; 꿈 해몽 역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 모든 것에 바로 뒤이어서, 죽은 자들의 영과 교통을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하는 신경증적인 그 여자 무당들이 출현하였다.
1955 90:2.6 Though of ancient origin, the rain makers, or weather shamans, have persisted right on down through the ages. A severe drought meant death to the early agriculturists; weather control was the object of much ancient magic. Civilized man still makes the weather the common topic of conversation. The olden peoples all believed in the power of the shaman as a rain maker, but it was customary to kill him when he failed, unless he could offer a plausible excuse to account for the failure.
2000 90:2.6 고대에 기원이 있지만, 기우사(祈雨師)나 천기(天氣)를 움직이는 샤먼은 오랜 세월을 거쳐서 죽 버티어 왔다. 극심한 가뭄은 옛날 농사꾼에게 죽음을 뜻했다. 날씨를 통제하는 것이 고대의 많은 마술의 목적이었다. 문명화된 사람은 아직도 대화할 때 날씨를 보통 이야기거리로 삼는다. 옛날 사람들은 모두 샤먼이 비를 내리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지만, 실패했을 때 왜 실패했는가 설명하는 그럴듯한 핑계를 내놓을 수 없으면, 그를 죽이는 것이 풍습이었다.
2001 CM 90:2.6 비를 내리게 하거나 날씨를 조정한다는 무당은, 아주 옛날에 기원됐음에도, 여러 시대를 거쳐서 계속 유지돼왔다. 심각한 가뭄은 옛 농부에게 죽음이나 다름없었으며;날씨를 통제하는 일이 여러 고대 마술의 목적이었다. 문명화된 인간도 여전히 날씨를 평범한 대화 주제로 삼고 있다. 옛 사람은 모두, 무당이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다고 믿었으나, 그가 실패할 때 그 실패에 대한 그럴듯한 핑계를 대지 못하면, 그를 죽이는 것이 관습이었다.
2007 URKA 90:2.6 비를 만드는 이, 날씨 무당들은, 아주 옛날에 기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시대를 거쳐 계속 유지되어 오고 있다. 심각한 가뭄은 옛 농부들에게 죽음이나 다름없었다; 날씨를 통제하는 일은 옛날에 있었던 대부분의 마술의 목적이었다. 문명화된 사람들도 여전히 날씨를 평범한 대화의 주제로 삼고 있다. 옛 사람들은 모두 무당이 비를 만드는 자로서의 힘을 지닌다고 믿었지만, 그가 실패할 때 만약에 그 실패에 대한 그럴듯한 핑계를 대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를 죽이는 것이 관례였다.
2025 90:2.6 고대에 기원이 있지만, 기우사(祈雨師)나 천기(天氣)를 움직이는 샤먼은 오랜 세월을 거쳐서 죽 버티어 왔다. 극심한 가뭄은 옛날 농사꾼에게 죽음을 뜻했다. 날씨를 통제하는 것이 고대의 많은 마술의 목적이었다. 문명화된 사람은 아직도 대화할 때 날씨를 보통 이야기거리로 삼는다. 옛날 사람들은 모두 샤먼이 비를 내리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지만, 실패했을 때 왜 실패했는가 설명하는 그럴듯한 핑계를 내놓을 수 없으면, 그를 죽이는 것이 풍습이었다.
1955 90:2.7 Again and again did the Caesars banish the astrologers, but they invariably returned because of the popular belief in their powers. They could not be driven out, and even in the sixteenth century after Christ the directors of Occidental church and state were the patrons of astrology. Thousands of supposedly intelligent people still believe that one may be born under the domination of a lucky or an unlucky star; that the juxtaposition of the heavenly bodies determines the outcome of various terrestrial adventures. Fortunetellers are still patronized by the credulous.
2000 90:2.7 로마의 황제들은 거듭 점성가들을 추방했지만, 대중이 그들의 힘을 믿었기 때문에 그들은 변함없이 되돌아왔다. 그들을 쫓아낼 수 없었고, 그리스도 뒤 16세기에도 서양에서 교회와 국가의 지도자들은 점성술의 후원자였다. 총명하다고 생각되는 허다한 사람이, 행운의 별이나 불운의 별의 지배를 받으며 사람이 태어날 수 있다고, 천체들이 나란히 있는 것은 땅에서 여러 가지 모험의 결과를 좌우한다고 아직도 믿는다. 귓구멍 넓은 사람들이 아직도 점쟁이를 후원한다.
2001 CM 90:2.7 가이사들이 점성가를 여러 번 추방시켰어도, 저희가 늘 다시 돌아온 것은, 대중이 그들의 능력을 믿었기 때문이다. 그들을 쫓아낼 수 없었으며, 심지어 기원후 16세기에도 서양 교회와 국가 지도자들이 점성술을 신봉했다. 지성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수많은 사람이, 행운 또는 불운의 별에 영향을 받으면서 아이가 태어난다고;하늘에 있는 천체들의 평행 현상이 여러 가지 예사롭지 않은 세상 사건의 결과를 결정한다고, 여전히 믿고 있다. 경솔하게 믿는 자들은 여전히 점쟁이를 즐겨 찾는다.
2007 URKA 90:2.7 시저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점성가들을 추방시켰지만, 그들이 늘 다시 돌아온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들의 힘을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추방될 수가 없었으며, 심지어는 그리스도 이후 16세기 이후까지도 서방 교회와 국가 지도자들이 점성술을 신봉하였다. 행운의 별이나 불운의 별의 지배아래에서 사람이 태어나게 된다는 믿음과; 하늘에 있는 몸체와 나란히 놓여 있는 배열이 이 세상의 다양한 모험들의 결과를 결정한다는 믿음이, 수많은 지적 대중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통용되고 있다. 아직도 점쟁이들은 귀가 엷은 사람들을 단골로 삼고 있다.
1955 90:2.8 The Greeks believed in the efficacy of oracular advice, the Chinese used magic as protection against demons, shamanism flourished in India, and it still openly persists in central Asia. It is an only recently abandoned practice throughout much of the world.
2000 90:2.8 그리스인은 신탁(神託)의 조언이 효력이 있다고 믿었고, 중국인은 마귀로부터 보호를 받으려고 마술을 썼으며, 주술은 인도에서 번성했고 아직도 중앙 아시아에서 버젓이 지속한다. 주술은 세계의 많은 곳에서 두루, 겨우 요즈음에야 버린 관습이다.
2001 CM 90:2.8 그리스인은 신탁{神託}의 충고가 효력이 있다고 믿었으며, 중국인은 귀신을 대적하는 방법으로 마술을 이용했고, 인도에서는 무속신앙이 번성했고, 중앙 아시아에서는 여전히 무속신앙이 공공연히 지속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그 풍습을 배격하는 것은 오직 최근의 일이다.
2007 URKA 90:2.8 그리스인들은 신탁의 충고에 대한 효능을 믿었고, 중국인들은 마귀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으로 마술을 이용하였으며, 인도에서는 주술이 번성하였고, 중앙아시아에서는 아직도 주술이 지속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그것이 포기되어지는 실천 관행이 된 것은 겨우 최근의 일이다.
2025 90:2.8 그리스인은 신탁(神託)의 조언이 효력이 있다고 믿었고, 중국인은 마귀로부터 보호를 받으려고 마술을 썼으며, 주술은 인도에서 번성했고 아직도 중앙 아시아에서 버젓이 지속한다. 주술은 세계의 많은 곳에서 두루, 겨우 요즈음에야 버린 관습이다.
1955 90:2.9 Ever and anon, true prophets and teachers arose to denounce and expose shamanism. Even the vanishing red man had such a prophet within the past hundred years, the Shawnee Tenskwatawa, who predicted the eclipse of the sun in 1806 and denounced the vices of the white man. Many true teachers have appeared among the various tribes and races all through the long ages of evolutionary history. And they will ever continue to appear to challenge the shamans or priests of any age who oppose general education and attempt to thwart scientific progress.
2000 90:2.9 때때로 참 선지자와 선생들이 일어나서 주술 신앙을 비판하고 폭로하였다. 사라지는 홍인조차도 지난 몇백 년 안에 그러한 선지자가 있었는데, 쇼니 족의 텐스콰타와는 태양의 일식(日蝕)이 1808년에 있을 것을 예언했고, 백인의 악덕을 비난하였다. 허다한 참된 선생이 오랫동안의 진화 역사를 통해서, 여러 부족과 종족 사이에서 나타났다. 어떤 시대의 샤먼이나 사제가 대중(大衆) 교육을 반대하고 과학의 진보를 망치려고 애쓰더라도 그들에게 도전하려고 참된 선생들이 늘 계속해서 나타날 것이다.
2001 CM 90:2.9 때때로, 선지자와 선생이 출현하여, 무속신앙을 비난하고 가면을 벗기려했다. 심지어 사라져가는 홍색인조차 그런 선지자들이 지난 수백 년 사이에 나타났었는데, 샤우니 텐스콰타와는 1,808년에 태양의 일식{日蝕}을 예언했고, 백색인의 악행을 비난했다. 오랜 기간의 진화 역사에서, 많은 참된 선생이 여러 부족과 종족 가운데 출현했었다. 각 시대의 무당 또는 사제가 대중{大衆} 교육을 반대하고 과학적 진보를 훼방하려 애쓰더라도, 그들에게 대항하려고 참된 선생들이 앞으로도 계속 나타날 것이다.
2007 URKA 90:2.9 때때로, 선지자들과 선생들이 출현하여 샤머니즘을 비난하고 그 가면을 벗기려고 하였다. 심지어는 사라져 가고 있는 적색 인종 사이에서도 그러한 선지자들이 지난 수백 년 사이에 나타났었는데, 쇼니족 사람 텐스콰타와는 1,808년에 태양의 일식을 예언하였고 백인들의 악행을 비난하였다. 오랜 기간의 진화 역사 속에서 여러 부족들과 종족들 속에서 많은 참된 선생들이 출현하였었다. 그리고 그러한 사람들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나타나, 일반적인 교육을 반대하고 과학적인 진보를 훼방하려고 애쓰는 각 시대의 무당들 또는 사제들에게 대항할 것이다.
2025 90:2.9 때때로 참 선지자와 선생들이 일어나서 주술 신앙을 비판하고 폭로하였다. 사라지는 홍인조차도 지난 몇백 년 안에 그러한 선지자가 있었는데, 쇼니 족의 텐스콰타와는 태양의 일식(日蝕)이 1808년에 있을 것을 예언했고, 백인의 악덕을 비난하였다. 허다한 참된 선생이 오랫동안의 진화 역사를 통해서, 여러 부족과 종족 사이에서 나타났다. 어떤 시대의 샤먼이나 사제가 대중(大衆) 교육을 반대하고 과학의 진보를 망치려고 애쓰더라도 그들에게 도전하려고 참된 선생들이 늘 계속해서 나타날 것이다.
1955 90:2.10 In many ways and by devious methods the olden shamans established their reputations as voices of God and custodians of providence. They sprinkled the newborn with water and conferred names upon them; they circumcised the males. They presided over all burial ceremonies and made due announcement of the safe arrival of the dead in spiritland.
2000 90:2.10 여러 면에서, 빗나간 방법으로, 옛 샤먼들은 하나님의 목소리요 섭리의 보관자로서 명성을 유지했다. 그들은 갓난아기에게 물을 뿌렸고, 그들에게 이름을 주었으며, 남자들에게 할례를 주었다. 모든 장례식을 주관했고, 죽은 자가 영 나라에 안전히 도착했다고 공식으로 선포했다.
2001 CM 90:2.10 옛 무당들은, 하나님을 대변하는 자요 신의 뜻을 보존하는 자로서의 명성을, 여러 면에서 사악한 방식으로 구축했다. 그들은 갓난아기에게 물을 뿌리고 이름을 지어줬으며;남자에게 할례를 행했다. 모든 장례 예식을 주관했고, 죽은 자가 영{靈}나라에 무사히 도착했다고 공식으로 선포했다.
2007 URKA 90:2.10 옛날의 무당들은, 여러 가지 수단으로 그리고 사악한 방법에 의해서, 하느님의 대변자와 섭리의 보호관리자로 자신의 명성을 구축하였다. 그들은 새로 태어나는 아기에게 물을 뿌리고 이름을 지어주었다; 남자들에게 할례를 행하였다. 그들은 모든 장례 예식을 주관하였고, 죽은 자들이 영의 나라에 무사히 도착하도록 만든다고 여겨지는 안내문을 공표 하였다.
2025 90:2.10 여러 면에서, 빗나간 방법으로, 옛 샤먼들은 하나님의 목소리요 섭리의 보관자로서 명성을 유지했다. 그들은 갓난아기에게 물을 뿌렸고, 그들에게 이름을 주었으며, 남자들에게 할례를 주었다. 모든 장례식을 주관했고, 죽은 자가 영 나라에 안전히 도착했다고 공식으로 선포했다.
1955 90:2.11 The shamanic priests and medicine men often became very wealthy through the accretion of their various fees which were ostensibly offerings to the spirits. Not infrequently a shaman would accumulate practically all the material wealth of his tribe. Upon the death of a wealthy man it was customary to divide his property equally with the shaman and some public enterprise or charity. This practice still obtains in some parts of Tibet, where one half the male population belongs to this class of nonproducers.
2000 90:2.11 샤먼 사제와 주술사들은, 겉으로 영들에게 바치는 제물인 여러 가지 요금을 축적함으로 흔히 아주 부유하게 되었다. 뜸하지 않게 샤먼은 실질적으로 부족 재산을 다 끌어 모으곤 했다. 부자가 죽고 나면, 그의 재산을 샤먼과 어떤 공익 사업이나 자선(慈善)에 똑같이 나누는 것이 풍습이었다. 이 관습은 아직도 티벳의 어떤 구석에서 행해지는데, 거기에는 남자 인구의 반이 이 등급의 비생산자에 속한다.
2001 CM 90:2.11 무속{巫俗} 사제와 주술사들이, 표면적으로는 영들에게 바치는 다양한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대단히 큰 부자{富者}가 되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한 무당이 자기 부족의 물질 재산 거의 전부를 소유하려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부자가 죽게 되면, 어떤 공공 단체 또는 자선 단체와 무당이 그의 재산을 똑같이 나눠 갖는 것이 관습이었다. 이런 풍습은 티벳의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통용되는데, 거기서는 남자 인구의 절반이 비생산적인 이 부류에 속해있다.
2007 URKA 90:2.11 무속적인 사제들과 주술사들은, 표면적으로는 영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요금들을 부과함으로써 매우 큰 부자가 되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무당이 자기 부족의 물질적인 재산 전체를 실천적으로 소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부자가 죽게 되면, 그의 재산을 어떤 공공 단체 또는 자선 단체와 무당이 똑같이 나누어 갖는 것이 관례였다. 이러한 관습은 티베트에 있는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통용되고 있는데, 그곳에서는 전체 남자들의 절반이 비생산적인 이러한 부류에 속하여 있다.
2025 90:2.11 샤먼 사제와 주술사들은, 겉으로 영들에게 바치는 제물인 여러 가지 요금을 축적함으로 흔히 아주 부유하게 되었다. 뜸하지 않게 샤먼은 실질적으로 부족 재산을 다 끌어 모으곤 했다. 부자가 죽고 나면, 그의 재산을 샤먼과 어떤 공익 사업이나 자선(慈善)에 똑같이 나누는 것이 풍습이었다. 이 관습은 아직도 티벳의 어떤 구석에서 행해지는데, 거기에는 남자 인구의 반이 이 등급의 비생산자에 속한다.
1955 90:2.12 The shamans dressed well and usually had a number of wives; they were the original aristocracy, being exempt from all tribal restrictions. They were very often of low-grade mind and morals. They suppressed their rivals by denominating them witches or sorcerers and very frequently rose to such positions of influence and power that they were able to dominate the chiefs or kings.
2000 90:2.12 샤먼은 옷을 잘 차려 입었고, 아내를 보통 몇명 거느렸다. 그들은 최초의 귀족이었고, 부족의 모든 제한을 면제받았다. 그들은 아주 흔히 낮은 등급의 머리와 도덕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경쟁자를 마녀나 마술사라고 불러서 억눌렀고, 아주 흔히 영향력과 권력을 가진 자리에 올랐으며, 그래서 추장이나 임금을 지배할 수 있었다.
2001 CM 90:2.12 무당은 옷을 잘 입었고, 대개 여러 아내를 거느렸으며;첫 귀족에 해당됐는데, 부족의 모든 제약조건에서 면제됐다. 저급한 정신과 도덕을 지닌 경우가 아주 흔했다. 경쟁자를 마녀 또는 요술쟁이로 몰아서 탄압했고, 최고책임자나 왕을 지배할 수 있는 영향력과 힘을 갖는 위치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아주 많았다.
2007 URKA 90:2.12 무당들은 옷을 잘 입었고 여러 명의 아내를 거느렸으며; 최초의 귀족에 해당되었는데, 부족의 모든 제약 조건으로부터 제외되었다. 그들은 매우 열등한 마음과 도덕을 소유한 경우가 매우 흔하였다. 그들은 자기 경쟁자들을 마녀 또는 요술쟁이로 몰아서 탄압하였고, 우두머리들이나 왕들을 지배할 수 있는 영향력과 힘을 갖는 위치에까지 상승하는 경우가 매우 흔히 있었다.
2025 90:2.12 샤먼은 옷을 잘 차려 입었고, 아내를 보통 몇 명 거느렸다. 그들은 최초의 귀족이었고, 부족의 모든 제한에서 면제되었다. 그들은 아주 흔히 낮은 등급의 머리와 도덕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경쟁자를 마녀나 마술사라고 불러서 억눌렀고, 아주 흔히 영향력과 권력을 가진 자리에 올랐으며, 그래서 추장이나 임금을 지배할 수 있었다.
1955 90:2.13 Primitive man regarded the shaman as a necessary evil; he feared him but did not love him. Early man respected knowledge; he honored and rewarded wisdom. The shaman was mostly fraud, but the veneration for shamanism well illustrates the premium put upon wisdom in the evolution of the race.
2000 90:2.13 원시인은 샤먼을 필요악이라고 여겼다. 샤먼을 무서워했으나 사랑하지는 않았다. 옛날 사람은 지식을 존경했고, 지혜를 존중하고 그 값을 치렀다. 샤먼은 대체로 사기(詐欺)였지만, 주술을 존중하는 것은 종족의 진화에서 지혜에 웃돈을 지불했음을 잘 보여준다.
2001 CM 90:2.13 원시인은 무당을 필요악{必要惡}으로 여겼으며;그를 두려워했지만 좋아하지는 않았다. 초기 인류는 지식을 높이 평가했으며;지혜를 존중하고 그 값을 지불했다. 무당은 대개 사기꾼이었으나, 무속신앙을 공경한 것은, 그 종족이 진화하는 동안 지혜에 권리금을 치렀음을 잘 보여준다.
2007 URKA 90:2.13 원시인은 무당을 피할 수 없는 악한 존재로 간주하였다; 그를 두려워하였지만 좋아하지는 않았다. 옛 사람들은 지식을 높이 평가하였고; 지혜를 명예롭게 여기고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무당은 대개 사기꾼이었지만, 샤머니즘에 대한 숭배는 그 종족의 진화에 있어서 지혜를 높이 평가하였음을 잘 나타내 준다.
2025 90:2.13 원시인은 샤먼을 필요악이라 여겼다. 샤먼을 무서워했으나 사랑하지는 않았다. 옛날 사람은 지식을 존경했고, 지혜를 존중하고 그 값을 치렀다. 샤먼은 대체로 사기(詐欺)였지만, 주술을 존중하는 것은 종족의 진화에서 지혜에 웃돈을 지불했음을 잘 보여준다.
3. THE SHAMANIC THEORY OF DISEASE AND DEATH
3. 병과 죽음에 대한 샤먼 이론
3. 질병과 죽음에 대한 무속의 견해
3. 질병과 죽음에 대한 무속적 견해
3. 병과 죽음에 대한 샤먼 이론
1955 90:3.1 Since ancient man regarded himself and his material environment as being directly responsive to the whims of the ghosts and the fancies of the spirits, it is not strange that his religion should have been so exclusively concerned with material affairs. Modern man attacks his material problems directly; he recognizes that matter is responsive to the intelligent manipulation of mind. Primitive man likewise desired to modify and even to control the life and energies of the physical domains; and since his limited comprehension of the cosmos led him to the belief that ghosts, spirits, and gods were personally and immediately concerned with the detailed control of life and matter, he logically directed his efforts to winning the favor and support of these superhuman agencies.
2000 90:3.1 옛날 사람이 자신과 물질 환경이 직접, 귀신의 변덕과 영의 취미에 민감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의 종교가 물질적 일에만 순전히 관계되었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현대인은 자기의 물질 문제를 직접 공격한다. 사물이 그의 머리를 총명하게 쓰는 데 반응하는 것을 깨닫는다. 마찬가지로 원시인은 물리적 영토에 있는 생명과 에너지를 수정하고, 아니 통제하기를 바랐다. 그리고 우주에 대한 원시인의 이해가 제한된 것은 그로 하여금 귀신ㆍ영ㆍ신들이 몸소 직접, 생명과 물질을 낱낱이 통제하는 데 관여한다는 관념으로 이끌었기 때문에, 이치에 맞게 원시인은 이 초인간 매개자들의 은혜와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을 기울였다.
2001 CM 90:3.1 고대인은 자신과 자신의 물질 환경이 유령의 변덕과 영의 즉흥적 생각에 직접 반응한다고 생각했으므로, 그의 종교가 오로지 물질 용건에만 관련됐다는 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현대인은 자신의 물질 문제에 직접 대처하며;정신이 총명하게 조종함에 따라서 물질이 반응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원시인도 마찬가지로 물리적 영역의 에너지와 생명을 변경하고, 심지어 통제할 수 있게 되기를 열망했지만;시공우주에 대한 납득이 제한됐으므로, 유령과 영과 신들이 몸소 생명과 물질을 낱낱이 통제하는 데 즉시 관여한다고 믿게 됐고, 이런 초인적 대행자의 호감과 후원을 얻을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자신의 노고를 기울였다.
2007 URKA 90:3.1 고대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물질적인 환경이 귀신들의 변덕스러운 마음과 영들의 호감을 사는 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그의 종교가 물질적인 관련사들과 매우 배타적으로 관련되는 것은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니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물질적인 문제들에 직접적으로 대처한다; 마음의 지적인 조종에 따라 물질이 반응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원시인도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권역의 에너지들과 생명을 개선하고 심지어는 통제할 수 있게 되기를 열망하였지만; 조화우주에 대한 제한된 이해 때문에, 귀신들과 영들 그리고 하느님들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즉각적으로 생명과 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통제에 관여하고 있다고 믿게 되었고, 이러한 초인간적 대리자들의 호감과 도움을 얻기 위하여 논리적인 방향으로 자신의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다.
2025 90:3.1 옛날 사람이 자신과 물질 환경이 직접, 귀신의 변덕과 영의 취미에 민감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의 종교가 물질적 일에만 순전히 관계되었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현대인은 자기의 물질 문제를 직접 공격한다. 사물이 그의 머리를 총명하게 쓰는 데 반응하는 것을 깨닫는다. 마찬가지로 원시인은 물리적 영토에 있는 생명과 에너지를 수정하고, 아니 통제하기를 바랐다. 그리고 우주에 대한 원시인의 이해가 제한된 것은 그로 하여금 귀신ㆍ영ㆍ신들이 몸소 직접, 생명과 물질을 낱낱이 통제하는 데 관여한다는 관념으로 이끌었기 때문에, 이치에 맞게 원시인은 이 초인간 매개자들의 은혜와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을 기울였다.
1955 90:3.2 Viewed in this light, much of the inexplicable and irrational in the ancient cults is understandable. The ceremonies of the cult were primitive man’s attempt to control the material world in which he found himself. And many of his efforts were directed to the end of prolonging life and insuring health. Since all diseases and death itself were originally regarded as spirit phenomena, it was inevitable that the shamans, while functioning as medicine men and priests, should also have labored as doctors and surgeons.
2000 90:3.2 이 관점에서 비추어 볼 때, 고대의 종파 예식에서 설명할 수 없고 비합리적인 많은 것이 이해된다. 종파의 예식은 원시인이 자기가 살고 있는 물질 세계를 통제하려는 시도였다. 원시인은 목숨을 연장하고 건강을 보장하려는 목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모든 병과 죽음 그 자체가 최초에는 영 현상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샤먼이 주술사와 사제로서 활동하면서, 또한 의사(醫師)와 외과 의사로 수고해야 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2001 CM 90:3.2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고대의 예찬집단에 있는 설명할 수 없고 불합리한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찬집단의 예식은, 원시인 자신이 살고 있는 물질세계를 통제해보려는 시도였다. 그리고 원시인은, 목숨을 연장하고 건강을 보장하려는 목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모든 질병과 죽음 자체가 처음부터 영적 현상으로 간주됐으므로, 무당은 주술사와 사제로서 활동하는 동시에, 의사와 외과의사의 일도 해야 했다.
2007 URKA 90:3.2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고대의 예배종파들 속에 있는 설명할 수 없고 불합리한 것들 대부분을 납득할 수 있게 된다. 그 예배종파의 예식들은 원시인 자신이 자기가 서 있는 물질세계를 통제해 보려는 시도였다. 그리고 그가 하였던 노력들 대부분은 건강을 보장하고 삶을 연장시키려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었다. 모든 질병들과 죽음 자체가 근본적으로 영적인 현상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무당들이 주술사와 사제의 기능을 하는 동시에 내과 의사와 외과 의사의 일도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2025 90:3.2 이 관점에서 비추어 볼 때, 고대의 종파 예식에서 설명할 수 없고 비합리적인 많은 것이 이해된다. 종파의 예식은 원시인이 자기가 살고 있는 물질 세계를 통제하려는 시도였다. 원시인은 목숨을 연장하고 건강을 보장하려는 목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모든 병과 죽음 그 자체가 최초에는 영 현상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샤먼이 주술사와 사제로서 활동하면서, 또한 의사(醫師)와 외과 의사로 수고해야 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1955 90:3.3 The primitive mind may be handicapped by lack of facts, but it is for all that logical. When thoughtful men observe disease and death, they set abou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se visitations, and in accordance with their understanding, the shamans and the scientists have propounded the following theories of affliction:
2000 90:3.3 원시인의 머리는 사실을 알지 못하여 장애를 받을지 모르지만, 그 모든 것에 논리가 있었다. 생각 깊은 사람들이 병과 죽음을 지켜볼 때, 그들은 이러한 고난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착수하고, 이해하는 데 따라서, 샤먼과 과학자는 고통에 관한 다음 여러 이론을 주창하였다:
2001 CM 90:3.3 원시 정신은 진상{眞相}을 알지 못함으로써 불리한 입장에 설 수 있지만, 그럼에도 논리적이다. 생각이 깊은 사람은 질병과 죽음을 볼 때, 이것을 발생시킨 원인을 규명하려하며, 무당과 과학자는 자신이 이해함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고통에 대한 이론을 제시해왔다:
2007 URKA 90:3.3 원시적인 마음을 소유한 사람은 그것이 논리적이라 할지라도 사실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장애를 받을 수도 있다. 생각이 깊은 사람들은 질병과 죽음을 바라볼 때 이것들이 찾아온 원인을 규명하려고 하며, 그들이 납득하는 바에 따라서 무당들과 과학자들은 불행의 원인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이론들을 제시해 왔다:
2025 90:3.3 원시인의 머리는 사실을 알지 못하여 장애를 받을지 모르지만, 그 모든 것에 논리가 있었다. 생각 깊은 사람들이 병과 죽음을 지켜볼 때, 그들은 이러한 고난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착수하고, 이해하는 데 따라서, 샤먼과 과학자는 고통에 관한 다음 여러 이론을 주창하였다:
1955 90:3.4 1. Ghosts—direct spirit influences. The earliest hypothesis advanced in explanation of disease and death was that spirits caused disease by enticing the soul out of the body; if it failed to return, death ensued. The ancients so feared the malevolent action of disease-producing ghosts that ailing individuals would often be deserted without even food or water. Regardless of the erroneous basis for these beliefs, they did effectively isolate afflicted individuals and prevent the spread of contagious disease.
2000 90:3.4 1. 귀신―영의 직접 영향. 병과 죽음을 설명하는 데 가장 일찍 제기된 가설은 영들이 혼이 몸에서 나오도록 유혹함으로 병을 일으키며, 혼이 돌아가지 못하면 죽음이 따른다는 것이었다. 옛날 사람들은 병을 일으키는 귀신이 악의로 하는 행위를 너무 무서워해서, 흔히 먹을 것이나 물도 주지 않고 아픈 사람을 버렸다. 그릇된 근거와 상관 없이, 이 관념은 병든 사람을 실질적으로 격리하고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막았다.
2001 CM 90:3.4 1. 유령 --영의 직접 영향. 질병과 죽음을 설명하는 데 가장 일찍 제기된 진보된 가설은, 혼이 육체에서 빠져나오도록 영들이 유혹하기 때문에 질병이 생기고, 그 혼이 돌아가지 못하면 그 결과로 죽게 된다는 것이었다. 고대인은 질병을 일으킨다고 여겨지는 유령의 심술궂은 행동을 너무 두려워한 나머지, 음식과 물도 주지 않은 채 병자를 버려두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믿음의 근거가 잘못됐음에도, 그들은 앓는 사람을 효과적으로 격리시켰고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막았다.
2007 URKA 90:3.4 1. 귀신─직접적인 영의 영향들. 질병과 죽음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진보를 이룩한 가장 오래된 가정(假定)은 영들이 혼으로 하여금 육체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유혹하기 때문에 질병이 생기고 만약에 그 혼이 다시 돌아가지 못하면 그 결과로 죽게 된다는 것이었다. 고대의 사람들은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귀신들의 심술궂은 행동을 너무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병든 개별존재를 음식과 물도 주지 않은 채로 버려두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신념들의 근거가 잘못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병든 개별존재들을 효과적으로 고립시켰고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막았다.
2025 90:3.4 1. 귀신 ― 영의 직접 영향. 병과 죽음을 설명하는 데 가장 일찍 제기된 가설은 영들이 혼이 몸에서 나오도록 유혹함으로 병을 일으키며, 혼이 돌아가지 못하면 죽음이 따른다는 것이었다. 옛날 사람들은 병을 일으키는 귀신이 악의로 하는 행위를 너무 무서워해서, 흔히 먹을 것이나 물도 주지 않고 아픈 사람을 버렸다. 그릇된 근거와 상관없이, 이 관념은 병든 사람을 실질적으로 격리하고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막았다.
1955 90:3.5 2. Violence—obvious causes. The causes for some accidents and deaths were so easy to identify that they were early removed from the category of ghost action. Fatalities and wounds attendant upon war, animal combat, and other readily identifiable agencies were considered as natural occurrences. But it was long believed that the spirits were still responsible for delayed healing or for the infection of wounds of even “natural” causation. If no observable natural agent could be discovered, the spirit ghosts were still held responsible for disease and death.
2000 90:3.5 2. 폭력―분명한 원인. 어떤 사고나 죽음의 원인은 확인하기 아주 쉬웠고, 그래서 이러한 원인은 귀신 행위의 종류로부터 일찍 제거되었다. 전쟁, 동물과 싸움하기, 그리고 기타 금방 확인할 수 있는 매체들에 따르는 사망과 상처는 자연스러운 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병이 낫는 데 오래 걸리거나, 또는 “자연스러운” 원인으로 생겨도 상처가 곪는 것은 여전히 영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오랫동안 믿었다. 관찰할 수 있는 아무런 자연 요인을 발견할 수 없으면, 영 귀신들이 여전히 병과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2001 CM 90:3.5 2. 폭력 --명백한 원인. 어떤 사고나 죽음의 원인은 너무 쉽게 판명됐으므로, 유령의 작용으로 여겨지는 범주에서 일찍부터 제외됐다. 전쟁, 동물과 싸우기, 그리고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기타 작용으로 죽거나 다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지연되는 치료 또는 심지어 “자연스런” 인과관계로 발생돼도, 상처가 감염되는 것은 여전히 영들에게 원인이 있다는 믿음이 오랫동안 지속됐다. 눈에 보이는 당연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으면, 그 질병과 죽음의 원인이 여전히 영 유령들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2007 URKA 90:3.5 2. 폭력─명백한 원인들. 어떤 재난과 죽음에 대한 원인은 너무나 쉽게 정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귀신의 활동으로 여겨지는 범주에서 일찍부터 제외되었다. 전쟁과 동물과의 격투 그리고 다른 어떤 용이하게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리자에 의해 죽거나 다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치료가 지연되는 것에 대해서 또는 심지어 “자연적” 원인성으로 발생된 상처가 감염된 경우에 대해서는 여전히 영들에게 그 원인이 있다는 믿음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눈에 보이는 당연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영적인 귀신들이 여전히 그 질병과 죽음의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다.
2025 90:3.5 2. 폭력 ― 분명한 원인. 어떤 사고나 죽음의 원인은 확인하기 아주 쉬웠고, 그래서 이러한 원인은 귀신 행위의 종류에서 일찍 제거되었다. 전쟁, 동물과 싸움하기, 그리고 기타 금방 확인할 수 있는 매체들에 따르는 사망과 상처는 자연스러운 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병이 낫는 데 오래 걸리거나, 또는 “자연스러운” 원인으로 생겨도 상처가 곪는 것은 여전히 영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오랫동안 믿었다. 관찰할 수 있는 아무런 자연 요인을 발견할 수 없으면, 영 귀신들이 여전히 병과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1955 90:3.6 Today, in Africa and elsewhere may be found primitive peoples who kill someone every time a nonviolent death occurs. Their medicine men indicate the guilty parties. If a mother dies in childbirth, the child is immediately strangled—a life for a life.
2000 90:3.6 오늘날 아프리카와 기타 지역에서, 횡사(橫死)가 아닌 죽음이 일어날 때마다 어떤 사람을 죽이는 원시 민족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의 주술사는 죄 있는 편을 지적한다. 어머니가 아이를 낳다가 죽으면, 그 아이는 즉시 목 졸려 죽음을 당했다―한 목숨으로 다른 목숨을 갚는다.
2001 CM 90:3.6 오늘날, 누군가 폭력이 아닌 원인으로 죽을 때마다 다른 사람을 죽이는 원시 민족들을, 아프리카 및 기타 지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잘못을 범한 상대방을 그들의 주술사가 지목한다. 아이를 낳다가 산모가 죽으면, --생명에는 생명으로-- 그 아이를 즉시 목 졸라 죽였다.
2007 URKA 90:3.6 오늘날에도, 어떤 사람이 폭력에 의하지 않고 죽음이 발생할 때마다 다른 사람을 죽이는 원시 민족들이 아프리카와 다른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들의 주술사들이 죄가 있는 상대방들을 지적한다. 만약에 아이를 낳다가 산모가 죽게 되면, 그 아이는 즉시 목을 졸라 죽였다─생명에는 생명으로.
2025 90:3.6 오늘날 아프리카와 기타 지역에서, 횡사(橫死)가 아닌 죽음이 일어날 때마다 어떤 사람을 죽이는 원시 민족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의 주술사는 죄 있는 편을 지적한다. 어머니가 아이를 낳다가 죽으면, 그 아이는 즉시 목 졸려 죽음을 당했다 ― 한 목숨으로 다른 목숨을 갚는다.
1955 90:3.7 3. Magic—the influence of enemies. Much sickness was thought to be caused by bewitchment, the action of the evil eye and the magic pointing bow. At one time it was really dangerous to point a finger at anyone; it is still regarded as ill-mannered to point. In cases of obscure disease and death the ancients would hold a formal inquest, dissect the body, and settle upon some finding as the cause of death; otherwise the death would be laid to witchcraft, thus necessitating the execution of the witch responsible therefor. These ancient coroner’s inquests saved many a supposed witch’s life. Among some it was believed that a tribesman could die as a result of his own witchcraft, in which event no one was accused.
2000 90:3.7 3. 마술―적들의 영향. 많은 질병이 요술, 곧 악한 눈, 그리고 누구를 지적하는 마술 활의 작용으로 인하여 생긴다고 생각되었다. 한때는 누구에게 손가락질하는 것이 정말로 위험했다. 아직도 손가락질하는 것이 예의에 어긋난다고 생각된다. 분명치 않은 병과 죽음이 있을 경우에, 옛날 사람들은 정식으로 검시하고, 시체를 해부하고, 무엇을 발견하면 그것이 죽음의 원인이라고 결정을 내리곤 했다.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요술의 책임으로 돌리곤 했으며, 따라서 그에 책임 있는 마녀를 죽이는 것이 필요했다. 옛날 검시관의 검시는 마녀라고 생각된 자들의 목숨을 많이 건졌다. 어떤 사람들 사이에서, 부족 사람은 스스로 마술을 쓴 결과로 죽을 수 있다고 믿었고, 이 경우에는 아무도 고발되지 않았다.
2001 CM 90:3.7 3. 마술 --적의 영향력. 대부분의 질병은, 마녀술책에 걸림으로써, 즉 흉안이나 마술적 활 겨누기 행위로 인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한때는 다른 사람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을 정말로 위험하게 여겼으며;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은 지금도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된다. 애매한 질병이나 죽음이 발생된 경우에, 고대인은 공식으로 검시하고, 시신을 해부하고, 무엇을 발견하면 그것이 질병의 원인이라고 결정하곤 했으며;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마녀술책의 책임으로 돌리곤 했고, 따라서 그 책임이 있는 마녀를 죽일 필요가 있었다. 옛 검시관의 검시가, 마녀라고 생각되는 자의 생명을 많이 살렸다. 어떤 부족 가운데서는 부족원이 스스로 마녀술책에 걸려서 죽을 수 있다고 믿었으며, 그런 경우에는 아무도 고발되지 않았다.
2007 URKA 90:3.7 3. 마법─적들에서의 영향. 대부분의 질병은 요술에 걸려서, 흉안(凶眼)과 마법적인 활쏘기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한 때는 다른 사람에게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이 실제로 위험한 것으로 여겨졌었다;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은 지금도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되고 있다. 질병이나 죽음이 발생된 경우에 고대의 사람들은 형식적인 참관인을 배석시키고 시신을 해부하여 질병의 원인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자 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그 시체에게 마술이 걸린 것으로 보고 그 대신에 마녀를 죽이려고 하였다. 그 자리에 배석한 이러한 고대의 검시관들이, 죽게 된 마녀의 생명을 많이 살려주었다. 어떤 종족들 중에는 부족민이 자기 자신의 마술에 걸려서 죽을 수도 있다고 믿었으며, 그런 경우에는 아무도 고발을 당하지 않았다.
2025 90:3.7 3. 마술 ― 적들의 영향. 많은 질병이 요술, 곧 악한 눈, 그리고 누구를 지적하는 마술 활의 작용으로 인하여 생긴다고 생각되었다. 한때는 누구에게 손가락질하는 것이 정말로 위험했다. 아직도 손가락질하는 것이 예의에 어긋난다고 생각된다. 분명치 않은 병과 죽음이 생길 경우에, 옛날 사람들은 정식으로 검시하고, 시체를 해부하고, 무엇을 발견하면 그것이 죽음의 원인이라고 결정을 내리곤 했다.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요술의 책임으로 돌리곤 했으며, 따라서 그에 책임 있는 마녀를 죽이는 것이 필요했다. 옛날 검시관의 검시는 마녀라고 생각된 자들의 목숨을 많이 건졌다. 어떤 사람들 사이에서, 부족 사람은 스스로 마술을 쓴 결과로 죽을 수 있다고 믿었고, 이 경우에는 아무도 고발되지 않았다.
1955 90:3.8 4. Sin—punishment for taboo violation. In comparatively recent times it has been believed that sickness is a punishment for sin, personal or racial. Among peoples traversing this level of evolution the prevailing theory is that one cannot be afflicted unless one has violated a taboo. To regard sickness and suffering as “arrows of the Almighty within them” is typical of such beliefs. The Chinese and Mesopotamians long regarded disease as the result of the action of evil demons, although the Chaldeans also looked upon the stars as the cause of suffering. This theory of disease as a consequence of divine wrath is still prevalent among many reputedly civilized groups of Urantians.
2000 90:3.8 4. 죄―금기 위반에 대한 벌. 비교적 근래에 이르러, 질병은 개인이나 종족이 저지른 죄에 대한 벌이라고 믿었다. 이 수준의 진화를 거치는 민족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이론은, 사람이 금기를 어기지 않았으면 질병으로 고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질병과 고통을 “그들 안에 있는 전능자의 화살”로 여기는 것은 그러한 관념의 전형이다. 중국인과 메소포타미아인은 오랫동안 병이 나쁜 악마들이 행동한 결과라고 여겼다. 하지만 갈대아인은 또한 별이 고통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신이 성난 결과로 질병이 생긴다는 이 이론은, 문명화되었다고 소문난 여러 집단의 유란시아인 사이에서 아직도 유행한다.
2001 CM 90:3.8 4. 죄 --금기{禁忌} 위반에 대한 형벌. 비교적 근래에 이르러서, 질병은 개인이나 종족이 저지른 죄에 대한 형벌이라고 믿었다. 이런 수준의 진화를 겪고 있는 민족들 가운데 널리 퍼진 견해는, 누군가 금기를 범하지 않는 한, 아무도 고통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질병이나 수난을, “저희 안에 계시는 전능자의 화살”로 간주하는 태도는, 전형적인 그런 믿음의 모습이다. 중국인과 메소포타미아인은 질병을 악한 귀신이 작용한 결과로 간주했으며, 갈대아인은 또한 별들이 고난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신이 진노한 결과로 질병이 생긴다는 이런 견해는, 문명화된 것으로 평판 나 있는 대부분의 유란시아인 집단에서 여전히 우세하다.
2007 URKA 90:3.8 4. 죄─금기를 어긴 것에 대한 형벌. 비교적 근래에 이르러서는 질병이 개인적인 또는 종족 전체의 죄에 대한 형벌이라고 믿어져 왔다. 이러한 수준의 진화 단계를 거치고 있는 민족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는 견해는, 누군가가 금기를 범하지 않는 한 아무도 고통을 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질병과 고통을 “그들 속에 계시는 전능자의 화살들”로 간주하는 태도는 전형적인 그러한 신념들의 모습이다. 중국인들과 메소포타미아인 들은 질병을 악한 마귀가 활동한 결과로 간주한 반면, 갈대아인들은 별들이 고난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였다. 질병을 신성한 진노의 결과로 보는 이러한 견해는 문명화 된 것으로 평판이 나 있는 대부분의 유란시아인 집단들 속에서 여전히 우세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2025 90:3.8 4. 죄 ― 금기 위반에 대한 벌. 비교적 근래에 이르러, 질병은 개인이나 종족이 저지른 죄에 대한 벌이라고 믿었다. 이 수준의 진화를 거치는 민족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이론은, 사람이 금기를 어기지 않았으면 질병으로 고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질병과 고통을 “그들 안에 있는 전능자의 화살”로 여기는 것은 그러한 관념의 전형이다[8]. 중국인과 메소포타미아인은 오랫동안 병이 나쁜 악마들이 행동한 결과라고 여겼다. 하지만 갈대아인은 또한 별이 고통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신이 성난 결과로 질병이 생긴다는 이 이론은, 문명화되었다고 소문난 여러 집단의 유란시아인 사이에서 아직도 유행한다.
1955 90:3.9 5. Natural causation. Mankind has been very slow to learn the material secrets of the inter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in the physical domains of energy, matter, and life. The ancient Greeks, having preserved the traditions of Adamson’s teachings, were among the first to recognize that all disease is the result of natural causes. Slowly and certainly the unfolding of a scientific era is destroying man’s age-old theories of sickness and death. Fever was one of the first human ailments to be removed from the category of supernatural disorders, and progressively the era of science has broken the fetters of ignorance which so long imprisoned the human mind. An understanding of old age and contagion is gradually obliterating man’s fear of ghosts, spirits, and gods as the personal perpetrators of human misery and mortal suffering.
2000 90:3.9 5. 자연 원인. 인류는 에너지ㆍ물질ㆍ생명을 다루는 물리적 분야에서, 원인과 결과의 상호 관계인 물질적 비밀을 배우는 데 아주 더디었다. 고대 그리스인은 아담손의 가르침의 전통을 간직했기 때문에, 모든 병이 자연의 원인에서 생긴 결과인 것을 처음으로 깨달은 자였다. 과학 시대의 전개는 질병과 죽음에 대하여 사람이 오랜 세월에 걸쳐 가졌던 이론을 느리고 확실하게 무너뜨리고 있다. 열병은 초자연적 질환 종류로부터 처음으로 제거된 인간의 한 질병이었고, 점진적으로 과학 시대는 아주 오랫동안 인간의 지성을 가두어 두었던 그 무지의 사슬을 깨뜨렸다. 노령(老齡)과 전염을 이해하는 것은 귀신ㆍ영ㆍ신들이 인간의 비참한 일과 필사자의 고통을 몸소 일으킨다는, 사람의 두려움을 차츰 없애버리고 있다.
2001 CM 90:3.9 5. 자연발생적 인과관계. 에너지와 물질과 생명을 다루는 물리적 영역에서, 원인과 결과의 상호관계라는 물질적 비밀을 인류가 깨우치기까지, 무척 오랜 세월이 걸렸다. 아담선의 교훈을 전통으로 간직했던 고대 그리스인은, 질병이 자연발생적 원인의 결과라는 사실을 처음 깨달은 민족 가운데 하나였다. 과학 시대가 전개됨으로써, 질병과 죽음에 대한 케케묵은 견해는 서서히 확실하게 무너지고 있다. 열병{熱病}은 초자연적 부조화의 범주에서 제외된 첫 인간 질병이었고, 인간 정신을 그토록 오랫동안 가뒀던 무지의 족쇄를, 과학시대가 점차 파괴해왔다. 노화 현상과 전염병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고통과 팔사자의 수난을 직접 일으키는 가해자라고 여기는, 유령이나 영이나 신들에 대한 사람의 두려움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2007 URKA 90:3.9 5. 자연적 원인 작용. 인류는 에너지와 물질 그리고 생명에 대한 물리적 권역 속에 있는 상호관계의 물질적인 비밀들을 깨우치기까지 매우 오랜 세월이 걸렸다. 아담아들의 가르침을 전통으로 간직하고 있었던 고대의 그리스인들은, 질병이 자연적인 원인의 결과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은 민족들 중의 하나였다. 과학적인 시대의 발견이 질병과 죽음에 대한 케케묵은 견해들을 서서히 그리고 확실하게 파괴하고 있다. 열병은 초자연적인 부조화(不調和)의 범주에서 제외된 최초의 인간 질병들 중의 하나였으며, 인간 마음을 그토록 오랫동안 가두어 놓았던 무지의 족쇄를 과학시대가 점진적으로 파괴해 왔다. 노화 현상과 전염병에 대해 납득함으로써, 인간의 고통과 필자사의 고난을 주는 개인적인 가해자로 간주되는 귀신, 영, 그리고 하느님들에 대한 사람의 두려움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있다.
2025 90:3.9 5. 자연 원인. 인류는 에너지ㆍ물질ㆍ생명을 다루는 물리적 분야에서, 원인과 결과의 상호 관계인 물질적 비밀을 배우는 데 아주 더디었다. 고대 그리스인은 아담손의 가르침의 전통을 간직했기 때문에, 모든 병이 자연의 원인에서 생긴 결과인 것을 처음으로 깨달은 자였다. 과학 시대의 전개는 질병과 죽음에 대하여 사람이 오랜 세월에 걸쳐 가졌던 이론을 느리고 확실하게 무너뜨리고 있다. 열병은 초자연적 질환 종류로부터 처음으로 제거된 인간의 한 질병이었고, 점진적으로 과학 시대는 아주 오랫동안 인간의 지성을 가두어 두었던 그 무지의 사슬을 깨뜨렸다. 노령(老齡)과 전염을 이해하는 것은 귀신ㆍ영ㆍ신들이 인간의 비참한 일과 필사자의 고통을 몸소 일으킨다는, 사람의 두려움을 차츰 없애 버리고 있다.
1955 90:3.10 Evolution unerringly achieves its end: It imbues man with that superstitious fear of the unknown and dread of the unseen which is the scaffolding for the God concept. And having witnessed the birth of an advanced comprehension of Deity, through the co-ordinate action of revelation, this same technique of evolution then unerringly sets in motion those forces of thought which will inexorably obliterate the scaffolding, which has served its purpose.
2000 90:3.10 진화는 어김없이 그 목적을 이룬다. 진화는 미지의 것을 미신으로 두려워하고 보이지 않는 것을 무서워하는 마음을 사람에게 불어넣으며, 이것은 하나님 개념이 생기는 발판이다. 그리고 신에 대하여 진보된 이해가 생기고 나서, 바로 이 진화 기법은 나란히 일어나는 계시의 행위를 통해서, 어김없이 생각의 힘을 움직이게 만들며, 이것은 목적을 이루는 데 쓰인 발판을 용서 없이 없애버릴 것이다.
2001 CM 90:3.10 진화는 반드시 그 목적을 이루는데:진화는, 알려지지 않은 존재들을 미신으로 두려워하는 마음과,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무서워하는 마음을 사람에게 불어넣으며, 이는 하나님 개념이 생기는 발판이다. 그리고 신격에 대한 발전된 이해심이계시의 조화로운 작용을 통해서 생기는 것을 목격한, 바로 이 진화 기법은, 그 목적달성을 위하여 이바지해온 그 발판을 불가피하게 제거할 그런 사고{思考}의 힘이 반드시 작동하도록 만들 것이다.
2007 URKA 90:3.10 진화는 반드시 그 목적을 달성하는데: 그것은 하느님 개념의 발판이 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들에 대한 두려움과 알려지지 않은 존재들에 대한 미신적인 공포심을 사람에게 불어넣는다. 그리고 신(神)에 대한 발전된 이해의 탄생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에, 똑같은 그 진화 기법이, 계시의 조화-협동적인 활동을 통해, 앞으로 그 발판을 냉혹하게 제거시키게 될, 지금까지 그 목적을 위해 이바지 해왔던 그러한 사고력이 반드시 활동하도록 만들 것이다.
2025 90:3.10 진화는 어김없이 그 목적을 이룬다. 진화는 미지의 것을 미신으로 두려워하고 보이지 않는 것을 무서워하는 마음을 사람에게 불어넣으며, 이것은 하나님 개념이 생기는 발판이다. 그리고 신에 대한 이해가 진보되고 나서, 바로 이 진화 기법은 나란히 일어나는 계시의 행위를 통해서, 어김없이 생각의 힘을 움직이게 만들며, 이것은 목적을 이루는 데 쓰인 발판을 용서 없이 없애 버릴 것이다.
4. MEDICINE UNDER THE SHAMANS
4. 샤먼이 쓰던 의술
4. 무당이 장악한 약품
4. 무당들이 장악한 약품
4. 샤먼이 쓰던 의술
1955 90:4.1 The entire life of ancient men was prophylactic; their religion was in no small measure a technique for disease prevention. And regardless of the error in their theories, they were wholehearted in putting them into effect; they had unbounded faith in their methods of treatment, and that, in itself, is a powerful remedy.
2000 90:4.1 옛날 사람의 생활 전부가 질병의 예방이었다. 그들의 종교는 적지 않게 질병을 예방하는 기술이었다. 그리고 이론이 잘못된 것과 상관 없이, 그들은 그 이론을 실천하는 데 마음을 다하였다. 그들의 치료 방법을 한없이 신뢰하였고, 이것은 그 자체로서 강력한 치료법이었다.
2001 CM 90:4.1 고대 사람들의 생활은 온통 질병 예방법이었으며;그들의 종교는 질병 방지에 적지 않게 기여했다. 그리고 그들의 견해에 들어있는 오류와 상관없이, 그들은 그것을 실천하려고 전심으로 노력했으며;자신의 치료 방법에 대한 무한한 신뢰감을 지녔고, 그런 신념 자체가 강력한 치료제였다.
2007 URKA 90:4.1 고대 사람들의 생애 전체가 질병 예방에 관한 것이었다; 그들의 종교는 결코 적지 않은 부분이 질병의 예방을 위한 기법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이론에서의 잘못과 상관없이, 그들은 그것들이 효과가 나타나도록 쏟아붓는 데에 전심을 기울였다; 사람들은 치료에서의 그들의 방법에 억제되지않을 신앙을 갖고 있었고, 그리고 그것이, 그 자체로, 강력한 치료제였다
2025 90:4.1 옛날 사람의 생활 전부가 질병의 예방이었다. 그들의 종교는 적지 않게 질병을 예방하는 기술이었다. 그리고 이론이 잘못된 것과 상관없이, 그들은 그 이론을 실천하는 데 마음을 다하였다. 그들의 치료 방법을 한없이 신뢰하였고, 이것은 그 자체로서 강력한 치료법이었다.
1955 90:4.2 The faith required to get well under the foolish ministrations of one of these ancient shamans was, after all, not materially different from that which is required to experience healing at the hands of some of his later-day successors who engage in the nonscientific treatment of disease.
2000 90:4.2 이 옛날의 한 샤먼의 어리석은 보살핌을 받고서 낫는 데 필요한 믿음은 결국, 후일에 비과학적 병 치료에 참여하는 어떤 후계자의 손에서 치료받는 데 필요한 믿음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2001 CM 90:4.2 이 고대 무당들 가운데 한 사람의 어리석은 보살핌을 통해 건강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신념은 결국, 후일에 비과학적 질병 치료에 종사하는 어떤 후계자의 손으로 치료받는 체험에 요구되는 신념과, 실질적으로 전혀 차이 없었다.
2007 URKA 90:4.2 이들 고대 무당들 가운데 어떤 자의 어리석은 사명활동 아래에서 낫기 위하여 요구되었던 신앙은, 결국에는 질병에 대한 비과학적 치료에 종사하는, 그의 후대 계승자들 중의 어떤 자의 손에서 치유를 체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그러한 것과, 물질적으로는 차이가 없다.
2025 90:4.2 이 옛날의 한 샤먼의 어리석은 보살핌을 받고서 낫는 데 필요한 믿음은 결국, 후일에 비과학적 병 치료에 참여하는 어떤 후계자의 손에서 치료받는 데 필요한 믿음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1955 90:4.3 The more primitive tribes greatly feared the sick, and for long ages they were carefully avoided, shamefully neglected. It was a great advance in humanitarianism when the evolution of shamancraft produced priests and medicine men who consented to treat disease. Then it became customary for the entire clan to crowd into the sickroom to assist the shaman in howling the disease ghosts away. It was not uncommon for a woman to be the diagnosing shaman, while a man would administer treatment. The usual method of diagnosing disease was to examine the entrails of an animal.
2000 90:4.3 더 원시적인 부족들은 아픈 사람을 크게 무서워했고, 아픈 사람을 오랜 세월 동안 주의해서 피하고, 부끄럽게도 소홀히 하였다. 샤먼 직책이 진화되어 질병을 고치겠다고 찬성하는 사제와 주술사가 생겼을 때, 인도주의가 크게 진보하였다. 다음에 씨족 전체가 병실로 몰려가서 병 귀신을 소리쳐 쫓아내며 샤먼을 돕는 것이 풍습이 되었다. 여자가 진찰하는 샤먼이 되는 일이 드물지 않았고, 한편 남자는 치료를 베풀곤 했다. 질병을 진찰하는 보통 방법은 한 동물의 창자를 검사하는 것이었다.
2001 CM 90:4.3 원시적인 부족일수록 환자를 크게 두려워했으며, 환자를 오랜 세월 주의 깊게 피하고, 부끄럽게도 방치했다. 무당술책이 진화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겠다고 동의하는 사제와 주술사들이 생겼을 때, 인도주의적으로는 큰 진보가 이뤄졌다. 그다음부터는, 질병을 일으킨 유령들을 쫓아내기 위하여 무당이 소리치는 일을 도와주려고, 환자의 방에 전체 씨족이 모여드는 관습이 생겼다. 여자가 진찰하는 무당이 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고, 한편 남자는 치료를 담당하곤 했다. 질병을 진단하는 일반적 방법은 동물의 내장을 검사하는 것이었다.
2007 URKA 90:4.3 더욱 원시적인 부족들은 병에 걸리는 것을 크게 두려워하였으며, 조심스러운 면으로 보면 그 환자들이 오랜 세월 동안 격리되어 왔고, 어리석게 본다면 경시되었다. 무술(巫術)의 진화로 말미암아, 질병 치료에 동의한 사제들과 주술사들이 탄생되었을 때, 인도주의적으로는 큰 진보가 이루어졌다. 그 다음부터는 질병을 일으킨 귀신들을 쫓아내기 위해 무당이 소리치는 일을 도와주려고 환자의 방에 전체 씨족들이 모여드는 관습이 생겨나게 되었다. 여자가 병을 진단하는 무당이 되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 아니었으며, 반면에 남자가 관리-운영을 담당하였다. 질병에 대해 진단을 내리는 일반적인 방법은 동물의 내장을 검사하는 것이었다.
2025 90:4.3 원시적인 축에 속하는 부족들은 아픈 사람을 크게 무서워했고, 아픈 사람을 오랜 세월 동안 주의해서 피하고, 부끄럽게도 소홀히 하였다. 샤먼 직책이 진화되어 질병을 고치는 데 찬성하는 사제와 주술사가 생겼을 때, 인도주의가 크게 진보하였다. 다음에 씨족 전체가 병실로 몰려가서 병 귀신을 소리쳐 쫓아내며 샤먼을 돕는 것이 풍습이 되었다. 여자가 진찰하는 샤먼이 되는 일이 드물지 않았고, 한편 남자는 치료를 베풀곤 했다. 질병을 진찰하는 보통 방법은 한 동물의 창자를 검사하는 것이었다.
1955 90:4.4 Disease was treated by chanting, howling, laying on of hands, breathing on the patient, and many other techniques. In later times the resort to temple sleep, during which healing supposedly took place, became widespread. The medicine men eventually essayed actual surgery in connection with temple slumber; among the first operations was that of trephining the skull to allow a headache spirit to escape. The shamans learned to treat fractures and dislocations, to open boils and abscesses; the shamanesses became adept at midwifery.
2000 90:4.4 노래하고, 높은 소리를 지르고, 몸에 안수(按手)하고, 환자에게 입김을 불어서, 그리고 기타 여러 방법으로 병을 치료하였다. 후일에는 성전에서 잠자는 데 의존하는 것이 널리 퍼졌고, 자는 동안에 치료가 일어난다고 생각되었다. 주술사들은 성전에서 잠자는 것과 관련하여 결국 실제로 수술을 해 보았다. 처음에 한 수술 중에서 두통 귀신이 도망가게 하려고 머리뼈에 구멍 뚫는 수술이 있었다. 샤먼들은 골절과 삔 것을 치료하고 부스럼과 종기(腫氣) 째는 것을 배웠다. 여자 샤먼은 산파 노릇에 숙달하게 되었다.
2001 CM 90:4.4 노래 부르기, 소리치기, 손 얹기, 환자에게 숨 내뿜기, 그리고 기타 여러 기법이 질병 치료에 동원됐다. 후대에는 신전에서 잠자는 방법이 널리 퍼졌고, 자는 동안에 치료가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주술사는 결국 신전에서 잠들어있는 사람에게 실제 외과 수술을 시도하게 됐으며;처음에 한 수술 중에는, 머리를 아프게 하는 영이 도망가도록, 두개골에 구멍을 내는 것이 있었다. 남자 무당은 골절상과 삔 것을 치료하고, 부스럼과 종기를 째서 치료하는 방법을 터득했으며;여자 무당은 산파술에 정통하게 됐다.
2007 URKA 90:4.4 질병의 치료에는 노래 부르기, 소리치기, 손을 얹기, 환자에게 숨을 내뿜기, 그리고 다른 여러 가지 기법들이 동원되었다. 후대에 이르러서는 신전에서 잠을 자는 동안 치유가 일어난다고 생각되어, 신전에서 잠을 자는 휴식이 널리 확산 되었다. 주술사들은 신전에서의 수면과 관련하여 결국에는 실재적인 외과 수술을 꾀했다; 처음에 했던 수술 중에는, 두통 영이 달아날 수 있도록 허용하려고 두개골에 천공을 만드는 그런 것이었다. 남자 무당들은 종기와 농양의 환부를 절개하여 치료하는 방법과, 골절상과 좌상을 치료하는 것을 배웠다; 여자 무당들은 산파술에 정통하게 되었다.
2025 90:4.4 노래하고, 높은 소리를 지르고, 몸에 안수(按手)하고, 환자에게 입김을 불어서, 그리고 기타 여러 방법으로 병을 치료하였다. 후일에는 성전에서 잠자는 데 의존하는 것이 널리 퍼졌고, 자는 동안에 치료가 일어난다고 생각되었다. 주술사들은 성전에서 잠자는 것과 관련하여 결국 실제로 수술을 해 보았다. 처음에 한 수술 중에서 두통 귀신이 도망가게 하려고 머리뼈에 구멍 뚫는 수술이 있었다. 샤먼들은 골절과 삔 것을 치료하고 부스럼과 종기(腫氣) 째는 것을 배웠다. 여자 샤먼은 산파 노릇에 숙달하게 되었다.
1955 90:4.5 It was a common method of treatment to rub something magical on an infected or blemished spot on the body, throw the charm away, and supposedly experience a cure. If anyone should chance to pick up the discarded charm, it was believed he would immediately acquire the infection or blemish. It was a long time before herbs and other real medicines were introduced. Massage w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incantation, rubbing the spirit out of the body, and was preceded by efforts to rub medicine in, even as moderns attempt to rub liniments in. Cupping and sucking the affected parts, together with bloodletting, were thought to be of value in getting rid of a disease-producing spirit.
2000 90:4.5 몸에서 환부나 더러워진 곳에 무언가 요술인 것을 문지르고, 부적을 던지고, 나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 치료 방법이었다. 누구라도 버려진 부적을 집으면, 그는 즉시 그 병에 걸리거나 흠을 얻는다고 믿었다. 약초와 다른 진짜 약들이 소개되기까지 오랜 세월이 흘렀다. 주문을 외우는 것과 관련하여 마사지, 곧 몸을 주물러서 영 쫓아내기가 개발되었고, 현대인이 바르는 약을 문질러 몸에 넣는 것처럼, 약을 문질러서 집어넣으려는 노력이 이에 앞섰다. 방혈과 더불어, 상처난 부분을 흡각(吸角)으로 피 뽑아내기, 그리고 빨아내기가 병을 일으키는 영을 제거하는 데 쓸모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2001 CM 90:4.5 감염되거나 손상을 입은 신체 부위에 마술적인 어떤 것을 문지르고, 마법장신구를 멀리 던지면서, 체험상 치료법으로 간주되는 행위를 함으로써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누구든지 버려진 마법장신구를 우연히 만지면, 그 사람이 감염되거나 손상을 입는다고 믿었다. 약초 또는 기타 실제 약품이 소개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안마하는 방법은, 주문 외우는 것과 관련하여 개발됐는데, 몸을 주물러서 영을 쫓아내려는 것이었으며, 그전에는 현대인이 바르는 약을 문질러서 스며들게 하는 것처럼, 약품을 문질러서 침투시키려고 시도했다. 사혈{瀉血}과 함께, 병 걸린 부위에서 피를 짜거나 빨아내는 방법은, 질병을 일으키는 영을 제거하는 효력이 있다고 생각됐다.
2007 URKA 90:4.5 병균이 들어가거나 손상을 입은 신체 부위에 마술적인 어떤 것을 문지르고, 부적을 멀리 던지며, 체험적으로 치료법이라 간주되는 행위를 함으로써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만약에 누구든지 버려진 부적을 우연히 만지게 되면, 그 사람에게 즉시로 병균이 들어가거나 손상을 입게 된다고 믿었다. 약초 또는 다른 실제적인 약품들이 소개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안마하는 방법은, 주문을 외우는 것과 관련하여 개발되었는데 문지르는 방법으로 영을 몸 밖으로 내보내려는 것이었고, 그 전에는 현대인들이 바르는 약을 문질러서 스며들게 하는 것처럼 약품을 문질러서 침투되게 하려고 시도하였다. 병에 걸린 부위에서 피를 짜거나 빨아들이는 방법은, 피를 흘리는 방법과 함께, 질병의 원인이 되는 영을 제거하는 효력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2025 90:4.5 몸에서 환부나 더러워진 곳에 무언가 요술인 것을 문지르고, 부적을 던지고, 나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 치료 방법이었다. 누구라도 버려진 부적을 집으면, 그는 즉시 그 병에 걸리거나 흠을 얻는다고 믿었다. 약초와 다른 진짜 약들이 소개되기까지 오랜 세월이 흘렀다. 주문을 외우는 것과 관련하여 마사지, 곧 몸을 주물러서 영 쫓아내기가 개발되었고, 현대인이 바르는 약을 문질러 몸에 넣는 것처럼, 약을 문질러서 집어넣으려는 노력이 이에 앞섰다. 방혈과 더불어, 상처난 부분을 흡각(吸角)으로 피 뽑아내기, 그리고 빨아내기가 병을 일으키는 영을 없애는 데 쓸모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1955 90:4.6 Since water was a potent fetish, it was utilized in the treatment of many ailments. For long it was believed that the spirit causing the sickness could be eliminated by sweating. Vapor baths were highly regarded; natural hot springs soon blossomed as primitive health resorts. Early man discovered that heat would relieve pain; he used sunlight, fresh animal organs, hot clay, and hot stones, and many of these methods are still employed. Rhythm was practiced in an effort to influence the spirits; the tom-toms were universal.
2000 90:4.6 물은 효험 있는 주물이었으니까, 여러 가지 병을 고치는 데 이용되었다. 병을 일으키는 영을 땀을 흘려서 없앨 수 있다고 오랫동안 믿어 왔다. 수증기 목욕을 높이 쳐주었고, 천연 온천은 곧 원시 요양지로서 번창하였다. 시초 인간은 열이 아픔을 덜어준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햇빛, 신선한 동물의 기관(器官), 뜨거운 진흙, 뜨거운 돌을 썼고, 이 방법들 가운데 많은 것이 아직도 이용된다. 영들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노력으로 리듬이 사용되었고, 톰톰 북이 널리 쓰였다.
2001 CM 90:4.6 물은 강력한 주물이었으므로 많은 질병 치료제로 이용됐다. 병을 일으키는 영은 땀을 흘림으로써 없앨 수 있다는 믿음이 오랫동안 유지됐다. 증기 목욕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여겼으며;천연 온천{溫泉}이 곧 원시적 건강 수단으로 각광 받았다. 초기 인류는 열을 가함으로써 통증이 경감되는 것을 발견했으며;햇빛, 싱싱한 동물 내장, 뜨겁게 달군 진흙, 뜨거운 돌멩이가 이용됐고, 이런 방법들 가운데 많은 것이 여전히 활용된다. 영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려고 율동이 실행됐으며;단조로운 북소리가 널리 쓰였다.
2007 URKA 90:4.6 물은 강력한 주물이었기 때문에 많은 질병의 치료제로 이용되었다. 영에 의해 발생된 병은 고문하는 방법으로 낫게 할 수 있다는 믿음이 오랫동안 계속 유지되었다. 증기를 쬐는 목욕 방법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천연적인 온천이 곧 원시적인 건강 수단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옛날 사람들은 열에 의해서 통증이 경감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햇빛, 싱싱한 동물 내장, 뜨겁게 달군 진흙, 그리고 뜨거운 돌멩이들이 이용되었고,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많은 것들이 아직도 활용되고 있다. 영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율동이 실천되었다; 단조로운 북소리는 전 인류에게 공통적인 것이었다.
2025 90:4.6 물은 효험 있는 주물이었으니까, 여러 가지 병을 고치는 데 이용되었다. 병을 일으키는 영을 땀을 흘려서 없앨 수 있다고 오랫동안 믿어 왔다. 수증기 목욕을 높이 쳐주었고, 천연 온천은 곧 원시 요양지로서 번창하였다. 시초 인간은 열이 아픔을 덜어준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햇빛, 신선한 동물의 기관(器官), 뜨거운 진흙, 뜨거운 돌을 썼고, 이 방법들 가운데 많은 것이 아직도 이용된다. 영들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노력으로 리듬이 사용되었고, 톰톰 북이 널리 쓰였다.
1955 90:4.7 Among some people disease was thought to be caused by a wicked conspiracy between spirits and animals. This gave rise to the belief that there existed a beneficent plant remedy for every animal-caused disease. The red men were especially devoted to the plant theory of universal remedies; they always put a drop of blood in the root hole left when the plant was pulled up.
2000 90:4.7 어떤 사람들 사이에서 병은 영과 동물 사이에 꾸민 사악한 음모로 일어난다고 생각되었다. 동물이 일으키는 모든 질병에는 유익한 식물(植物) 치료법이 존재한다는 관념을 낳았다. 홍인은 식물이 보편적 치료약이라는 이론에 특별히 집착했다. 그들은 식물의 뿌리를 뽑았을 때 남은 뿌리 구멍에 반드시 피 한 방울을 집어넣었다.
2001 CM 90:4.7 어떤 사람들은, 영과 동물이 서로 꾸민 사악한 음모 때문에 질병이 발생된다고 생각했다. 이런 개념으로 말미암아, 동물이 원인인 모든 질병에 대해서는 효험 있는 식물 치료제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홍색인은 만병통치약에 해당하는 식물 요법을 특히 신봉했는데;그 식물을 뽑을 때에는, 뿌리가 있었던 구멍에 피 한 방울을 반드시 떨어뜨렸다.
2007 URKA 90:4.7 어떤 민족은 영들과 동물들의 중간인 사악한 음모자에 의해서 질병이 발생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동물이 원인이 되는 모든 질병들에 대해서는 효험이 있는 식물 치료제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적색 인종들은 만병통치약에 해당하는 식물 요법을 특별히 신봉하였다; 그 식물을 뽑을 때에는 뿌리가 있었던 남겨진 구멍에 피 한 방울을 항상 떨어뜨렸다.
2025 90:4.7 어떤 사람들 사이에서 병은 영과 동물 사이에 꾸민 사악한 음모로 일어난다고 생각되었다. 동물이 일으키는 모든 질병에는 유익한 식물(植物) 치료법이 존재한다는 관념을 낳았다. 홍인은 식물이 보편적 치료약이라는 이론에 특별히 집착했다. 그들은 식물의 뿌리를 뽑았을 때 남은 뿌리 구멍에 반드시 피 한 방울을 집어넣었다.
1955 90:4.8 Fasting, dieting, and counterirritants were often used as remedial measures. Human secretions, being definitely magical, were highly regarded; blood and urine were thus among the earliest medicines and were soon augmented by roots and various salts. The shamans believed that disease spirits could be driven out of the body by foul-smelling and bad-tasting medicines. Purging very early became a routine treatment, and the values of raw cocoa and quinine were among the earliest pharmaceutical discoveries.
2000 90:4.8 금식, 식사 조절, 반대 자극제들이 흔히 치료 조치로서 쓰였다. 인간의 분비물은 분명히 마력이 있었으니까, 높이 쳐주었다. 이처럼 피와 오줌은 아주 일찍부터 쓰인 약이었고, 뿌리와 여러 가지 소금으로 인하여 약의 종류가 확대되었다. 샤먼들은 냄새가 나쁘고 맛이 좋지 않은 약으로 질병 귀신을 몸에서 쫓아낼 수 있다고 믿었다. 정결하게 하는 것은 아주 일찍부터 일상의 치료법이 되었고, 날 코코아와 키니네의 가치는 약학에서 가장 초기의 발견에 속한다.
2001 CM 90:4.8 금식이나 식이요법{食餌療法}이나 반대자극제들이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확실히 신비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간 분비물이 매우 효험 있다고 생각했으며;따라서 처음에는 피와 오줌을 약품으로 활용했고, 뿌리들 및 다양한 소금이 곧 첨부됐다. 무당은, 질병을 일으키는 영이 역겨운 냄새와 고약한 맛의 약품으로 인해 몸 밖으로 쫓겨날 수 있다고 믿었다. 몸을 씻는 행위는 매우 일찍부터 틀에 박힌 치료법이 됐고, 익히지 않은 코코아와 키니네의 효험은 약학{藥學}에서 가장 오래된 발견물에 속한다.
2007 URKA 90:4.8 금식과 식이요법 그리고 반대되는 자극제들이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확실히 신비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간 분비물들이 매우 효험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래서 처음에는 피와 오줌이 약품으로 활용되었고 뿌리들과 여러 가지 소금들로 곧 증강되었다. 무당들은 질병을 일으키는 영들이 불결한 냄새와 고약한 맛의 약품에 의해서 몸 밖으로 쫓겨날 수 있다고 믿었다. 몸을 씻는 행위는 매우 일찍부터 틀에 박힌 치료법이 되었으며, 야생 코코아와 키니네의 가치는 약학에서 가장 오래된 발견에 속하였다.
2025 90:4.8 금식, 식사 조절, 반대 자극제들이 흔히 치료 조치로서 쓰였다. 인간의 분비물은 분명히 마력이 있었으니까, 높이 쳐주었다. 이처럼 피와 오줌은 아주 일찍부터 쓰인 약이었고, 뿌리와 여러 가지 소금으로 인하여 약의 종류가 확대되었다. 샤먼들은 냄새가 나쁘고 맛이 좋지 않은 약으로 질병 귀신을 몸에서 쫓아낼 수 있다고 믿었다. 정결하게 하는 것은 아주 일찍부터 일상의 치료법이 되었고, 날 코코아와 키니네의 가치는 약학에서 가장 초기의 발견에 속한다.
1955 90:4.9 The Greeks were the first to evolve truly rational methods of treating the sick. Both the Greeks and the Egyptians received their medical knowledge from the Euphrates valley. Oil and wine was a very early medicine for treating wounds; castor oil and opium were used by the Sumerians. Many of these ancient and effective secret remedies lost their power when they became known; secrecy has always been essential to the successful practice of fraud and superstition. Only facts and truth court the full light of comprehension and rejoice in the illumination and enlightenment of scientific research.
2000 90:4.9 그리스인은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참된 합리적 방법을 처음으로 발달시켰다. 그리스인과 에집트인은 다 유프라테스 강 유역으로부터 의학 지식을 받았다. 기름과 포도주는 상처를 낫게 하는 데 아주 일찍부터 쓰인 약이었다. 아주까리 기름과 아편을 수메르인이 이용하였다. 효과 있는 이 고대의 치료 비법의 다수는 사람들에게 알려졌을 때 그 효력을 잃었다. 사기와 미신 실습이 성공하는 데는 비밀이 반드시 필수였다. 오로지 사실과 진리가 완전히 깨닫게 하는 빛을 추구하며, 과학적 연구로 얻는 조명과 계몽을 달가워한다.
2001 CM 90:4.9 그리스인은 환자를 치료하는 참된 합리적 방법을 처음 발달시켰다. 그리스인과 이집트인은 모두, 유프라테스 강 유역 사람들로부터 의학 지식을 받아들였다. 기름과 포도주는 상처를 치료하는, 아주 초기 약품이었으며;수메르인은 비버 기름과 아편을 사용했다. 효과적인 이런 고대 치료 비법 중에서 다수는, 널리 알려지게 되자 그 효능을 잃어버렸는데;미신과 기만행위의 효과적 실행에는 반드시 은밀함이 근본 요소였다. 오직 사실과 진리만이, 온전히 납득시키는 빛을 추구하며, 과학적 연구로 얻은 조명과 계몽을 크게 기뻐한다.
2007 URKA 90:4.9 그리스인들은 병을 치료하는 참된 합리적 방법들을 진화시킨 첫 번째 사람들이다. 그리스인들과 이집트인들은 모두 유프라테스 계곡 사람들로부터 의학 지식을 받아들였다. 기름과 포도주는 상처를 치료하는 매우 초기의 약품이었다; 비버 기름과 아편은 수메르인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대의 효력 있는 은밀한 치료제들 대부분은 널리 알려지게 되자 그 힘을 잃어버렸는데; 은밀함은 미신과 기만행위가 효과적으로 실천되는 데 있어서 항상 근본적인 요소가 되어 왔다. 오직 사실들과 진리만이 이해에서의 충만한 빛을 만나 사귀고, 과학적 연구에서의 조명과 깨우침 안에서 기쁨을 향유한다.
2025 90:4.9 그리스인은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참된 합리적 방법을 처음으로 발달시켰다. 그리스인과 에집트인은 다 유프라테스 강 유역으로부터 의학 지식을 받았다. 기름과 포도주는 상처를 낫게 하는 데 아주 일찍부터 쓰인 약이었다. 아주까리 기름과 아편을 수메르인이 이용하였다. 효과 있는 이 고대의 치료 비법의 다수는 사람들에게 알려졌을 때 그 효력을 잃었다. 사기와 미신 실습이 성공하는 데는 비밀이 반드시 필수였다. 오로지 사실과 진실이 완전히 이해하는 빛을 추구하며, 과학적 연구로 얻는 조명과 계몽을 달가워한다.
5. PRIESTS AND RITUALS
5. 사제와 의식
5. 사제와 제례식
5. 사제(司祭)와 종교예식
5. 사제와 의식
1955 90:5.1 The essence of the ritual is the perfection of its performance; among savages it must be practiced with exact precision. It is only when the ritual has been correctly carried out that the ceremony possesses compelling power over the spirits. If the ritual is faulty, it only arouses the anger and resentment of the gods. Therefore, since man’s slowly evolving mind conceived that the technique of ritual was the decisive factor in its efficacy, it was inevitable that the early shamans should sooner or later evolve into a priesthood trained to direct the meticulous practice of the ritual. And so for tens of thousands of years endless rituals have hampered society and cursed civilization, have been an intolerable burden to every act of life, every racial undertaking.
2000 90:5.1 의식(儀式)의 요점은 그 연기를 완벽하게 하는 데 있다. 야만인 사이에서 의식은 아주 정밀하게 실행해야 한다. 의식을 올바르게 치렀을 때에야 그 예식이 영들에게 강요하는 힘을 소유한다. 의식에 흠이 있으면, 다만 신들을 성나게 하고 노엽게 만들 뿐이다. 따라서, 사람의 천천히 진화하는 머리가 의식 치르는 기술이 그 효력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빈틈없는 의식의 거행을 지휘하려고 머지않아 초기의 샤먼이 훈련받은 사제로 진화하는 것은 불가피했다. 그래서 몇만 년 동안 끊임없는 의식은 사회를 거추장스럽게 만들고 문명을 성가시게 하였으며, 생활의 모든 행위, 종족의 모든 사업에 견딜 수 없는 짐이 되었다.
2001 CM 90:5.1 제례식{祭禮式}의 본질은, 그것을 완벽하게 실행하는 데 있었으며;미개인 가운데서는 아주 정확하게 이뤄져야 했다. 제례식이 정확하게 이뤄질 때에만, 영들을 강압하는 힘을 갖게 된다고 생각했다. 제례식에 결함이 있게 되면, 신들의 분노와 노여움을 일으킬 뿐이었다. 그러므로, 더디게 진화하는 정신을 지닌 사람이, 제례식 기법이 그 효력에서 결정적 요소라고 이해했기 때문에, 초기 시대의 무당이 곧 사제계층{司祭階層}으로 발전하여, 제례식의 신중한 실행을 지시하도록 훈련받게 된 것은 불가피했다. 그리하여 수만 년 동안, 끊임없는 제례식들이 공동체를 훼방하고 문명의 발전에 화를 미쳤는데, 생활에서 행위마다, 종족의 이행업무마다, 그 위에 견디기 힘든 짐을 부과했다.
2007 URKA 90:5.1 종교 예식의 정수(精髓)는 그것을 이상적(理想的)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미개인들 사이에서는 그것이 정확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만 하였다. 그 의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때에만, 그것이 영들에게 강제적인 힘을 갖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만약에 그 의식에 잘못이 있게 되면, 하느님들의 노여움과 분노를 일으킬 뿐이었다. 그 결과로, 사람의 더디게 진화하는 마음은, 의식을 치루는 기법이 효력에서 결정적인 요소라고 이해하였기 때문에, 초기의 무당들이 조만간 의식에서의 빈틈없는 실천을 지도하도록 훈련된 사제(司祭)신분으로 진화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 그리하여 수만 년 동안 끊임없는 종교 예식들이 공동체를 훼방하고 문명의 발전에 화를 미쳤는데, 삶에 있어서의 모든 행동, 인종적인 모든 일들 위에 견디기 힘든 짐을 부과해 왔다.
2025 90:5.1 의식(儀式)의 요점은 그 연기를 완벽하게 하는 데 있다. 야만인 사이에서 의식은 아주 정밀하게 실행해야 한다. 의식을 올바르게 치렀을 때에야 그 예식이 영들에게 강요하는 힘을 소유한다. 의식에 흠이 있으면, 다만 신들을 성나게 하고 노엽게 만들 뿐이다. 따라서, 사람의 천천히 진화하는 머리가 의식 치르는 기술이 그 효력의 결정 요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빈틈없는 의식의 거행을 지휘하려고 머지않아 초기의 샤먼이 훈련 받은 사제로 진화하는 것은 불가피했다. 그래서 몇만 년 동안 끊임없는 의식은 사회를 거추장스럽게 만들고 문명을 성가시게 하였으며, 생활의 모든 행위, 종족의 모든 사업에 견딜 수 없는 짐이 되었다.
1955 90:5.2 Ritual is the technique of sanctifying custom; ritual creates and perpetuates myth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preservation of social and religious customs. Again, ritual itself has been fathered by myths. Rituals are often at first social, later becoming economic and finally acquiring the sanctity and dignity of religious ceremonial. Ritual may be personal or group in practice—or both—as illustrated by prayer, dancing, and drama.
2000 90:5.2 의식은 풍습을 거룩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의식은 사회 관습과 종교 관습의 보존에 이바지할 뿐 아니라, 신화(神話)를 만들어내고 지속시킨다. 또 한편, 의식 자체가 신화로부터 생겼다. 의식은 흔히 처음에 사회 예식이었고, 나중에 경제 예식이 되었고, 마침내 종교 예식의 거룩함과 위엄을 얻었다. 의식은 기도ㆍ춤ㆍ연극에서 보다시피, 개인이나 집단으로―또는 양쪽에서―실행할 수 있다.
2001 CM 90:5.2 제례식은 관습을 신성하게 만드는 기법이었으며;신화를 만들고 존속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 관습과 종교 관습이 보존되는 데 기여했다. 다시 말하지만, 제례식 자체는 신화로 인해 생겨났다. 제례식은 처음에는 공동체적인 경우가 많았지만, 나중에는 경제적인 것이 됐고, 마침내 종교 예식절차의 고결함과 존엄성을 획득하게 됐다. 제례식은, 기도와 춤과 연극에서 보는 것처럼, 개인이나 집단으로 --또는 양쪽에서-- 실행할 수 있다.
2007 URKA 90:5.2 종교예식은 신성하게 하는 관습의 기법이었다; 신화들을 만들고 영속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관습들과 종교적인 관습들의 보존에 기여하였다. 다시 말해서, 종교예식 그 자체는 신화들에 의해서 보호되어 왔다. 종교예식들은 처음에는 공동체적인 경우가 많았지만, 나중에는 경제적인 것이 되었고 마침내는 종교적 예식의 신성함과 존엄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종교예식은 기도와 춤과 연극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그 실천에서 개인적이거나 집단적─또는 그 두 가지 모두─일 수 있다.
2025 90:5.2 의식은 풍습을 거룩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의식은 사회 관습과 종교 관습의 보존에 이바지할 뿐 아니라, 신화(神話)를 만들어내고 지속시킨다. 또 한편, 의식 자체가 신화로부터 생겼다. 의식은 흔히 처음에 사회 예식이었고, 나중에 경제 예식이 되었고, 마침내 종교 예식의 거룩함과 위엄을 얻었다. 의식은 기도ㆍ춤ㆍ연극에서 보다시피, 개인이나 집단으로 ― 또는 양쪽에서 ― 실행할 수 있다.
1955 90:5.3 Words become a part of ritual, such as the use of terms like amen and selah. The habit of swearing, profanity, represents a prostitution of former ritualistic repetition of holy names. The making of pilgrimages to sacred shrines is a very ancient ritual. The ritual next grew into elaborate ceremonies of purification, cleansing, and sanctification. The initiation ceremonies of the primitive tribal secret societies were in reality a crude religious rite. The worship technique of the olden mystery cults was just one long performance of accumulated religious ritual. Ritual finally developed into the modern types of social ceremonials and religious worship, services embracing prayer, song, responsive reading, and other individual and group spiritual devotions.
2000 90:5.3 아멘과 셀라와[3]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처럼, 낱말은 의식의 일부가 된다. 욕하는 버릇, 신성 모독은 거룩한 이름을 예전에 의식에서 되풀이하던 것이 타락된 것이다. 거룩한 성소까지 순례하는 것은 아주 오래 된 의식이다. 의식은 다음에 정화하고 깨끗이 하고 성화(聖化)하는 공들인 예식으로 성장했다. 원시 부족에서 비밀 사회의 입회식은 실제로 투박한 종교 의식이었다. 옛날의 신비 종파들의 예배 기법은 단지 누적된 종교 의식을 한 번 길게 연출하는 것이었다. 의식은 마침내 현대 종류의 사회 예식과 종교적 예배, 곧 기도와 노래, 화답하여 글 읽기, 그리고 다른 개인 및 집단의 영적 헌신을 포함하는 예배로 진화하였다.
2001 CM 90:5.3 단어들이 제례식의 한 부분이 됐는데, 아멘과 셀라 같은 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예다. 욕하는 습관, 신성을 모독하는 언행은, 전에 제례식에서 거룩한 이름들을 반복하던 행위가 타락된 것이다. 신성시되는 성지를 순례하는 행위는 매우 오래된 의식{儀式}이다. 그다음에 의식은, 정화와 씻음 그리고 성화{聖化}라는 정교한 예식으로 발전했다. 원시 부족의 비밀 공동체에 가입하는 예식은 실제로 미숙한 종교 제례였다. 옛 시대에 신비 예찬집단의 숭배 기법은 축적된 여러 종교 제례식을 길게 이어놓은 것에 불과했다. 제례식은 결국, 현대 유형의 사회 예식절차와 종교적 경배, 기도가 포함된 예배, 노래, 교독{交讀}, 그리고 기타 여러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영적 헌신행위로 발전했다.
2007 URKA 90:5.3 여러 가지 단어들이 종교예식의 한 부분이 되었는데, 아멘과 셀라와 같은 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예이다. 맹세하는 습관, 신성을 모독하는 행위는, 그 전에 거룩한 이름들을 예식으로 반복하던 행위가 타락된 대표적인 것이었다. 거룩한 성지를 순례 여행하는 행위는 매우 오래된 종교예식이다. 그 다음에는 종교예식이 정화와 깨끗이 씻음과 성화(聖化)라는 정교한 예식들로 발전하였다. 원시적인 부족의 비밀 공동체에 가입하는 예식은 실체 안에서 하나의 종교적인 의례였다. 옛 시대의 신비적인 예배종파들의 경배 방법은 축적된 여러 가지 종교예식들을 길게 이어 놓은 것에 불과하였다. 종교예식은 결국 현대적 유형의 공동체적 예식과 종교적 경배, 기도가 포함된 예배봉사, 노래, 교독(交讀), 그리고 다른 여러 가지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영적 헌신 행위들로 발전하였다.
2025 90:5.3 아멘과 셀라와[97]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처럼, 낱말은 의식의 일부가 된다[9][10]. 욕하는 버릇, 신성 모독은 거룩한 이름을 예전에 의식에서 되풀이하던 것이 타락된 것이다. 거룩한 성소까지 순례하는 것은 아주 오래 된 의식이다. 의식은 다음에 정화하고 깨끗이 하고 성화(聖化)하는 공들인 예식으로 성장했다
[11][12][13]. 원시 부족에서 비밀 사회의 입회식은 실제로 투박한 종교 의식이었다. 옛날 신비 종파들의 예배 기법은 단지 누적된 종교 의식을 한 번 길게 연출하는 것이었다. 의식은 마침내 현대 종류의 사회 예식과 종교적 예배, 곧 기도와 노래, 화답하여 글 읽기, 그리고 다른 개인 및 집단의 영적 헌신을 포함하는 예배로 진화하였다.
1955 90:5.4 The priests evolved from shamans up through oracles, diviners, singers, dancers, weathermakers, guardians of religious relics, temple custodians, and foretellers of events, to the status of actual directors of religious worship. Eventually the office became hereditary; a continuous priestly caste arose.
2000 90:5.4 사제는 샤먼으로부터 신탁을 받는 사제, 점쟁이, 노래하는 자, 춤추는 자, 기우사(祈雨師), 종교 유품 보호자, 성전 관리자, 그리고 사건을 점치는 자를 거쳐서, 종교적 예배를 실제로 지휘하는 자의 신분에 이르기까지 진화했다. 결국 그 직책은 상속하게 되었고, 연속되는 사제 계급이 일어났다.
2001 CM 90:5.4 사제는 무당으로부터, 신탁{神託}을 전하는 자, 점쟁이, 노래하는 자, 춤추는 자, 날씨조정자, 종교 유품을 지키는 자, 신전 관리인, 그리고 사건을 점치는 자를 거쳐서, 종교적 경배를 실제로 지휘하는 자의 지위에 이르기까지 진화했다. 그 직책은 결국 세습됐고;계속 이어지는 사제 신분계층이 생겨났다.
2007 URKA 90:5.4 사제 계급은 무당으로부터 진화하여, 예언자, 점쟁이, 가수, 무인(舞人), 날씨를 만드는 자, 종교적인 유품들을 지키는 자, 신전 보호관리자, 그리고 사건들을 미리 예견하는 자의 단계들을 거쳐, 종교적인 경배를 실재적으로 인도하는 지위에 이르게 되었다. 그 직책은 결국에는 세습적인 것이 되었고; 계속 이어지는 사제 특권계급이 탄생되었다.
2025 90:5.4 사제는 샤먼으로부터 신탁을 받는 사제, 점쟁이, 노래하는 자, 춤추는 자, 기우사(祈雨師), 종교 유품 보호자, 성전 관리자, 그리고 사건을 점치는 자를 거쳐서, 종교적 예배를 실제로 지휘하는 자의 신분에 이르기까지 진화했다. 결국 그 직책은 상속하게 되었고, 연속되는 사제 계급이 일어났다.
1955 90:5.5 As religion evolved, priests began to specialize according to their innate talents or special predilections. Some became singers, others prayers, and still others sacrificers; later came the orators—preachers. And when religion became institutionalized, these priests claimed to “hold the keys of heaven.”
2000 90:5.5 종교가 진화함에 따라서 사제들은 그들의 타고난 재주나 특별한 취향에 따라서 전문화하기 시작했다. 더러는 노래하는 자, 더러는 기도하는 자, 더러는 제사하는 자가 되었고, 나중에는 웅변하는 자―설교자―가 나타났다. 종교가 제도화되었을 때, 이 사제들은 “하늘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우겼다.
2001 CM 90:5.5 종교가 진화되자, 사제는 자신의 타고난 재주 또는 특별히 선호하는 것에 따라서 전문화되기 시작했다. 더러는 가수, 더러는 기도하는 자, 또 어떤 이들은 희생제물 바치는 자가 됐고;나중에는 연설자--곧 설교자--들이 나오게 됐다. 그리고 종교가 제도화되자, 이 사제들은 자신이 “하늘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주장했다.
2007 URKA 90:5.5 종교가 진화됨에 따라, 사제들은 자신들의 타고난 재능들 또는 특별히 선호하는 것에 맞추어 전문화되기 시작하였다. 어떤 사람들은 가수가 되었고, 어떤 사람들은 기도하는 자가 되었으며, 또 어떤 사람들은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자가 되었고; 나중에는 웅변가─설교가─들이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종교가 제도화되자, 이 사제들은 자기들이 “천국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025 90:5.5 종교가 진화함에 따라서 사제들은 그들의 타고난 재주나 특별한 취향에 따라서 전문화하기 시작했다. 더러는 노래하는 자, 더러는 기도하는 자, 더러는 제사하는 자가 되었고, 나중에는 웅변하는 자 ― 설교자 ― 가 나타났다. 종교가 제도화되었을 때, 이 사제들은 “하늘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우겼다.
1955 90:5.6 The priests have always sought to impress and awe the common people by conducting the religious ritual in an ancient tongue and by sundry magical passes so to mystify the worshipers as to enhance their own piety and authority. The great danger in all this is that the ritual tends to become a substitute for religion.
2000 90:5.6 자신들의 경건함과 권한을 높이기 위해서 예배자를 신비에 젖게 하려고 옛날 말로 종교 의식을 거행함으로, 또 잡다한 마술의 속임수로, 사제들은 서민을 감동시키고 두려워하게 만들려고 언제나 애써 왔다. 이 모든 것에 있는 큰 위험은 의식이 종교의 대용품이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2001 CM 90:5.6 사제는, 옛 언어로 종교 제례식을 수행함으로써, 그리고 마술적인 잡다한 골동품을 이용하여 평범한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고 놀라게 함으로써 경배자를 미혹하여, 자신의 경건성과 권위를 증진시키려고 항상 애써 왔다. 이 모든 것에서 심각한 위험성은, 제례식이 종교를 대신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2007 URKA 90:5.6 사제들은 옛날 언어로 종교적인 의식을 수행함으로써 그리고 마술적인 잡다한 골동품들을 이용하여 평범한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고 놀라게 함으로써 경배자들을 미혹하여 자기 자신의 경건성과 권위를 증진시키려고 항상 애를 썼다. 이 모든 것에 있어서 심각한 위험성은, 그 종교예식이 종교를 대신하게 되려는 경향이다.
2025 90:5.6 자신들의 경건함과 권한을 높이기 위해서 예배자를 신비에 젖게 하려고 옛날 말로 종교 의식을 거행함으로, 또 잡다한 마술의 속임수로, 사제들은 서민을 감동시키고 두려워하게 만들려고 언제나 애써 왔다. 이 모든 것에 있는 큰 위험은 의식이 종교의 대용품이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1955 90:5.7 The priesthoods have done much to delay scientific development and to hinder spiritual progress, but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civilization and to the enhancement of certain kinds of culture. But many modern priests have ceased to function as directors of the ritual of the worship of God, having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ology—the attempt to define God.
2000 90:5.7 사제들은 과학의 발전을 더디게 만들고 영적 진보를 막으려고 많은 일을 했지만, 문명을 안정시키고, 어떤 종류의 문화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사제가 하나님을 예배하는 의식의 지휘자로 활동하기를 그만두었고, 신학으로―하나님을 정의(定義)하는 시도로―눈길을 돌렸다.
2001 CM 90:5.7 사제계층은, 과학의 발전을 지체시키고 영적 진보를 방해하려고 무척 애쓰기도 했지만, 문명을 안정시키고 특정한 종류의 문화를 증진시키기에 기여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현대 사제들이, 신학--곧 하나님을 정의{定義}하려는 시도--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하나님께 경배 드리는 제례식의 지휘자 역할을 중단해왔다.
2007 URKA 90:5.7 과학적인 발전을 지체시키고 영적인 진보를 방해하기 위하여 사제 계급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였지만, 그들은 문명을 안정화시키고 특정한 종류의 문화들을 증진시키는 일에 기여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현대의 사제들 중에서 많은 사람들은, 하느님에 대한 경배 예식에서의 지도자 기능을 그만두었고, 관심을 신학─하느님에 대해 정의(定意)를 내리려는 노력─에 기울이고 있다.
2025 90:5.7 사제들은 과학의 발전을 더디게 만들고 영적 진보를 막으려고 많은 일을 했지만, 문명을 안정시키고, 어떤 종류의 문화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사제가 하나님을 예배하는 의식의 지휘자로 활동하기를 그만두었고, 신학으로 ― 하나님을 정의(定義)하는 시도로 ― 눈길을 돌렸다.
1955 90:5.8 It is not denied that the priests have been a millstone about the neck of the races, but the true religious leaders have been invaluable in pointing the way to higher and better realities.
2000 90:5.8 사제가 종족의 목에 매달린 맷돌처럼 무거웠음을 부인하지 않지만, 참된 종교 지도자는 더 높고 더 나은 실체에 도달하는 길을 가리키는 데 귀중하였다.
2001 CM 90:5.8 사제들이 여러 종족의 목에 매달린 맷돌 같았음을 부정할 수 없으나, 참된 종교 지도자들은, 더 높고 더 향상된 실체에 도달하는 길을 제시하는 데 대단히 귀중한 역할을 했다.
2007 URKA 90:5.8 사제들이 여러 인종들의 목에 맷돌을 매달아 온 것을 부정할 수 없지만, 참된 종교적 영도자들은 보다 높고 향상된 실체들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는 데에서 말할 수 없이 귀중한 존재가 되어 왔다.
2025 90:5.8 사제가 종족의 목에 매달린 맷돌처럼 무거웠음을 부인하지 않지만, 참된 종교 지도자는 더 높고 더 나은 실체에 도달하는 길을 가리키는 데 귀중하였다.
1955 90:5.9 [Presented by a Melchizedek of Nebadon.]
2000 90:5.9 [네바돈의 한 멜기세덱이 발표하였다.]
2001 CM 90:5.9 [네바돈의 한 멜기세덱이 제시했음.]
2007 URKA 90:5.9 [네바돈의 멜기세덱에 의해 제시되었음]
2025 90:5.9 [네바돈의 한 멜기세덱이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