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된 유란시아 책은 2006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번역: © 2000, 2025 유란시아 재단
번역: © 2001, 2007 Urantia Society of Greater New York
MARRIAGE AND FAMILY LIFE
제 84 편결혼과 가족 생활
제84편: 결혼과 가족생활
제 84 편: 결혼과 가족 일생
결혼과 가족 생활
1955 84:0.1 MATERIAL necessity founded marriage, sex hunger embellished it, religion sanctioned and exalted it, the state demanded and regulated it, while in later times evolving love is beginning to justify and glorify marriage as the ancestor and creator of civilization’s most useful and sublime institution, the home. And home building should be the center and essence of all educational effort.
2000 84:0.1 물질적 필요가 결혼의 기초를 세웠고, 성욕은 결혼을 아름답게 꾸몄으며, 종교는 결혼을 인가하고 찬양하였고, 국가는 결혼을 요구하고 규제하였다. 한편 후일에, 진화되는 사랑은 문명의 가장 유익하고 숭고한 제도인 가정를 낳고 창조하는 것으로서 결혼을 비로소 정당화하고 영화롭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가정을 세우는 것은 모든 교육하는 노력의 중심이요 본질이 되어야 한다.
2001 CM 84:0.1 물질적 필요성이 결혼을 설립했고, 성욕{性慾}이 결혼을 미화{美化}했고, 종교가 결혼을 승인하고 고상하게 만들었고, 국가가 결혼을 요구하고 규제했으며, 한편 후대에, 진화하는 사랑은 문명의 가장 유용하고 탁월한 제도인 가정을 낳고 창조하는 것으로서 결혼을 비로소 정당화하고 찬미하고 있다. 그리고 가정을 세우기가, 교육하려는 모든 노력의 중심과 본질이 돼야한다.
2007 URKA 84:0.1 결혼은, 물질적인 필요성에 의해 성립되었고, 성적 욕구에 의해 미화(美化)되었으며, 종교에 의해 인정되면서 강화되었고, 국가에 의해 요구되고 규제되었으며, 반면에 후대에는 진화하는 사랑이, 문명의 가장 유용하고 탁월한 제도인 가정의 조상과 창조자로서 결혼을 정당화시키고 찬미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정을 세우는 일은 모든 교육적 노력의 중심과 본질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2025 84:0.1 물질적 필요가 결혼의 기초를 세웠고, 성욕은 결혼을 아름답게 꾸몄으며, 종교는 결혼을 인가하고 찬양하였고, 국가는 결혼을 요구하고 규제하였다. 한편 후일에, 진화되는 사랑은 문명의 가장 유익하고 숭고한 제도인 가정을 낳고 창조하는 것으로서 결혼을 비로소 정당화하고 영화롭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가정을 만드는 것은 모든 교육하는 노력의 중심이요 본질이 되어야 한다.
1955 84:0.2 Mating is purely an act of self-perpetuation associated with varying degrees of self-gratification; marriage, home building, is largely a matter of self-maintenance, and it implies the evolution of society. Society itself is the aggregated structure of family units. Individuals are very temporary as planetary factors—only families are continuing agencies in social evolution. The family is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river of culture and knowledge flows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2000 84:0.2 짝짓기는 정도가 다른 자아의 만족과 결부되어, 순전히 자아를 존속시키는 행위이다. 결혼, 곧 가정을 세우는 것은 대체로 자아를 유지하는 문제이며, 사회가 진화함을 뜻한다. 사회 그 자체는 가족 단위가 집합됨으로 생긴 구조이다. 개인들은 행성의 요인으로서 아주 일시적이다―오로지 가족이 사회의 진화에서 계속하는 매체이다. 가족은 문화와 지식이 대량으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흐르는 경로이다.
2001 CM 84:0.2 짝짓기는, 정도가 다른 자기-만족과 관련된, 순전히 자아를-존속시키려는 행동이며;가정을 건설하는 결혼은 주로 자아를-유지하는 문제이고, 사회의 진화를 수반한다. 사회 자체는 가족 단위들이 집합된 체계다. 개인은 행성의 요소로서 매우 일시적이다--가족만이 사회 진화에서 계속 존재하는 매개체다. 가족은, 문화와 지식의 강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흘러가는 경로다.
2007 URKA 84:0.2 짝을 짓는 일은 변화하는 자아-충족의 정도에 따른 순수한 자아-영속의 행동이다; 가정을 이룩하는 결혼은 주로 자아-유지의 문제이며, 그것은 사회의 진화를 내포한다. 사회 자체는 가족 단위들이 집합된 기구이다. 개별존재들은 행성에서의 요소들로서 매우 일시적이다─오직 가족들만이 사회 진화에 있어서 계속 존재하는 대리자이다. 가정은 문화와 지식의 강이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흘러가는 통로이다.
2025 84:0.2 짝짓기는 정도가 다른 자아 만족과 결부되어, 순전히 자아를 존속시키는 행위이다. 결혼, 곧 가정을 만드는 것은 대체로 자아를 유지하는 문제이며, 사회가 진화함을 뜻한다. 사회 그 자체는 가족 단위가 집합되어 생긴 구조이다. 개인들은 행성의 요인으로서 아주 일시적이다 ― 오로지 가족이 사회의 진화에서 계속하는 매체이다. 가족은 문화와 지식이 대량으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흐르는 경로이다.
1955 84:0.3 The home is basically a sociologic institution. Marriage grew out of co-operation in self-maintenance and partnership in self-perpetuation, the element of self-gratification being largely incidental. Nevertheless, the home does embrace all three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human existence, while life propagation makes it the fundamental human institution, and sex sets it off from all other social activities.
2000 84:0.3 기본적으로, 가정은 사회학적 제도이다. 결혼은 자아 유지에 협동하고 자아 영속에 협력함으로부터 생겨났으며, 자아 충족의 요소는 대체로 부수되는 것이었다. 그런데도 가정은 인간의 존재에서 모두 세 가지 기본 활동을 포함하며, 한편 생명을 퍼뜨리는 것은 가정을 근본적 인간 제도로 만들고, 성(性)은 가정과 모든 다른 사회 활동을 분리한다.
2001 CM 84:0.3 가정은 근본적으로 사회학적제도다. 결혼은 자아-유지에 협동하고 자아-영속{永續}에 협력함으로 생겨났는데, 자기-만족 요소는 대개 부수적이다. 그럼에도, 가정은 인간 실존에서 세 가지 필수 기능 전부를 포함하며, 한편 생명체 번식은 가정을 근본적 인간제도로 만들고, 성{性}은 다른 모든 사회 활동으로부터 가정을 돋보이게 한다.
2007 URKA 84:0.3 가정은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제도이다. 결혼은 자아-유지 속에서의 협동과 자아-영속 속에서의 협력으로부터 자라났으며, 자아-충족의 요소는 주로 부수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은 인간 실존의 근본적인 세 가지 기능들 모두를 포함하며, 반면에 생명 번식은 그것을 근본적인 인간 제도로 만들고, 성(性)은 그것을 다른 모든 사회적 활동들로부터 구별되게 한다.
2025 84:0.3 기본적으로, 가정은 사회학적 제도이다. 결혼은 자아 유지에 협동하고 자아 영속에 협력하는 데서 생겨났으며, 자아 충족의 요소는 대체로 부수되는 것이었다. 그런데도 가정은 인간의 존재에서 모두 세 가지 기본 활동을 포함하며, 한편 생명을 퍼뜨리는 것은 가정을 근본적 인간 제도로 만들고, 성(性)은 가정과 모든 다른 사회 활동을 분리한다.
1. PRIMITIVE PAIR ASSOCIATIONS
1. 원시적 부부 결합
1. 원시적 부부 결합
1. 원시적인 부부 관계적-연합
1. 원시적 부부 결합
1955 84:1.1 Marriage was not founded on sex relations; they were incidental thereto. Marriage was not needed by primitive man, who indulged his sex appetite freely without encumbering himself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wife, children, and home.
2000 84:1.1 결혼은 성관계에 기초를 두지 않았고, 성관계는 결혼에 따르는 것이었다. 결혼은 원시의 남자에게 필요하지 않았고, 그는 아내와 아이들과 가정을 책임지느라고 자신을 번거롭게 만들지 않고서 마음대로 성욕을 채웠다.
2001 CM 84:1.1 결혼은 성관계를 기초로 하지 않았으며;성관계는 결혼에 따르기 마련인 것이었다. 원시인은 결혼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아내와 자녀와 가정을 책임지지 않은 채, 자유롭게 성욕을 만족시켰다.
2007 URKA 84:1.1 결혼은 성적인 관계들을 기초로 하지 않았고; 그것으로부터 부수적으로 일어났다. 원시인들은 결혼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아내와 자녀 그리고 가정에 대한 의무들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성(性) 욕망을 만족시켰다.
2025 84:1.1 결혼은 성관계에 기초를 두지 않았고, 성관계는 결혼에 따르는 것이었다. 결혼은 원시의 남자에게 필요하지 않았고, 그는 아내와 아이들과 가정을 책임지느라고 자신을 번거롭게 만들지 않고서 마음대로 성욕을 채웠다.
1955 84:1.2 Woman, because of physical and emotional attachment to her offspring, is dependent on co-operation with the male, and this urges her into the sheltering protection of marriage. But no direct biologic urge led man into marriage—much less held him in. It was not love that made marriage attractive to man, but food hunger which first attracted savage man to woman and the primitive shelter shared by her children.
2000 84:1.2 여자는 자식에게 육체와 감정으로 애착을 가졌기 때문에 남자와 협동하는 데 의존했고, 이것은 여자를 결혼의 보호하는 울타리 속으로 떠민다. 그러나 아무런 생물학적 직접 욕구가 남자를―결혼에 붙잡아 두기는커녕―결혼으로 이끌지 않았다. 남자로 하여금 결혼에 이끌리게 만든 것은 사랑이 아니라 배고픔이었고, 배가 고파서 처음에 야만스런 남자가 여자에게, 여자의 아이들과 나누어 쓰는 원시 오두막으로 이끌렸다.
2001 CM 84:1.2 여자는 자식에 대한 육신적 및 감정적 애착 때문에, 남자와 협동하는 데 의존했고, 이것이 결혼이라는 보호 장치 속으로 여자를 몰아넣었다. 그러나 어떤 명백한 생물학적 충동도, 남자를 결혼으로 유도하지 않았다--그를 붙잡아 두는 힘은 훨씬 약했다. 결혼이 남자에게 매력을 준 것은 사랑이 아니라 식욕이었고, 그 식욕이 미개한 남자를 여자에게로, 그리고 여자의 자녀들이 공유하는 원시 은신처로 이끌었다.
2007 URKA 84:1.2 여인은 자기 자녀에게 육신적인 그리고 감정적인 애착을 갖기 때문에, 남성과의 협동에 의존하며, 이러한 것이 그녀로 하여금 결혼이라는 보호 장치 속으로 들어가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어떤 생물학적 충동도 남자를 결혼하도록 유도하지 않았다─그를 가두어 두는 힘이 훨씬 약하였다. 결혼이 남자에게 매력을 준 것은 사랑이 아니라 음식에 대한 갈망이었으며, 그것이 원시인들로 하여금 여자에게 그리고 그 여자와 자녀들이 공유하는 원시적인 은신처에 매력을 갖게 하였다.
2025 84:1.2 여자는 자식에게 육체와 감정으로 애착을 가졌기 때문에 남자와 협동하는 데 의존했고, 이것은 여자를 결혼의 보호하는 울타리 속으로 떠민다. 그러나 아무런 생물학적 직접 욕구도 남자를 ― 결혼에 붙잡아 두기는커녕 ― 결혼으로 이끌지 않았다. 남자로 하여금 결혼에 이끌리게 만든 것은 사랑이 아니라 배고픔이었고, 배가 고파서 처음에 야만스러운 남자가 여자에게, 여자의 아이들과 나누어 쓰는 원시 오두막으로 이끌렸다.
1955 84:1.3 Marriage was not even brought about by the conscious realization of the obligations of sex relations. Primitive man comprehended no connection between sex indulgence and the subsequent birth of a child. It was once universally believed that a virgin could become pregnant. The savage early conceived the idea that babies were made in spiritland; pregnancy wa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a woman’s being entered by a spirit, an evolving ghost. Both diet and the evil eye were also believed to be capable of causing pregnancy in a virgin or unmarried woman, while later beliefs connected the beginnings of life with the breath and with sunlight.
2000 84:1.3 결혼은 성관계에 따른 의무를 의식하여 깨달음으로 생기지도 않았다. 원시인은 성의 즐거움과 나중에 아이가 태어나는 것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한때는 처녀가 아이를 밸 수 있다는 것을 보편적으로 믿었다. 야만인은 일찍부터 아기들이 영(靈) 나라에서 만들어진다는 생각을 가졌다. 임신은 영, 곧 진화하는 귀신이 여자에게 들어간 결과라고 믿었다. 식품과 악한 눈도 또한 처녀나 결혼하지 않은 여자에게 임신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었고, 한편 후일의 관념은 생명의 시작을 숨과 햇빛에 연결시켰다.
2001 CM 84:1.3 결혼은 성관계에 따른 책무를 의식적으로 깨달음으로써 발생된 것도 아니었다. 원시인은, 성적 쾌락과 나중에 아이가 태어나는 것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깨닫지 못했다. 한때는 처녀도 임신할 수 있다고 보편적으로 믿었다. 미개인은 일찍부터, 아기가 영 나라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했으며;임신은 진화하는 유령인 어떤 영이 여자에게 들어간 결과라고 믿었다. 음식물과 흉안 역시 처녀나 결혼하지 않은 여자에게 임신시킬 수 있다고 믿었으며, 한편 후대에는 생명의 시작을 호흡이나 햇빛에 관련시키는 믿음이 있었다.
2007 URKA 84:1.3 결혼은 성(性) 관계에서의 책무들에 대한 의식적인 실현에 의하여 발생된 것도 아니었다. 원시인은 성적 즐거움 및 그 이후의 결과로서 태어나는 자녀 사이의 관계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였다. 처녀도 임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한 때 전체적으로 퍼져 있었다. 원시인들은 초기에는 아기들이 영적인 나라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였다; 임신은 진화하는 귀신인 어떤 영이 여자에게 들어간 결과라고 믿었다. 불길한 눈과 음식물 역시 처녀 또는 결혼하지 않은 여자에게 임신시킬 수 있다고 믿었으며, 반면에 후대에는 생명의 시작을 호흡과 그리고 햇빛과 관련시키는 믿음들이 있었다.
2025 84:1.3 결혼은 성관계에 따른 의무를 의식하여 깨달음으로 생기지도 않았다. 원시인은 성의 즐거움과 나중에 아이가 태어나는 것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한때는 처녀가 아이를 밸 수 있다는 것을 보편적으로 믿었다. 야만인은 일찍부터 아기들이 영(靈) 나라에서 만들어진다는 생각을 가졌다. 임신은 영, 곧 진화하는 귀신이 여자에게 들어간 결과라고 믿었다[1]. 식품과 악한 눈도 또한 처녀나 결혼하지 않은 여자에게 임신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었고, 한편 후일의 관념은 생명의 시작을 숨과 햇빛에 연결시켰다.
1955 84:1.4 Many early peoples associated ghosts with the sea; hence virgins were greatly restricted in their bathing practices; young women were far more afraid of bathing in the sea at high tide than of having sex relations. Deformed or premature babies were regarded as the young of animals which had found their way into a woman’s body as a result of careless bathing or through malevolent spirit activity. Savages, of course, thought nothing of strangling such offspring at birth.
2000 84:1.4 초기의 많은 민족은 귀신을 바다와 결부시켰다. 따라서 처녀들은 목욕하는 관습에 크게 제한을 받았다. 젊은 여자들은 성관계를 가지는 것보다 밀물이 있을 때 바다에서 몸 적시는 것을 훨씬 더 무서워했다. 기형(奇形)이거나 조산(早産)으로 생긴 아기들은 부주의한 목욕이나 악령의 행위를 통해서, 여자의 몸으로 들어간 동물의 새끼라고 여겼다. 물론 야만인은 그런 자식이 태어날 때 목 졸라 죽이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했다.
2001 CM 84:1.4 많은 초기 민족은 유령을 바다와 연관시켰으며;따라서 처녀는 목욕하는 습관에 크게 제한받았으며;젊은 여자는, 성관계를 갖는 것보다 밀물 때 바다에서 목욕하는 것을 훨씬 두려워했다. 불구자로 태어난 아기 또는 조산{早産}된 아기는, 부주의한 목욕 또는 심술궂은 영의 활동을 통해서 여자 몸속으로 들어간 동물의 새끼로 간주됐다. 당연히, 미개인은 그렇게 태어난 자손을 목 졸라 죽이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했다.
2007 URKA 84:1.4 초기 민족들 대부분은 귀신들을 바다와 연관시켰으며; 그래서 처녀들은 목욕하는 실천 관행에 있어서 크게 제한을 받았다; 젊은 여자들은 성(性) 관계들을 갖는 것보다도 밀물 때에 바다에서 목욕하는 것을 훨씬 더 두려워하였다. 불구자로 태어난 아기들 또는 조산된 아기들은, 부주의한 목욕 또는 심술궂은 영이 활동한 결과 때문에 여자의 몸속으로 들어올 길을 발견한 동물들의 새끼로 간주되었다. 당연히, 야만인들은 그러한 자손이 태어나자마자 목을 졸라서 죽이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였다.
2025 84:1.4 초기의 많은 민족은 귀신을 바다와 결부시켰다. 따라서 처녀들은 목욕하는 관습에 크게 제한을 받았다. 젊은 여자들은 성관계를 가지는 것보다 밀물이 있을 때 바다에서 몸 적시는 것을 훨씬 더 무서워했다. 기형(奇形)이거나 조산(早産)으로 생긴 아기들은 부주의한 목욕이나 악령의 행위를 통해서, 여자의 몸으로 들어간 동물의 새끼라고 여겼다. 물론 야만인은 그런 자식이 태어날 때 목 졸라 죽이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했다.
1955 84:1.5 The first step in enlightenment came with the belief that sex relations opened up the way for the impregnating ghost to enter the female. Man has since discovered that father and mother are equal contributors of the living inheritance factors which initiate offspring. But even in the twentieth century many parents still endeavor to keep their children in more or less ignorance as to the origin of human life.
2000 84:1.5 계몽의 첫 단계는 성관계가 임신하게 하는 귀신이 여자에게 들어가는 길을 연다는 관념과 함께 다가왔다. 그 뒤로 사람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식을 시작하는 살아 있는 유전 인자(因子)를 똑같이 기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20세기에도, 많은 부모가 아직도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하여 아이들을 얼마큼 무지한 가운데 두려고 애쓴다.
2001 CM 84:1.5 임신시키는 유령이 여자 몸속으로 들어오도록 성관계가 길을 열어준다는 믿음이, 계몽의 첫 단계가 됐다. 그후로 사람은, 자녀를 태어나게 하는 살아있는 유전적 요소에, 아버지와 어머니가 똑같이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심지어 20세기에 이르러서도, 많은 부모는 여전히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해 다소 무지한 상태에서 자녀를 양육하려고 한다.
2007 URKA 84:1.5 임신시키는 귀신이 여자의 몸속으로 들어오도록 성적인 관계에 의해서 길이 열린다는 믿음이, 깨우침의 첫 단계가 되었다. 그 후로 사람은, 자녀를 태어나게 하는 살아있는 유전적 요소들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똑같이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심지어는 20세기에 이르러서도, 많은 부모들은 여전히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해 다소 무지한 상태에서 자기 자녀들을 기르려고 한다.
2025 84:1.5 계몽의 첫 단계는 성관계가 임신하게 하는 귀신이 여자에게 들어가는 길을 연다는 관념과 함께 다가왔다. 그 뒤로 사람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식을 시작하는 살아 있는 유전 인자(因子)를 똑같이 기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20세기에도, 많은 부모가 아직도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하여 아이들을 얼마큼 무지한 가운데 두려고 애쓴다.
1955 84:1.6 A family of some simple sort was insured by the fact that the reproductive function entails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Mother love is instinctive; it did not originate in the mores as did marriage. All mammalian mother love is the inherent endowment of the adjutant mind-spirits of the local universe and is in strength and devotion alway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helpless infancy of the species.
2000 84:1.6 생식(生殖)의 기능에는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가 따른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어떤 단순한 종류의 가족이 보장되었다. 어머니 사랑은 본능이며, 결혼처럼 도덕 관습에서 생기지 않았다. 모든 포유 동물의 어머니 사랑은 지역 우주의 보조 지성 영들에게서 본래부터 받은 자질이며, 그 강도와 헌신은 반드시 그 종(種)의 무력한 유아기가 얼마나 긴가에 따라 정비례한다.
2001 CM 84:1.6 번식 기능에는 어머니-자녀 관계가 수반된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다소 무지한 부류의 가족도 유지될 수 있었다. 모성애{母性愛}는 본능이며;결혼과 마찬가지로, 사회관행에서 기원되지 않았다. 모든 포유동물의 모성애는, 지방우주 보조 정신-영들의 선천적 재능이며, 그 강도와 헌신은, 반드시 그 종{種}의 무기력한 유아기{幼兒期}의 길이에 정비례한다.
2007 URKA 84:1.6 다소 단순한 종류의 가족은 아이를 낳는 기능이 어머니와-자녀 관계를 일으킨다는 사실로서 지켜지게 되었다. 모성애는 본능적이다; 그것은 결혼이 그런 것처럼 그런 사회관례에서 발생된 것이 아니다. 모든 포유동물의 모성애는 지역우주의 보조 마음-영들의 선천적 수여자질이며, 그 강함과 헌신의 정도는 그 종(種)의 어떤 도움도 없는 유아기의 길이와 항상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2025 84:1.6 생식(生殖)의 기능에는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가 따른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어떤 단순한 종류의 가족이 보장되었다. 어머니 사랑은 본능이며, 결혼처럼 도덕 관습에서 생기지 않았다. 모든 포유동물의 어머니 사랑은 지역 우주의 보조 지성 영들에게서 본래부터 받은 자질이며, 그 강도와 헌신은 반드시 그 종(種)의 무력한 유아기가 얼마나 긴가에 따라 정비례한다.
1955 84:1.7 The mother and child relation is natural, strong, and instinctive, and one which, therefore, constrained primitive women to submit to many strange conditions and to endure untold hardships. This compelling mother love is the handicapping emotion which has always placed woman at such a tremendous disadvantage in all her struggles with man. Even at that, maternal instinct in the human species is not overpowering; it may be thwarted by ambition, selfishness, and religious conviction.
2000 84:1.7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는 자연스럽고, 강하고, 본능이며, 따라서 원시 여인들로 하여금 많은 이상한 조건을 참고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견디도록 강제한 관계이다. 어쩔 수 없는 이 어머니 사랑은 남자와 벌이는 모든 싸움에서 언제나 여자를 아주 엄청나게 불리한 자리에 몰아넣은, 장애가 되는 감정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인간종(種)에서 모성 본능은 지배하지 않는다. 포부ㆍ이기심, 종교적 확신으로 꺾일 수도 있다.
2001 CM 84:1.7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는 자연스럽고 강력하고 본능적이며, 따라서 원시 시대의 여자로 하여금 수많은 생소한 상황을 받아들이게 했고, 무수한 어려움을 견딜 수 있게 했다. 어쩔 수 없는 이런 모성애는, 남자와 싸워야할 때마다 여자에게 항상 엄청난 불이익을 주는 감정적 방해요소가 됐다. 그렇더라도, 인간 종족에서 모성애 본능에 저항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으며;야심, 이기심, 종교적 신념 등이 그 본능을 꺾을 수도 있다.
2007 URKA 84:1.7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는 자연적이고 강력하고 본능적인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원시 시대의 여인들로 하여금 수많은 생소한 상황들을 받아들이게 하였고 헤아릴 수 없는 어려움들을 견딜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강제적인 모성애는, 남자와의 모든 투쟁에 있어서 여자에게 항상 엄청난 불이익을 주는 감정적 방해요소가 되었다. 그러한 경우에도, 인간 종족 속에 있는 어머니로서의 본능은 저항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야심과 이기주의 그리고 종교적 신념에 의해서 방해될 수도 있었다.
2025 84:1.7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는 자연스럽고, 강하고, 본능이며, 따라서 원시 여인들로 하여금 많은 이상한 조건을 참고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견디도록 강제한 관계이다. 어쩔 수 없는 이 어머니 사랑은 남자와 벌이는 모든 싸움에서 언제나 여자를 아주 엄청나게 불리한 자리에 몰아넣은, 장애가 되는 감정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인간종(種)에서 모성 본능은 지배하지 않는다. 포부ㆍ이기심, 종교적 확신으로 꺾일 수도 있다.
1955 84:1.8 While the mother-child association is neither marriage nor home, it was the nucleus from which both sprang. The great advance in the evolution of mating came when these temporary partnerships lasted long enough to rear the resultant offspring, for that was homemaking.
2000 84:1.8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는 결혼도 가정도 아니지만, 그 핵심으로부터 이 두 가지가 솟아나왔다. 이 일시적 협동 관계가 그 결과로 생긴 자손을 기를 만큼 오래 갔을 때 짝짓기의 진화에서 큰 발전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가정을 이루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2001 CM 84:1.8 어머니-자녀 관계는 결혼도 가정도 아니지만, 그 관계는 이 두 가지가 솟아나온 핵심이었다. 이런 임시 동역관계가, 그 결과로 생긴 자손을 기르기에 충분할 정도로 오래 지속될 때 짝짓기의 진화에서 큰 발전이 이뤄졌는데, 그것이 바로 가정을 이루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2007 URKA 84:1.8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관계적-연합은 결혼도 아니고 가정 자체도 아니었지만, 그 두 가지가 발생되는 데 있어서 핵(核)의 역할을 하였다. 짝짓기의 진화에 있어서의 큰 진보는, 이러한 임시적 협력체가 결과적으로 생긴 자손을 기르기에 충분할 정도로 오래 지속될 때 이루어졌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바로 가정을 이루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2025 84:1.8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는 결혼도 가정도 아니지만, 그 핵심에서 이 두 가지가 솟아나왔다. 이 일시적 협동 관계가 그 결과로 생긴 자손을 기를 만큼 오래 갔을 때 짝짓기의 진화에서 큰 발전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가정을 이루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1955 84:1.9 Regardless of the antagonisms of these early pairs, notwithstanding the looseness of the association, the chances for survival were greatly improved by these male-female partnerships. A man and a woman, co-operating, even aside from family and offspring, are vastly superior in most ways to either two men or two women. This pairing of the sexes enhanced survival and was the very beginning of human society. The sex division of labor also made for comfort and increased happiness.
2000 84:1.9 이 초기 부부들의 적대 감정과 상관 없이, 그 결합이 허술했어도 살아남을 확률은 이 남녀의 협동 관계로 인하여 크게 개선되었다. 협동하는 남자와 여자는, 가족과 자손을 제쳐놓더라도, 두 남자나 두 여자보다 대부분의 경우에 엄청나게 우수하다. 남녀가 이렇게 짝짓는 것은 많은 사람을 살아남게 하였고, 인간 사회의 바로 그 시작이었다. 남녀가 따로 노동을 분화하는 것은 또한 편안에 도움이 되고 사람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었다.
2001 CM 84:1.9 이 초기 부부의 대립 관계와는 상관없이 그 연합이 느슨했음에도, 살아남을 확률은 이런 남-녀 간 동역관계로 인해 크게 증진됐다. 가족과 자손 관계가 아니라도, 서로 협동하는 한 남자와 한 여자는, 두 남자 또는 두 여자보다 모든 면에서 훨씬 우세하다. 남녀가 짝을 맺는 이런 일이, 살아남는 능력을 증대시켰고, 인간 사회의 첫 걸음이 됐다. 성{性}에 따른 노동 분화 역시 편안함을 제공했고 행복을 증대시켰다.
2007 URKA 84:1.9 이러한 초기 부부들의 반목을 일으키는 관계와는 상관없이, 그 관계적-연합의 느슨함에도 불구하고, 생존 기회는 이러한 남녀 간의 협동체에 의해서 크게 증진되었다. 가족과 자손의 관계가 아니더라도, 서로 협동하는 한 남자와 한 여자는 두 남자들 또는 두 여자들보다 모든 면에서 훨씬 더 우월하다. 이성(異性)간에 짝을 짓는 이러한 일은 생존 능력을 증대시켰고 인간 사회의 첫 걸음이 되었다. 성(性)에 따른 노동의 구분 역시 편안함을 제공하였고 행복을 증대시켰다.
2025 84:1.9 이 초기 부부들의 적대 감정과 상관없이, 그 결합이 허술했어도 살아남을 확률은 이 남녀의 협동 관계로 인하여 크게 개선되었다. 협동하는 남자와 여자는, 가족과 자손을 제쳐 놓더라도, 두 남자나 두 여자보다 대부분의 경우에 엄청나게 우수하다. 남녀가 이렇게 짝짓는 것은 많은 사람을 살아남게 하였고, 인간 사회의 바로 그 시작이었다. 남녀가 따로 노동을 분화하는 것은 또한 편안에 도움이 되고 사람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었다.
2. THE EARLY MOTHER-FAMILY
2. 옛날의 모계 가족
2. 초기의 모계-가족
2. 초기의 모계(母系)-가정
2. 옛날의 모계 가족
1955 84:2.1 The woman’s periodic hemorrhage and her further loss of blood at childbirth early suggested blood as the creator of the child (even as the seat of the soul) and gave origin to the blood-bond concept of human relationships. In early times all descent was reckoned in the female line, that being the only part of inheritance which was at all certain.
2000 84:2.1 여자가 정기적으로 피 흘리고 출산할 때 피를 더 잃는 것은 일찍부터 피가 아이를 창조한다는 (아니 혼이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는) 것을 암시했고, 인간 관계에서 혈연의 개념을 낳았다. 옛 시절에 모든 후손은 여자의 핏줄로 계산하였고, 이것이 상속에서 조금이라도 확실한, 유일한 부분이었다.
2001 CM 84:2.1 여자의 주기적 월경과 아이 낳는 과정에서 흘리는 많은 피로 인해, 피가 아기를 조성한다는 (심지어 혼의 근원이라는) 추측이 초기 시대부터 이뤄졌고, 인간관계에서 혈연{血緣} 개념이 생겨나게 했다. 초기 시대에는 모든 후손이 여자 계통을 따라서 계수{計數}됐는데, 이것이 상속에서 조금이라도 더 확실한, 유일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2007 URKA 84:2.1 여자의 주기적인 출혈과 아이를 낳는 과정에서 흘리는 많은 피로 인하여, 피가 아기의 창조자라는 (심지어는 혼의 근원이라는) 추측이 초기 시대부터 이루어졌으며, 인간적 관계들에 있어서 혈연-동맹이 기원되었다. 초기 시대에는 모든 후손들이 여자의 계통을 따라 계수 되었는데, 그것이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유일한 유전적 관계였다.
1955 84:2.2 The primitive family, growing out of the instinctive biologic blood bond of mother and child, was inevitably a mother-family; and many tribes long held to this arrangement. The mother-family was the only possible transition from the stage of group marriage in the horde to the later and improved home life of the polygamous and monogamous father-families. The mother-family was natural and biologic; the father-family i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The persistence of the mother-family among the North American red men is one of the chief reasons why the otherwise progressive Iroquois never became a real state.
2000 84:2.2 어머니와 아이의 혈연 관계, 본능적이고 생물학적 관계에서 생겨났으므로, 원시의 가족은 불가피하게 모계 가족이었다. 그리고 많은 부족이 이 배치를 오랫동안 지켰다. 모계 가족은 무리에서 집단으로 결혼하는 단계로부터, 일부다처와 일부일처의 부계 가족의 생활, 후일의 개선된 가정 생활로 넘어가는 유일하게 가능한 과도기였다. 모계 가족은 자연스럽고 생물학적이었다. 부계 가족은 사회ㆍ경제ㆍ정치적인 것이었다. 북 아메리카 홍인들 사이에서 모계 가족이 지속된 것은, 어째서 다른 면에서 진취적인 이로쿼이인이 결코 진짜 국가가 되지 못했는가 하는 주요한 이유 중에 하나이다.
2001 CM 84:2.2 어머니와 자녀의 본능적이고 생물학적인 혈연에서 생겨났으므로, 원시 가족은 필연적으로 모계{母系}-가족이었으며;많은 부족이 이런 체제를 오랫동안 고수했다. 모계-가족은, 유랑민 무리의 집단 결혼 단계로부터, 일부다처 및 일부일처 부계{父系}-가족이라는, 후대의 개선된 가정생활 단계로 넘어가는 유일하게 가능한 과도기였다. 모계-가족은 자연스럽고 생물학적인 것이었으며;부계-가족은, 사회적이고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것이었다. 다른 면에서 진취적인 이로쿼이가 진정한 국가를 이루지 못하게 된 주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북아메리카 홍색인 가운데서 모계-가족이 지속된 것이었다.
2007 URKA 84:2.2 어머니와 자녀의 본능적인 생물학적 혈연 동맹으로부터 자라났던 원시적인 가족은 필연적으로 모계-가정이 될 수밖에 없었다; 많은 부족들은 이러한 체제를 오랫동안 고수하였다. 모계-가정은 유목민 집단 속에서의 집단적 결혼 단계로부터 일부다처제와 일부일처제의 부계(父系)-가정들에 해당하는 후대의 개선된 가정생활의 단계로 옮아가는 데 있어서 유일하게 가능하였던 과도기적 형태였다. 모계-가정은 자연적이고 생물학적이었다; 부계-가정은 사회적이고 경제적이며 정치적이었다. 북아메리카 적색 인종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던 모계-가정은 이로쿼이족이 실제 국가 형태를 이루지 못하게 만든 주요 이유들 중의 하나였다.
2025 84:2.2 어머니와 아이의 혈연 관계, 본능적이고 생물학적 관계에서 생겨났으므로, 원시의 가족은 불가피하게 모계 가족이었다. 그리고 많은 부족이 이 배치를 오랫동안 지켰다. 모계 가족은 무리에서 집단으로 결혼하는 단계로부터, 일부다처 및 일부일처인 부계 가족의 생활, 후일의 개선된 가정 생활로 넘어가는 유일하게 가능한 과도기였다. 모계 가족은 자연스럽고 생물학적이었다. 부계 가족은 사회ㆍ경제ㆍ정치적인 것이었다. 북 아메리카 홍인들 사이에서 모계 가족이 지속된 것은, 어째서 다른 면에서 진취적인 이로쿼이인이 결코 진짜 국가가 되지 못했는가 하는 주요한 이유 중에 하나이다.
1955 84:2.3 Under the mother-family mores the wife’s mother enjoyed virtually supreme authority in the home; even the wife’s brothers and their sons were more active in family supervision than was the husband. Fathers were often renamed after their own children.
2000 84:2.3 모계 가족의 관습 밑에서 아내의 어머니는 집에서 거의 최고의 권한을 누렸다. 아내의 형제와 조카들조차 가족을 감독하는 데 남편보다 더 분주했다. 아버지의 이름은 흔히 제 자식들을 따라서 다시 지었다.
2001 CM 84:2.3 모계-가족의 사회관행 아래서는, 아내의 어머니가 집안에서 실질적인 최고 권세를 누렸으며;가족을 감독하는 데서, 아내의 남자 형제와 그 자녀들이 남편보다 더 활동적이었다. 아버지의 이름은 흔히 자녀들을 따라서 다시 지어지곤 했다.
2007 URKA 84:2.3 모계-가정의 사회관례 아래에서는 아내의 어머니가 집안에서의 실질적인 최극 권한을 누렸으며; 가족을 감독하는 일에 있어서는 아내의 남자 형제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남편보다 더 활동적이었다. 아버지들은 자기 자녀들이 태어난 후에 종종 이름이 바뀌곤 하였다.
2025 84:2.3 모계 가족의 관습 밑에서 아내의 어머니는 집에서 거의 최고의 권한을 누렸다. 아내의 형제와 조카들조차 가족을 감독하는 데 남편보다 더 분주했다. 아버지의 이름은 흔히 제 자식들을 따라서 다시 지었다.
1955 84:2.4 The earliest races gave little credit to the father, looking upon the child as coming altogether from the mother. They believed that children resembled the father as a result of association, or that they were “marked” in this manner because the mother desired them to look like the father. Later on, when the switch came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the father took all credit for the child, and many of the taboos on a pregnant woman were subsequently extended to include her husband. The prospective father ceased work as the time of delivery approached, and at childbirth he went to bed, along with the wife, remaining at rest from three to eight days. The wife might arise the next day and engage in hard labor, but the husband remained in bed to receive congratulations; this was all a part of the early mores designed to establish the father’s right to the child.
2000 84:2.4 아주 초기의 종족들은 아버지에게 공을 거의 돌리지 않았고, 아이가 전적으로 어머니로부터 온다고 보았다. 그들은 접촉하는 결과로서, 아이들이 아버지를 닮는다고, 또는 어머니가 아이들이 아버지를 닮았으면 했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아이들이 “표시되었다”고 믿었다. 나중에는 모계 가족에서 부계(父系) 가족으로 넘어가는 때가 다가왔을 때, 아이를 낳은 공을 아버지가 온전히 가졌으며, 임신한 여자에 대한 많은 금기(禁忌)는 나중에 그 남편을 포함하도록 연장되었다. 아이를 기대하는 아버지는 해산할 때가 가까워오자 일을 그만두었고, 아이가 태어날 때 침대로 가서 아내와 함께 3일에서 8일까지 남아서 쉬었다. 아내는 그 다음 날 일어나서 고된 일에 들어갈 수도 있었지만, 남편은 축하를 받으려고, 침대에 남아 있었다. 이것은 모두 아이에 대한 아버지의 권리를 확립하려고 고안된 옛 관습의 일부였다.
2001 CM 84:2.4 아주 초기의 종족들은 아버지의 공로를 거의 인정하지 않았고, 자녀는 전적으로 어머니로부터 출생된다고 여겼다. 그들은, 같이 살기 때문에 자녀가 아버지를 닮는다고 믿거나, 또는 아이들이 아버지를 닮게 되기를 어머니가 열망했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표시를 받았다”고 믿었다. 후대에 이르러, 모계-가족이 부계-가족으로 전환된 후에는, 아이 낳는 공로를 아버지가 온전히 취했고, 임신한 여자에 대한 많은 금기는, 나중에 그 남편도 포함시킬 만큼 확장됐다. 아버지 될 사람은 출산 날짜가 가까워지면서 일을 멈췄고, 아이가 태어나면 아내와 함께 침실로 들어가서 3일내지 8일 동안 휴식을 취했다. 아내는 다음 날부터 일어나서 어려운 일을 시작했지만;남편은 계속 침실에 남아서 축하 인사를 받았으며;이 모든 것은,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권리를 세워주기 위해 고안된, 초기 사회관행 가운데 일부였다.
2007 URKA 84:2.4 가장 초기의 부족들은 아버지의 공적을 거의 인정하지 않았고, 자녀는 전적으로 어머니로부터 출생된 것으로 여겼다. 그들은 같이 살기 때문에 자녀들이 아버지를 닮는다고 믿거나, 또는 어머니가 그들로 하여금 그 아버지를 닮게 되기를 원하였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표시를 받았다”고 믿었다. 후대에 이르러서, 모계-가정이 부계-가정으로 전환된 후에는 아버지가 자녀를 낳은 모든 공적을 가졌으며, 임신한 여인에 대한 많은 금기들은 나중에 더 확장되어 그녀의 남편도 포함시키게 되었다. 아버지가 될 사람은 출산 날짜가 가까워지면서 일을 멈추었고, 아이가 태어나면 아내와 함께 침실로 들어가서 3일내지 8일 동안 휴식을 취하였다. 그 아내는 다음 날부터 일어나 어려운 일을 시작하였지만; 남편은 계속 침실에 남아서 축하 인사를 받았다; 이 모든 것은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권리를 세워주기 위해 고안된 초기 사회관례의 일부분이었다.
2025 84:2.4 아주 초기의 종족들은 아버지에게 공을 거의 돌리지 않았고, 아이가 전적으로 어머니로부터 온다고 보았다. 그들은 접촉하는 결과로서, 아이들이 아버지를 닮는다고, 또는 어머니가 아이들이 아버지를 닮았으면 했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아이들이 “표시되었다”고 믿었다. 나중에는 모계 가족에서 부계(父系) 가족으로 넘어가는 때가 다가왔을 때, 아이를 낳은 공을 아버지가 온전히 가졌으며, 임신한 여자에 대한 많은 금기(禁忌)는 나중에 그 남편을 포함하도록 연장되었다. 아이를 기대하는 아버지는 해산할 때가 가까워오자 일을 그만두었고, 아이가 태어날 때 침대로 가서 아내와 함께 3일에서 8일까지 남아서 쉬었다. 아내는 그 다음 날 일어나서 고된 일에 들어갈 수도 있었지만, 남편은 축하를 받으려고, 침대에 남아 있었다. 이것은 모두 아이에 대한 아버지의 권리를 확립하려고 고안된 옛 관습의 일부였다.
1955 84:2.5 At first, it was the custom for the man to go to his wife’s people, but in later times, after a man had paid or worked out the bride price, he could take his wife and children back to his own people. The transition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explains the otherwise meaningless prohibitions of some types of cousin marriages while others of equal kinship are approved.
2000 84:2.5 처음에는 남자가 아내의 종족에게로 가는 것이 관습이었으나, 후일에는 남자가 신부 값을 치르거나 이를 위해 일한 뒤에, 제 아내와 아이들을 자기 사람들에게로 데리고 갈 수 있었다. 모계 가족으로부터 부계 가족으로 넘어간 것은, 달리 의미가 없는데 어째서 어떤 종류의 사촌 결혼을 금지하고, 한편 똑같은 인척 관계에 있는 다른 것은 인정되었는가를 설명한다.
2001 CM 84:2.5 처음에는 남자가 아내의 족속에게 가는 것이 관습이었지만, 후대에는 남자가 신부에 대한 값을 지불하거나 그에 해당하는 노동을 마친 후에, 아내와 자녀를 본래의 자기 족속에게 데려올 수 있게 됐다. 모계-가족으로부터 부계-가족으로 전환된 것은, 달리 의미가 없는데도, 어찌하여 어떤 유형의 사촌 간 결혼은 금지하면서, 똑같은 인척 관계에 있는 다른 것은 인정했는가를 설명해준다.
2007 URKA 84:2.5 처음에는 남자가 자기 아내의 족속에게로 가는 것이 관례였지만, 후대에 이르러서는 남자가 신부에 대한 값을 지불하거나 그에 해당한 노동을 마친 후에는 자기 아내와 자녀들을 본래의 자기 족속에게로 데려올 수 있게 되었다. 모계-가정으로부터 부계-가정으로의 변환은, 똑같은 친족관계에 있는 다른 사람들은 허용하면서 사촌끼리 결혼하는 어떤 유형들은 금지하는, 어떤 면에서 무의미한 일들을 설명해 준다.
2025 84:2.5 처음에는 남자가 아내의 종족에게 가는 것이 관습이었으나, 후일에는 남자가 신부 값을 치르거나 이를 위해 일한 뒤에, 제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자기 종족에게 돌아갈 수 있었다. 모계 가족에서 부계 가족으로 넘어간 것은, 달리 의미가 없는데 어째서 어떤 종류의 사촌 결혼을 금지하고, 한편 똑같은 인척 관계에 있는 다른 것은 인정되었는가를 설명한다.
1955 84:2.6 With the passing of the hunter mores, when herding gave man control of the chief food supply, the mother-family came to a speedy end. It failed simply because it could not successfully compete with the newer father-family. Power lodged with the male relatives of the mother could not compete with power concentrated in the husband-father. Woman was not equal to the combined tasks of childbearing and of exercising continuous authority and increasing domestic power. The oncoming of wife stealing and later wife purchase hastened the passing of the mother-family.
2000 84:2.6 사냥꾼의 풍습이 지나가고, 남자가 짐승을 길러 주요한 식량 공급을 좌우하게 되었을 때, 모계 가족은 재빨리 끝에 이르렀다. 모계 가족은 다만 새로 생긴 부계 가족과 경쟁하는 데 성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다. 어머니의 남자 친척들에게 투입된 권력은 남편이자 아버지에게 집중된 권력과 경쟁할 수 없었다. 여자는 아이를 배고, 계속된 권한과 늘어나는 집안의 권력을 행사하는 두 가지 과제에 힘이 부치었다. 새로 등장하는 아내 훔치기와 나중에 아내 사들이기는 모계 가족의 종말을 재촉하였다.
2001 CM 84:2.6 사냥꾼 사회관행이 지나가고, 목축이 시작되면서 주요 식량 공급을 남자가 좌우하게 되자, 모계-가족은 재빨리 사라졌다. 모계-가족이 사라진 단순한 이유는, 새롭게 형성되는 부계-가족과 경쟁하여 이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남자 친척에게 주어진 힘으로는, 남편-아버지에게 집중된 힘과 경쟁할 수 없었다. 여자는 자녀를 임신하면서, 계속된 권한과 늘어나는 집안의 권력을 행사하는 복합적인 과제를 감당할 수 없었다. 새로 등장하는 아내 훔치기와 후대에 이뤄진 아내 구매{購買}가, 모계-가족이 사라지도록 재촉했다.
2007 URKA 84:2.6 사냥하는 단계가 지나가고 목축하는 일이 시작되면서 사회관례에 의해 음식 공급 통제가 남자에게 넘겨지자, 모계-가정은 급속도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것이 사라진 단순한 이유는, 보다 새롭게 형성되는 부계-가정과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어머니의 남자 친척들에게 주어진 힘으로는 남편-아버지에게 집중된 힘과 경쟁할 수 없었다. 여자들은 계속적인 권한을 행사하면서 가정의 힘을 키우는 일과 자녀를 키우는 복합적인 임무들을 감당할 수 없었다. 새로 나타나는 아내 훔치기와 후대에 이루어진 아내 구매(購買)는 모계-가정이 사라지도록 재촉하였다.
2025 84:2.6 사냥꾼의 풍습이 지나가고, 남자가 짐승을 길러 주요한 식량 공급을 좌우하게 되었을 때, 모계 가족은 재빨리 끝에 이르렀다. 모계 가족은 다만 새로 생긴 부계 가족과 경쟁하는 데 성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다. 어머니의 남자 친척들에게 투입된 권력은 남편이자 아버지에게 집중된 권력과 경쟁할 수 없었다. 여자는 아이를 배고, 계속된 권한과 늘어나는 집안의 권력을 행사하는 두 가지 과제에 힘이 부치었다. 새로 등장하는 아내 훔치기와 나중에 아내 사들이기는 모계 가족의 종말을 재촉하였다.
1955 84:2.7 The stupendous change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is one of the most radical and complete right-about-face adjustments ever executed by the human race. This change led at once to greater social expression and increased family adventure.
2000 84:2.7 모계 가족으로부터 부계 가족으로 넘어가는 굉장한 변화는 인류가 일찍이 일으킨 가장 급진적이고, 완전히 거꾸로 돌아가는 조정 중에 하나였다. 이 변화로 말미암아 대번에 사회적 표현이 늘어나고 가족을 이루는 모험이 증가하였다.
2001 CM 84:2.7 모계-가족에서 부계-가족으로 넘어가는 엄청난 변화는, 인간 종족이 이제까지 수행했던, 가장 급진적이고 철저하게 180도 방향이 전환되는 조정 가운데 하나였다. 이런 변화로 말미암아, 즉시 사교적인 표현이 늘어나고 가족을 이루는 모험이 증가했다.
2007 URKA 84:2.7 모계-가정으로부터 부계-가정으로의 엄청난 변화는, 인간 종족에 의해서 이제까지 수행되었던 가장 급진적인 그리고 완벽하게 180도 방향이 전환되는 조절들 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변화는 즉시 더 많은 사교적인 표현과 증진된 가정적 모험을 유도해 내었다.
2025 84:2.7 모계 가족에서 부계 가족으로 넘어가는 굉장한 변화는 인류가 일찍이 일으킨 가장 급진적이고, 완전히 거꾸로 돌아가는 조정 중에 하나였다. 이 변화로 말미암아 대번에 사회적 표현이 늘어나고 가족을 이루는 모험이 증가하였다.
3. THE FAMILY UNDER FATHER DOMINANCE
3. 아버지의 지배 하에 있는 가족
3. 아버지의 지배 아래 있는 가족
3. 아버지가 지배하는 가정
3. 아버지의 지배 하에 있는 가족
1955 84:3.1 It may be that the instinct of motherhood led woman into marriage, but it was man’s superior strength, together with the influence of the mores, that virtually compelled her to remain in wedlock. Pastoral living tended to create a new system of mores, the patriarchal type of family life; and the basis of family unity under the herder and early agricultural mores was the unquestioned and arbitrary authority of the father. All society, whether national or familial, passed through the stage of the autocratic authority of a patriarchal order.
2000 84:3.1 모성 본능이 여자를 결혼으로 이끌었는지 모르지만, 여자를 결혼한 채로 남아 있도록 실질적으로 강제한 것은, 관습의 영향과 함께 남자의 우수한 힘이었다. 전원 생활은 새로운 체계의 관습, 부계 종류의 가족 생활을 만들어 내는 경향이 있었다. 짐승을 기르고 초기에 농사 짓는 관습 하에서, 가족 단결의 기초는 아버지의 권한, 도전받지 않고 멋대로 하는 권한이었다. 모든 사회는, 국가이든 가족이든, 족장 계급이 독재 권한을 갖는 단계를 거쳤다.
2001 CM 84:3.1 모성 본능이 여자를 결혼으로 이끌었는지 모르지만, 여자가 계속 결혼 생활을 유지하도록 실질적으로 강요한 것은, 사회관행의 영향과 함께 남자의 우세한 힘이었다. 목축 생활은 새 사회관행 체계 곧 가부장적{家父長的} 유형의 가족생활이 이뤄지도록 이바지했으며;목축업과 초기 농업의 사회관행 하에서 이뤄진 가족 단결의 기초는, 명백하고 독단적인 아버지의 권위였다. 국가적인 것이든지 가족적인 것이든지, 모든 사회는 가부장체제라는 독재 권위 단계를 거쳤다.
2007 URKA 84:3.1 어머니로서의 본능이 여자들로 하여금 결혼하도록 유도하였겠지만, 여자들이 계속 결혼 생활을 유지하도록 실질적으로 강요한 것은, 사회관례의 영향과 함께 남자의 우월한 체력이었다. 목축 생활은 새로운 사회관례 체계, 가부장(家父長)적 유형의 가정생활이 이루어지도록 이바지하였다; 목축업과 초기 농업의 사회관례 밑에서 이루어진 가족 합일의 기초는, 명백하고 독단적인 아버지의 권위였다. 국가적인 것이든지 또는 가족적인 것이든지, 모든 사회는 가부장적 체제의 독재적인 권위의 단계를 거쳤다.
2025 84:3.1 모성 본능이 여자를 결혼으로 이끌었는지 모르지만, 여자를 결혼한 채로 남아 있도록 실질적으로 강제한 것은, 관습의 영향과 함께 남자의 우수한 힘이었다. 전원 생활은 새로운 체계의 관습, 부계 종류의 가족 생활을 만들어 내는 경향이 있었다. 짐승을 기르고 초기에 농사 짓는 관습 하에서, 가족 단결의 기초는 아버지의 권한, 도전 받지 않고 멋대로 하는 권한이었다. 모든 사회는, 국가이든 가족이든, 족장 계급이 독재 권한을 갖는 단계를 거쳤다.
1955 84:3.2 The scant courtesy paid womankind during the Old Testament era is a true reflection of the mores of the herdsmen. The Hebrew patriarchs were all herdsmen, as is witnessed by the saying, “The Lord is my Shepherd.”
2000 84:3.2 구약(舊約) 시대에 여성에게 인색하게 예의를 보인 것은 목자들의 도덕 관습을 참되게 반영한다. “주는 나의 목자시니”하는 말이 증언하다시피, 히브리 족장들은 모두 목자였다.
2001 CM 84:3.2 구약 시대에 여자를 거의 대우하지 않은 것은, 목축하는 사람들의 사회관행이 그대로 반영됐기 때문이다. 히브리 족장{族長}들은, “주는 나의 목자시니”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모두 목축업자였다.
2007 URKA 84:3.2 구약 성서 시대 동안에 여성을 거의 대우하지 않은 것은 목축을 하는 사람들의 사회관례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히브리의 족장들은, “주님은 나의 목자(牧者)이시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모두 목축업자들이었다.
1955 84:3.3 But man was no more to blame for his low opinion of woman during past ages than was woman herself. She failed to get social recognition during primitive times because she did not function in an emergency; she was not a spectacular or crisis hero. Maternity was a distinct disability in the existence struggle; mother love handicapped women in the tribal defense.
2000 84:3.3 그러나 지난 시대에 남자가 여자를 낮추어 보는 의견을 가진 것에 대하여 남자는 바로 그 여자보다 더 큰 잘못은 없다. 여자는 비상시에 활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시 시대에 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여자는 눈부신 영웅도 위기의 영웅도 아니었다. 생존 투쟁에서 아이를 밴 것은 뚜렷한 불구였고, 모성애는 부족을 방어할 때 여자에게 장애물이 되었다.
2001 CM 84:3.3 그러나 지난 시대에 남자가 여자를 낮게 취급한 것은, 남자보다 오히려 여자 자신 때문이었다. 여자는 위기 상황에서 역할을 감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시 시대에 사회적 명성을 얻지 못했으며;극적인 영웅 또는 위기 상황에서 영웅이 되지 못했다. 임신 기간은 생존 투쟁에서 뚜렷이 불리한 조건이었으며;부족을 방어할 때, 모성애가 여자를 불리한 위치에 서게 했다.
2007 URKA 84:3.3 그러나 지나간 시대들에 있어서 여자들이 낮게 취급된 것은 남자들 때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여자들 자신 때문이었다. 여자들은 원시 시대 동안에 사회적인 명성을 얻지 못하였는데, 그것은 위기 상황에 있어서 기능을 발휘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극적인 영웅 또는 위기 상황에서의 영웅이 되지 못하였다. 모성애는 생존을 위한 투쟁에 있어서 뚜렷하게 불리한 조건이었다; 어머니의 사랑은 부족을 방어함에 있어서 여자들에게 방해적인 요소였다.
2025 84:3.3 그러나 지난 시대에 남자가 여자를 낮추어 보는 의견을 가진 것에 대하여 남자는 바로 그 여자보다 더 큰 잘못은 없다. 여자는 비상시에 활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시 시대에 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여자는 눈부신 영웅도 위기의 영웅도 아니었다. 생존 투쟁에서 아이를 밴 것은 뚜렷한 불구였고, 모성애는 부족을 방어할 때 여자에게 장애물이 되었다.
1955 84:3.4 Primitive women also unintentionally created their dependence on the male by their admiration and applause for his pugnacity and virility. This exaltation of the warrior elevated the male ego while it equally depressed that of the female and made her more dependent; a military uniform still mightily stirs the feminine emotions.
2000 84:3.4 원시의 여자들은 또한 남자가 싸우기 좋아하고 사내다운 것을 찬미하고 갈채를 보냄으로 뜻하지 않게 남자에게 의존하는 성향을 길렀다. 무사(武士)를 이렇게 추켜세운 것은 남자의 자존심을 높였고, 한편 여자의 자존심을 그만큼 억누르고 여자로 하여금 더욱 의존하게 만들었다. 군복은 아직도 여성의 감정을 힘차게 뒤흔든다.
2001 CM 84:3.4 또한 원시 여자들은, 남자의 호전성{好戰性}과 정력을 찬미하고 칭찬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그들에게 의존하게 됐다. 전사{戰士}들을 이렇게 찬미함은 남성의 자부심을 높여준 반면, 여자의 자부심은 그만큼 억눌렸고, 여자가 더 종속되도록 만들었으며;군인의 제복은 여성의 감정을 여전히 크게 흥분시키고 있다.
2007 URKA 84:3.4 또한 원시시대의 여인들은 남자의 호전성과 정력에 대하여 감탄하고 칭찬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그들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전사들에 대한 이러한 찬미는 남성의 자기를 높여준 반면, 여성의 자기는 그만큼 억눌렸고, 여자들이 더욱 종속되도록 만들었다; 군인들의 제복은 여전히 여성들의 감정을 강력하게 휘젓는다.
2025 84:3.4 원시의 여자들은 또한 남자가 싸우기 좋아하고 사내다운 것을 찬미하고 갈채를 보냄으로 뜻하지 않게 남자에게 의존하는 성향을 길렀다. 무사(武士)를 이렇게 추켜세운 것은 남자의 자존심을 높였고, 한편 여자의 자존심을 그만큼 억누르고 여자로 하여금 더욱 의존하게 만들었다. 군복은 아직도 여성의 감정을 힘차게 뒤흔든다.
1955 84:3.5 Among the more advanced races, women are not so large or so strong as men. Woman, being the weaker, therefore became the more tactful; she early learned to trade upon her sex charms. She became more alert and conservative than man, though slightly less profound. Man was woman’s superior on the battlefield and in the hunt; but at home woman has usually outgeneraled even the most primitive of men.
2000 84:3.5 진보한 축에 속하는 민족들 사이에서, 여자는 남자처럼 크거나 힘세지 않다. 여자는 약자이니까, 따라서 더 요령 있는 사람이 되었다. 여자는 일찍부터 성적 매력을 파는 것을 배웠다. 여자는 남자보다 생각이 깊지는 않았지만, 더 민첩하고 보수적이었다. 남자는 전쟁터에서, 그리고 사냥할 때, 여자의 상관이었다. 그러나 집에서 여자는 가장 원시적인 남자들도 보통 술책으로 이겼다.
2001 CM 84:3.5 더 진보된 인종들 가운데서, 여자는 남자만큼 크지도 강하지도 않다. 따라서 여자는 약자인 만큼 더 약삭빠르게 됐으며;성적 매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일찍부터 익혔다. 여자는 남자보다 생각이 약간 덜 깊지만, 더 기민하고 보수적인 성격이 됐다. 전쟁터와 사냥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우세하지만;가정에서는 대개, 가장 야성적인 남자도 여자가 술책으로 이길 수 있었다.
2007 URKA 84:3.5 더욱 진보된 종족들 사이에서는, 여자들은 남자들만큼 크지도 강하지도 않다. 여자들은 더 약해졌기 때문에 더욱 약삭빠르게 되었다; 성적인 매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일찍부터 익혔다. 여자는 남자보다 약간 생각이 덜 깊지만, 더 기민하고 보수적이 되었다. 전쟁터와 사냥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우월하지만; 가정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남자들이라도 대개 술책으로 이길 수 있다.
2025 84:3.5 진보한 축에 속하는 민족들 사이에서, 여자는 남자처럼 크거나 힘세지 않다. 여자는 약자이니까, 따라서 더 요령 있는 사람이 되었다. 여자는 일찍부터 성적 매력을 파는 것을 배웠다. 여자는 남자보다 생각이 깊지 않았지만, 더 민첩하고 보수적이었다. 남자는 전쟁터에서, 그리고 사냥할 때, 여자의 상관이었다. 그러나 집에서 여자는 아주 원시적인 남자들도 보통 술책으로 이겼다.
1955 84:3.6 The herdsman looked to his flocks for sustenance, but throughout these pastoral ages woman must still provide the vegetable food. Primitive man shunned the soil; it was altogether too peaceful, too unadventuresome. There was also an old superstition that women could raise better plants; they were mothers. In many backward tribes today, the men cook the meat, the women the vegetables, and when the primitive tribes of Australia are on the march, the women never attack game, while a man would not stoop to dig a root.
2000 84:3.6 목자는 먹을거리를 자기의 짐승 떼에서 찾았지만, 이 전원 시대를 통하여 내내, 여자는 아직도 먹을 채소를 마련해야 했다. 원시의 남자는 흙을 피했다. 흙은 너무나 평화롭고 모험하는 재미가 너무 없었다. 또한 여자가 채소를 더 잘 가꿀 수 있다는 오래 된 미신이 있었는데, 여자가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오늘날 뒤에 처진 많은 부족에서, 남자는 고기를, 여자는 채소를 요리하며, 오스트랄리아의 원시 부족들이 행진할 때 여자들은 결코 사냥거리를 잡지 않고, 한편 남자는 뿌리 하나 캐려고 몸을 굽히려 하지 않는다.
2001 CM 84:3.6 목축하는 남자들은 먹을거리를 자기 가축 떼에서 찾았으나, 이런 전원 시대 내내, 여자는 여전히 먹을 채소를 마련해야했다. 원시 시대의 남자는 흙을 멀리했는데;그것은 모두 너무 평화롭고, 모험하는 재미가 너무 없었다. 또한 당시에는 여자가 식물을 더 잘 키울 수 있다는 오래된 미신이 있었는데;저희가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도, 퇴보한 많은 부족 사이에서는, 남자가 고기를 요리하고, 여자는 채소를 요리하고 있으며, 오스트랄리아의 원시 부족들이 행진할 때, 여자는 결코 사냥감을 공격하지 않으며, 한편 남자는 뿌리 하나라도 뽑으려고 몸을 굽히지 않는다.
2007 URKA 84:3.6 목축을 하는 남자들이 자기 가축들을 식용으로 키웠지만, 이러한 목축 시대 전체 동안에 여자들은 여전히 채소를 양식으로 공급해야만 하였다. 원시 시대의 남자들은 흙을 멀리하였다; 흙은 전적으로 너무 평화롭고 너무 모험심이 없는 것이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여자들이 식물을 더 잘 키울 수 있다는 미신 개념이 있었는데; 그들이 낳아서 키우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오늘날에도 발달하지 못한 많은 부족들 사이에서는, 남자들이 고기를 요리하고, 여자들은 채소를 요리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시 부족들은 행진할 때 여자들이 결코 경기를 비난하지 않으며, 반면에 남자는 구부리고 앉아서 뿌리를 뽑지 않는다.
2025 84:3.6 목자는 먹을거리를 자기의 짐승 떼에서 찾았지만, 이 전원 시대를 통하여 내내, 여자는 아직도 먹을 채소를 마련해야 했다. 원시의 남자는 흙을 피했다. 흙은 너무나 평화롭고 모험하는 재미가 너무 없었다. 또한 여자가 채소를 더 잘 가꿀 수 있다는 오래 된 미신이 있었는데, 여자가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오늘날 뒤에 처진 많은 부족에서, 남자는 고기를, 여자는 채소를 요리하며, 오스트랄리아의 원시 부족들이 행진할 때 여자들은 결코 사냥거리를 잡지 않고, 한편 남자는 뿌리 하나 캐려고 몸을 굽히려 하지 않는다.
1955 84:3.7 Woman has always had to work; at least right up to modern times the female has been a real producer. Man has usually chosen the easier path, and this inequality has exis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the human race. Woman has always been the burden bearer, carrying the family property and tending the children, thus leaving the man’s hands free for fighting or hunting.
2000 84:3.7 여자는 언제나 일해야 했다. 적어도 바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자는 진정한 생산자였다. 남자는 보통 그보다 더 쉬운 길을 택했고, 이 불평등은 인류의 역사 전체를 통하여 존재하였다. 여자는 언제나 짐꾼이었고, 가족 재산을 나르고 아이들을 돌보았으며, 이렇게 싸움이나 사냥을 하도록 남자를 자유롭게 버려두었다.
2001 CM 84:3.7 여자는 항상 일을 해야 했는데;적어도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자들은 실제 생산자 역할을 해왔다. 남자는 대개 비교적 쉬운 길을 선택해왔으며, 이런 불평등은 인간 종족의 전체 역사상 늘 존재해왔다. 여자는 늘 무거운 짐을 졌는데, 가족의 재산을 책임지고 자녀를 돌봤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남자가 일에 매이지 않고 싸우거나 사냥할 수 있게 했다.
2007 URKA 84:3.7 여자들은 항상 일을 했어야만 하였다; 적어도 현대 시대까지 여자들은 실제적인 생산자 역할을 해왔다. 남자들은 대개 보다 쉬운 길을 선택해 왔으며, 이러한 불평등은 인간 종족의 전체 역사상 항상 존재해 왔다. 여자들은 항상 무거운 짐을 져왔는데, 가정의 재산을 획득하고 자녀들을 돌보는 일을 하였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남자들이 일에 매이지 않고 싸움을 하거나 사냥을 할 수 있게 하였다.
2025 84:3.7 여자는 언제나 일해야 했다. 적어도 바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자는 진정한 생산자였다. 남자는 보통 그보다 더 쉬운 길을 택했고, 이 불평등은 인류의 역사 전체를 통하여 존재하였다. 여자는 언제나 짐꾼이었고, 가족 재산을 나르고 아이들을 돌보았으며, 이렇게 싸움이나 사냥을 하도록 남자를 자유롭게 버려두었다.
1955 84:3.8 Woman’s first liberation came when man consented to till the soil, consented to do what had theretofore been regarded as woman’s work. It was a great step forward when male captives were no longer killed but were enslaved as agriculturists. This brought about the liberation of woman so that she could devote more time to homemaking and child culture.
2000 84:3.8 남자가 땅을 경작하는 데 찬성했을 때, 그때까지 여자의 일로 여겨 왔던 것을 하겠다고 찬성했을 때, 여자의 첫 해방이 왔다. 남자 포로가 이제 더 죽음을 당하지 않고 농사꾼 노예가 되었을 때가 크게 전진하는 발걸음이었다. 이것이 여자의 해방을 가져왔고, 그래서 여자는 가정을 이루고 아이들을 훈련하는 데 시간을 더 바칠 수 있었다.
2001 CM 84:3.8 여자가 처음으로 자유함을 누린 것은, 남자가 땅을 경작하기로 동의했을 때, 즉 당시까지는 여자의 일로 간주돼왔던 것을 하겠다고 동의했을 때 도래했다. 남자 포로를 더 이상 죽이지 않는 대신, 농사짓는 노예로 삼게 된 것은 엄청난 발전이었다. 이것이 여자를 해방시켜서 가사{家事}와 자녀 양육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게 했다.
2007 URKA 84:3.8 여자들의 첫 번째 해방은 남자들이 땅을 경작하는 일을 동의하였을 때, 그 당시까지는 여자들의 일로 간주되어 왔던 것을 하겠다고 동의하였을 때 도래하였다. 포로들 중에서 남자를 더 이상 죽이지 않고 그 대신에 농사를 짓는 노예로 삼게 된 것은 엄청난 발전이었다. 이것이 여자들을 해방시켜서 가정을 꾸리고 아이들을 키우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게 하였다.
2025 84:3.8 남자가 땅을 경작하는 데 찬성했을 때, 그때까지 여자의 일로 여겨 왔던 것을 하겠다고 찬성했을 때, 여자의 첫 해방이 왔다. 남자 포로가 이제 더 살해되지 않고 농사꾼 노예가 되었을 때가 크게 전진하는 발걸음이었다. 이것이 여자의 해방을 가져왔고, 그래서 여자는 가정을 이루고 아이들을 훈련하는 데 시간을 더 바칠 수 있었다.
1955 84:3.9 The provision of milk for the young led to earlier weaning of babies, hence to the bearing of more children by the mothers thus relieved of their sometimes temporary barrenness, while the use of cow’s milk and goat’s milk greatly reduced infant mortality. Before the herding stage of society, mothers used to nurse their babies until they were four and five years old.
2000 84:3.9 어린것들에게 우유를 마련한 것은 아기들이 더 일찍 젖을 떼게 만들었으며, 따라서 때때로 잠시 불임에서 해방된 어머니들이 아이를 더 낳도록 만들었다. 한편 송아지 젖과 염소 젖의 사용은 아기의 사망률을 크게 줄였다. 사회가 짐승을 기르던 단계 이전에는 어머니가 아기들이 네다섯 살이 될 때까지 젖을 먹이곤 하였다.
2001 CM 84:3.9 어린아이에게 우유를 공급함으로써, 유아에게서 더 일찍 젖을 뗄 수 있게 됐으며, 따라서 어머니는 때때로 임시적인 불임기간에 편히 쉼으로써 더 많은 자녀를 낳을 수 있게 된 동시에, 소와 염소의 젖을 이용함으로써 유아 사망률이 크게 줄었다. 목축하는 사회 단계 이전에는, 아이가 네 살 또는 다섯 살이 될 때까지 어머니가 젖을 먹이곤 했다.
2007 URKA 84:3.9 어린아이들에게 우유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일찍 유아들에 대한 젖을 뗄 수 있게 되었고, 그리하여 어머니들은 더 많은 자녀들을 낳을 수 있게 됨으로써 언젠가 덧없이 찾아오는 출산 능력을 잃어버리는 걱정으로부터 풀려난 동시에, 소와 염소의 젖을 이용함으로써 유아 사망률이 크게 줄어들었다. 목축을 하는 사회적 단계 이전에는, 자기 아이들이 네 살 또는 다섯 살이 될 때까지 어머니들이 돌보곤 하였다.
2025 84:3.9 어린것들에게 우유를 마련한 것은 아기들이 더 일찍 젖을 떼게 만들었으며, 따라서 때때로 잠시 불임에서 해방된 어머니들이 아이를 더 낳도록 만들었다. 한편 송아지 젖과 염소 젖의 사용은 아기의 사망률을 크게 줄였다. 사회가 짐승을 기르던 단계 이전에는 아기들이 네다섯 살이 될 때까지 어머니가 젖을 먹이곤 하였다.
1955 84:3.10 Decreasing primitive warfare greatly lessened the disparity between the division of labor based on sex. But women still had to do the real work while men did picket duty. No camp or village could be left unguarded day or night, but even this task was alleviated by the domestication of the dog. In general, the coming of agriculture has enhanced woman’s prestige and social standing; at least this was true up to the time man himself turned agriculturist. And as soon as man addressed himself to the tilling of the soil, there immediately ensued great improvement in methods of agriculture, extending on down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In hunting and war man had learned the value of organization, and he introduced these techniques into industry and later, when taking over much of woman’s work, greatly improved on her loose methods of labor.
2000 84:3.10 원시 전쟁의 감소는 남녀 구별에 근거를 둔 노동 분업 사이의 불균형을 크게 줄였다. 그러나 여자들은 아직도 진짜 일을 해야 되었고, 한편 남자들은 망보는 임무를 맡았다. 어떤 캠프나 마을도 낮이나 밤에 지키지 않은 채로 버려둘 수 없었지만, 이 과제조차 개를 길들여 가벼워졌다. 대체로 농업의 시작은 여자의 품위와 사회적 지위를 높였다. 적어도 이것은 바로 남자가 농부로 전향할 때까지 참말이었다. 그리고 남자가 땅을 가는 일에 손을 대자마자, 즉시 농사짓는 방법의 큰 개선이 뒤따랐고, 이것은 뒤잇는 세대들을 통해서 계속 연장되었다. 사냥과 전쟁이 있을 때 남자는 조직이 귀중함을 배웠고 이 기술을 산업에 들여왔으며, 나중에 여자가 하는 일의 많은 부분을 물려받았을 때 여자의 허술한 노동 방법을 크게 개량했다.
2001 CM 84:3.10 원시 시대의 전쟁이 크게 줄어들자, 성에 따라 구분된 노동 사이의 불균형이 감소됐다. 그러나 남자가 보초를 서는 동안, 여자는 여전히 실제적인 일을 할 수밖에 없었다. 모든 야영지 또는 마을은 밤이나 낮이나 보초를 세워야했으나, 이런 과제도 개를 길들임으로써 완화됐다. 일반적으로는, 농업이 이뤄짐으로써 여자의 위신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됐는데;적어도 이런 사실은, 바로 남자가 농사꾼으로 전환될 때까지 그랬다. 그리고 남자가 땅을 경작하는 일에 참여하는 즉시 농업 방식이 크게 개선됐고, 세대가 바뀌면서 더 많은 발전이 이뤄졌다. 남자는 전쟁과 사냥을 통해서 조직이 귀중함을 배웠고, 이런 기법을 산업에 적용했고, 그후에 여자의 일을 많이 떠맡게 되자, 그동안 허술했던 여자의 노동 방식이 많이 개선됐다.
2007 URKA 84:3.10 원시 시대의 전쟁이 크게 줄어듦으로써, 성에 따른 노동의 불균형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여자들은 남자들이 보초를 서는 동안 여전히 실제적인 일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모든 야영지 또는 마을은 밤이나 낮이나 보초를 세워야만 하였지만, 이러한 임무도 개를 길들임으로써 완화되었다. 일반적으로는, 농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여자들의 위신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적어도 남자들 자신이 농사꾼으로 전환될 때까지 진정으로 벌어진 일이었다. 그리고 남자들이 땅을 경작하는 일에 참여하는 즉시로 농업 기술이 곧 크게 개선되었고 세대가 바뀌면서 더욱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남자들은 전쟁과 사냥을 통하여 조직의 가치를 배웠고, 이러한 기법을 산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후에 여자들의 일을 많이 떠맡게 된 후에는 그 동안의 산만하였던 노동 체계가 크게 개선되었다.
2025 84:3.10 원시 전쟁의 감소는 남녀 구별에 근거를 둔 노동 분업 사이의 불균형을 크게 줄였다. 그러나 여자들은 아직도 진짜 일을 해야 되었고, 한편 남자들은 망보는 임무를 맡았다. 어떤 캠프나 마을도 낮이나 밤에 지키지 않은 채로 버려 둘 수 없었지만, 이 과제조차 개를 길들여 가벼워졌다. 대체로 농업의 시작은 여자의 품위와 사회적 지위를 높였다. 적어도 이것은 바로 남자가 농부로 전향할 때까지 참말이었다. 그리고 남자가 땅을 가는 일에 손을 대자마자, 즉시 농사짓는 방법의 큰 개선이 뒤따랐고, 이것은 뒤잇는 세대들을 통해서 계속 연장되었다. 사냥과 전쟁이 있을 때 남자는 조직이 귀중함을 배웠고 이 기술을 산업에 들여왔으며, 나중에 여자가 하는 일의 많은 부분을 물려받았을 때 여자의 허술한 노동 방법을 크게 개량했다.
4. WOMAN’S STATUS IN EARLY SOCIETY
4. 옛 사회에서 여자의 지위
4. 초기 사회에서 여자의 지위
4. 초기 사회 속에서의 여자들의 지위
4. 옛 사회에서 여자의 지위
1955 84:4.1 Generally speaking, during any age woman’s status is a fair criterion of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marriage as a social institution, while the progress of marriage itself is a reasonably accurate gauge registering the advances of human civilization.
2000 84:4.1 일반적으로 말해서, 어떤 시대에도 여자의 지위는, 하나의 사회 제도로서 결혼이 얼마나 진화하여 진보했는가를 재는 공평한 평가 기준이다. 한편 결혼 자체의 진보는 인간의 문명이 얼마나 진보했는가를 기록하는 상당히 정확한 척도이다.
2001 CM 84:4.1 일반적으로 말해서, 어느 시대든지 여자의 지위는, 하나의 사회제도로서 결혼이 얼마나 진화하여 진보했는지를 재는 공평한 척도이며, 한편 결혼 자체의 진보는, 인간의 문명이 얼마나 향상됐는지를 가리키는, 상당히 정확한 계량기다.
2007 URKA 84:4.1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어느 시대 동안에든지 여자들의 지위는 결혼이 사회적 제도로서 진화 발전하는 데 대한 적정한 기준인 반면, 결혼 자체의 발전은 인간 문명 진보 정도를 가리키는 상당히 정확한 계량기이다.
2025 84:4.1 일반적으로 말해서, 어떤 시대에도 여자의 지위는, 하나의 사회 제도로서 결혼이 얼마나 진화로 진보했는가를 재는 공평한 평가 기준이다. 한편 결혼 자체의 진보는 인간의 문명이 얼마나 진보했는가를 기록하는 상당히 정확한 척도이다.
1955 84:4.2 Woman’s status has always been a social paradox; she has always been a shrewd manager of men; she has always capitalized man’s stronger sex urge for her own interests and to her own advancement. By trading subtly upon her sex charms, she has often been able to exercise dominant power over man, even when held by him in abject slavery.
2000 84:4.2 여자의 지위는 언제나 사회의 역설(逆說)이었다. 여자는 언제나 남자를 민첩하게 관리하는 사람이었다. 여자는 언제나 남자의 더 강한 성욕을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자신의 승진을 위하여 이용했다. 남자에게 비참한 노예로 붙들려 있을 때조차, 여자는 자기의 성적 매력을 교묘하게 팔아서, 흔히 남자를 지배하는 힘을 행사할 수 있었다.
2001 CM 84:4.2 여자의 지위는 언제나 사회의 모순이었으며;여자는 늘 남자를 약삭빠르게 조종했으며;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 항상 남자의 왕성한 성욕을 이용했다. 여자는 자신의 성적 매력으로 미묘하게 거래함으로써 남자를 지배하는 능력을 종종 발휘했는데, 심지어 남자에게 비천한 노예로 붙들려있을 때에도 그랬다.
2007 URKA 84:4.2 여인들의 지위는 언제나 사회적인 모순이었다; 여자는 항상 남자들을 약삭빠르게 조종해 왔으며;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그리고 자기 자신의 발전을 위해 항상 남자의 강력한 성적 충동을 이용해 왔다. 여자는 자신의 성적 매력으로 미묘하게 거래함으로써, 남자를 지배하는 힘을 종종 발휘해 왔는데, 심지어는 비천한 노예로 그에게 소속된 경우에도 그러하였다.
2025 84:4.2 여자의 지위는 언제나 사회의 역설(逆說)이었다. 여자는 언제나 남자를 민첩하게 관리하는 사람이었다. 여자는 언제나 남자의 더 강한 성욕을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자신의 승진을 위하여 이용했다. 남자에게 비참한 노예로 붙들려 있을 때조차, 여자는 자기의 성적 매력을 교묘하게 이용해서, 흔히 남자를 지배하는 힘을 행사할 수 있었다.
1955 84:4.3 Early woman was not to man a friend, sweetheart, lover, and partner but rather a piece of property, a servant or slave and, later on, an economic partner, plaything, and childbearer. Nonetheless, proper and satisfactory sex relations have always involved the element of choice and co-operation by woman, and this has always given intelligent women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ir immediate and personal standing,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 as a sex. But man’s distrust and suspicion were not helped by the fact that women were all along compelled to resort to shrewdness in the effort to alleviate their bondage.
2000 84:4.3 옛날의 여자는 남자에게 친구나 연인, 애인이나 협동자가 아니라, 오히려 한 덩이의 재산, 하녀나 종이었고, 나중에는 경제적 협동자요, 노리개요, 아이 낳는 사람이었다. 그런데도 적당하고 흐뭇한 성관계에는 반드시 여자가 선택하고 협동하는 요소가 들어갔고, 이것은 언제나 영리한 여자들에게, 여성으로서 그들의 사회 지위에 상관 없이,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지위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들의 속박을 가볍게 하려는 노력으로, 여자들이 줄곧 기민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로 인하여, 남자의 불신과 의심은 줄어들지 않았다.
2001 CM 84:4.3 일찍이 여자는 남자에게, 친구나 연인이나 동업자라기보다는 재산 목록의 일부 곧 종 또는 노예였고, 나중에는 경제적 동업자와 노리개 그리고 아이 낳는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적절하고 만족스런 성관계에는 반드시 여자가 선택하고 협동하는 요소가 내포됐고, 이것 때문에 총명한 여자들은 언제나, 여성으로서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상관없이, 직접 얻은 개인적인 지위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여자가 자신의 속박된 상태를 완화시키려는 노력으로 줄곧 약삭빠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 때문에, 남자의 불신과 의심은 완화되지 못했다.
2007 URKA 84:4.3 초기 시대의 여자는 남자에게 친구와 연인 그리고 동반자라기보다는 재산 목록의 일부, 종 또는 노예였으며, 나중에는 경제적인 동반자와 노리개 그리고 아이를 낳는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고 만족스러운 성적 관계는 여자에 의한 협동과 선택이라는 요소를 항상 필요로 하였으며, 이것 때문에 총명한 여자들은 여성으로서의 자기들의 사회적 지위에 상관없이 자신의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지위에 언제나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여자들이 자신들의 속박을 완화하려는 노력에서, 기민함에 계속 의존하도록 내내 강제되었다는 사실로 인하여, 남자들의 불신과 의심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2025 84:4.3 옛날의 여자는 남자에게 친구나 연인, 애인이나 협동자가 아니라, 오히려 한 덩이의 재산, 하녀나 종이었고, 나중에는 경제적 협동자요, 노리개요, 아이 낳는 사람이었다. 그런데도 적당하고 흐뭇한 성관계에는 반드시 여자가 선택하고 협동하는 요소가 들어갔고, 이것은 언제나 영리한 여자들에게, 여성으로서 그들의 사회 지위에 상관없이,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지위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들의 속박을 가볍게 하려는 노력으로, 여자들이 줄곧 기민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로 인하여, 남자의 불신과 의심은 줄어들지 않았다.
1955 84:4.4 The sexes have had grea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each other. Man found it hard to understand woman, regarding her with a strange mixture of ignorant mistrust and fearful fascination, if not with suspicion and contempt. Many tribal and racial traditions relegate trouble to Eve, Pandora, or some other representative of womankind. These narratives were always distorted so as to make it appear that the woman brought evil upon man; and all this indicates the onetime universal distrust of woman. Among the reasons cited in support of a celibate priesthood, the chief was the baseness of woman. The fact that most supposed witches were women did not improve the olden reputation of the sex.
2000 84:4.4 남녀는 서로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남자는 여자를 이해하기 어려움을 발견했고, 의심하고 경멸하지 않더라도, 무지로 인한 불신과 두려운 환상이 야릇하게 섞인 눈으로 여자를 보았다. 부족과 종족의 많은 전통은 고난(苦難)을 이브나 판도라, 또는 어떤 다른 여성 대표의 탓으로 돌렸다. 이런 이야기들은 언제나 왜곡되어서 여자가 남자에게 악을 가져온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 모두가 한때 여자를 보편적으로 불신했다는 것을 가리킨다. 독신 사제직을 지지하면서 늘어놓은 여러 이유 중에서 으뜸가는 것은 여자의 천함이었다. 마법사라고 생각된 대부분의 사람이 여자라는 사실은 여성의 오래 된 평판을 더 좋게 만들지 않았다.
2001 CM 84:4.4 남녀는 서로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남자는 여자를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여자를 의심과 혐오로 대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지로 인한 불신과 두려움에 홀린 상태가 야릇하게 섞인 눈으로 여자를 바라봤다. 부족과 종족의 여러 전통은, 재난을 이브나 판도라 또는 어떤 다른 여성 대표자 탓으로 돌렸다. 이런 이야기들은 항상 왜곡되어, 여자가 남자에게 악을 가져온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으며;이 모든 것은 여자를 한때 보편적으로 불신했음을 가리킨다. 사제계층이 독신주의를 지지하면서 언급한 여러 이유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여자가 천하다는 것이었다. 무당으로 생각되는 대부분의 사람이 여자였다는 사실이, 여성에 대한 전통적 평판을 개선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2007 URKA 84:4.4 성은 서로를 납득하는 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주었다. 남자는 여자를 납득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의심과 경멸로 대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례한 불신과 심한 매혹이 이상하게 혼합된 존재로 간주하였다. 부족과 종족의 많은 전통들이 고난을 이브, 판도라, 또는 어떤 다른 대표적인 여성들에 관련지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여자가 남자에게 죄악을 범하게 하였다는 사실이 명백하게 되도록 항상 왜곡되었다; 이 모든 것은 여자를 한 때 보편적으로 불신하였던 적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사제들이 독신주의를 지지한 이유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여자를 천하게 여기는 것이었다. 가장 소문난 무당들이 여자들이었다는 사실이 여성에 대한 전통적인 평판을 개선시키지 않았다.
2025 84:4.4 남녀는 서로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남자는 여자를 이해하기 어려움을 발견했고, 의심하고 경멸하지 않더라도, 무지로 인한 불신과 두려운 환상이 야릇하게 섞인 눈으로 여자를 보았다. 부족과 종족의 많은 전통은 고난(苦難)을 이브나 판도라, 또는 어떤 다른 여성 대표의 탓으로 돌렸다. 이런 이야기들은 언제나 왜곡되어서 여자가 남자에게 악을 가져온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4]. 이 모두가 한때 여자를 보편적으로 불신했다는 것을 가리킨다. 독신 사제직을 지지하면서 늘어놓은 여러 이유 중에서 으뜸가는 것은 여자의 천함이었다. 마법사라고 생각된 대부분의 사람이 여자라는 사실은 여성의 오래 된 평판을 더 좋게 만들지 않았다.
1955 84:4.5 Men have long regarded women as peculiar, even abnormal. They have even believed that women did not have souls; therefore were they denied names. During early times there existed great fear of the first sex relation with a woman; hence it became the custom for a priest to have initial intercourse with a virgin. Even a woman’s shadow was thought to be dangerous.
2000 84:4.5 남자는 오랫동안 여자가 특이하다, 아니 비정상이라고 여겼다. 남자는 여자가 혼이 없다고 믿기도 하였다. 따라서 여자들에게 이름을 주지 않았다. 옛날에는 여자와 처음 성관계 가지는 것을 크게 두려워했다. 따라서 사제가 처녀와 첫 성교를 가지는 것이 관습이 되었다. 여자의 그림자조차 위험하다고 생각되었다.
2001 CM 84:4.5 남자는 오랫동안 여자를 기묘한 존재로, 심지어 비정상 존재로 간주했다. 여자에게는 혼이 없다고 믿기까지 했으며;따라서 이름을 지어주지 않았다. 먼 옛날에는 여자와 처음 성관계 맺는 것을 몹시 두려워했으며;그리하여 처녀로 하여금 사제와 첫 성교를 갖도록 하는 것이 관습이 됐다. 심지어 여자의 그림자가 위험스런 것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2007 URKA 84:4.5 남자들은 오랫동안 여자들을 기묘한 존재로, 심지어는 비정상적인 존재로 간주하였다. 그들은 여자들에게는 혼이 없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들에게 이름을 붙여주지 않았다. 초기 시대 동안에는 여자와의 첫 번째 성 관계에 대한 큰 두려움이 존재했다; 그리하여 처녀로 하여금 사제(司祭)와 첫 번째 성교를 갖도록 하는 것이 관습이 되었다. 심지어는 여자의 그림자가 위험스러운 것으로 생각되기도 하였다.
2025 84:4.5 남자는 오랫동안 여자가 특이하다, 아니 비정상이라고 여겼다. 남자는 여자가 혼이 없다고 믿기도 하였다. 따라서 여자들에게 이름을 주지 않았다. 옛날에는 여자와 처음 성관계 가지는 것을 크게 두려워했다. 따라서 사제가 처녀와 첫 성교를 가지는 것이 관습이 되었다. 여자의 그림자조차 위험하다고 생각되었다.
1955 84:4.6 Childbearing was once generally looked upon as rendering a woman dangerous and unclean. And many tribal mores decreed that a mother must undergo extensive purification ceremonies subsequent to the birth of a child. Except among those groups where the husband participated in the lying-in, the expectant mother was shunned, left alone. The ancients even avoided having a child born in the house. Finally, the old women were permitted to attend the mother during labor, and this practice gave origin to the profession of midwifery. During labor, scores of foolish things were said and done in an effort to facilitate delivery. It was the custom to sprinkle the newborn with holy water to prevent ghost interference.
2000 84:4.6 임신은 한때 일반적으로 여자를 위험하고 더럽게 만드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여러 부족의 관습이, 아이가 태어난 뒤에 어머니가 긴 정화(淨化) 의식을 거쳐야 한다고 선포했다. 해산하는 자리에 남편이 참여한 집단을 제외하고, 사람들은 출산을 앞둔 어머니를 피하고 혼자 버려두었다. 옛날 사람들은 집안에서 아이를 낳게 하는 것조차 피했다. 마침내, 늙은 여자들이 진통 중에 어머니를 보살피는 것이 허락되었고, 이 관습이 산파라는 직업을 낳았다. 분만을 쉽게 하려는 노력으로, 출산 중에 몇십 가지 어리석은 것을 말하고 행하였다. 귀신의 방해를 막으려고 갓난아이에게 거룩한 물을 뿌리는 것이 관습이었다.
2001 CM 84:4.6 해산{解産}이 여자를 위험스럽고 부정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한때 일반적으로 퍼졌다. 그리고 여러 부족의 사회관행은, 아이를 낳은 어머니가 상당한 기간 정결 예식에 참여하도록 규정했다. 해산하는 현장에 남편이 참여하는 집단들 이외의 경우에는, 아이를 낳게 된 여자를 회피했고 따로 혼자 있게 했다. 고대인은 집안에서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침내, 해산하는 동안 할머니들이 산모를 도울 수 있도록 허용됐으며;이런 풍습에 따라서 전문 산파술{産婆術}이 기원됐다. 분만을 돕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산하는 동안에 몇 십 가지 미련스런 일들을 말하고 행했다. 새로 태어난 아기에게 유령이 간섭하는 것을 막으려고 성수{聖水}를 뿌리는 것이 관습이었다.
2007 URKA 84:4.6 아이를 낳는 일이 여자를 위험스럽고 부정한 존재로 만든다는 생각이 한 때 일반적으로 퍼져 있었다. 그리고 많은 부족의 사회관례들은 아이를 낳은 어머니는 상당한 기간 동안 정결 예식에 참여하도록 규정하였다. 해산하는 현장에 남편이 참여하도록 하는 집단들 이외의 경우에는, 아이를 낳게 된 여자를 회피하였고 따로 혼자 있게 하였다. 고대의 사람들은 집안에서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침내는, 해산하는 기간 동안 할머니들이 산모를 도울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이러한 실천 관행에 의해 전문적인 산파술이 기원되었다. 해산하는 동안에는 분만을 돕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련스러운 일들을 말하고 행하였다. 새로 태어난 아기에게는 귀신의 간섭을 막기 위해 성수(聖水)를 뿌리는 것이 관습이었다.
2025 84:4.6 임신은 한때 일반적으로 여자를 위험하고 더럽게 만드는 것으로 보았다[5]. 그리고 여러 부족의 관습이, 아이가 태어난 뒤에 어머니가 긴 정화(淨化) 의식을 거쳐야 한다고 선포했다. 해산하는 자리에 남편이 참여한 집단을 제외하고, 사람들은 출산을 앞둔 어머니를 피하고 혼자 버려두었다. 옛날 사람들은 집안에서 아이를 낳게 하는 것조차 피했다. 마침내, 늙은 여자들이 진통 중에 어머니를 보살피는 것이 허락되었고, 이 관습이 산파라는 직업을 낳았다. 분만을 쉽게 하려는 노력으로, 출산 중에 몇십 가지 어리석은 것을 말하고 행하였다. 귀신의 방해를 막으려고 갓난아이에게 거룩한 물을 뿌리는 것이 관습이었다.
1955 84:4.7 Among the unmixed tribes, childbirth was comparatively easy, occupying only two or three hours; it is seldom so easy among the mixed races. If a woman died in childbirth, especially during the delivery of twins, she was believed to have been guilty of spirit adultery. Later on, the higher tribes looked upon death in childbirth as the will of heaven; such mothers were regarded as having perished in a noble cause.
2000 84:4.7 혼합되지 않은 부족들 사이에서 출산은 비교적 쉬웠고, 겨우 두세 시간 걸렸다. 혼합된 민족들 사이에서는 그렇게 쉬운 일이 드물다. 여자가 출산할 때 죽으면, 특히 쌍둥이를 낳을 때, 그 여자는 영과 간통한 죄가 있다고 믿었다. 나중에, 상급 부족들은 출산할 때 죽는 것을 하늘의 뜻으로 보았다. 그러한 어머니들은 고귀한 이유로 죽었다고 간주되었다.
2001 CM 84:4.7 피가 섞이지 않은 부족들 가운데서는 해산이 비교적 수월해서, 두 세 시간이면 충분했으며;피가 섞인 종족들 사이에서는 그렇게 쉬운 경우가 드물었다. 어떤 여자가 출산 중에 죽으면, 특히 쌍둥이를 낳다가 그렇게 되면, 그 여자가 영적 간음죄를 범했다고 믿었다. 후대에 이르러서, 비교적 발달된 부족들은, 아이를 낳다가 죽은 경우를 하늘의 뜻으로 간주했으며;그런 산모는 숭고한 목적 때문에 죽은 것으로 간주됐다.
2007 URKA 84:4.7 피가 섞이지 않은 부족들 사이에서는, 아이를 낳는 일이 비교적 수월하여 두 세 시간이면 충분하였다; 피가 섞인 종족들 사이에서는 그렇게 쉬운 경우가 드물었다. 만약에 여자가 아이를 낳다가 죽으면, 특별히 쌍둥이를 낳다가 그렇게 되면, 그 여자가 영적인 간음의 죄를 범했던 것으로 믿었다. 후대에 이르러서, 비교적 발달된 부족들은 아이를 낳다가 죽은 경우를 하늘의 뜻으로 간주하였고; 그러한 산모들은 숭고한 목적 때문에 죽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2025 84:4.7 혼합되지 않은 부족들 사이에서 출산은 비교적 쉬웠고, 겨우 두세 시간 걸렸다. 혼합된 민족들 사이에서는 그렇게 쉬운 일이 드물다. 여자가 출산할 때 죽으면, 특히 쌍둥이를 낳을 때, 그 여자는 영과 간통한 죄가 있다고 믿었다. 나중에, 상급 부족들은 출산할 때 죽는 것을 하늘의 뜻으로 보았다. 그러한 어머니들은 고귀한 이유로 죽었다고 간주되었다.
1955 84:4.8 The so-called modesty of women respecting their clothing and the exposure of the person grew out of the deadly fear of being observed at the time of a menstrual period. To be thus detected was a grievous sin, the violation of a taboo. Under the mores of olden times, every woman, from adolescence to the end of the childbearing period, was subjected to complete family and social quarantine one full week each month. Everything she might touch, sit upon, or lie upon was “defiled.” It was for long the custom to brutally beat a girl after each monthly period in an effort to drive the evil spirit out of her body. But when a woman passed beyond the childbearing age, she was usually treated more considerately, being accorded more rights and privileges. In view of all this it was not strange that women were looked down upon. Even the Greeks held the menstruating woman as one of the three great causes of defilement, the other two being pork and garlic.
2000 84:4.8 여자의 옷과 몸을 드러내는 것에 관한, 이른바 여자의 정숙(貞淑)은 월경이 있을 때 눈에 뜨일까 하는 지독한 두려움에서 생겨났다. 그렇게 들키는 것은 중대한 죄였고, 금기를 어기는 것이었다. 옛날의 관습 밑에서, 사춘기로부터 출산기의 끝까지, 모든 여자는 한 달에 한 주를 꼭 채워, 완전히 가족과 사회로부터 격리되었다. 여자가 만지거나 앉거나 베고 누울 만한 모든 것은 “더러워졌다.” 달마다 월경이 끝난 뒤에 악령을 몸에서 몰아내려는 노력으로 소녀를 무자비하게 때리는 것이 오랫동안 관습이었다. 그러나 한 여자가 출산기를 지났을 때, 그 여자는 보통 더 배려해 주는 대우를 받았고, 더 많은 권리와 특권을 받았다. 이 모든 것을 보건대, 여자들이 업신여김을 받은 것은 이상하지 않다. 그리스인조차 월경하는 여자를 몸을 더럽히는 3대 원인의 하나로 보았고, 나머지 둘은 돼지고기와 마늘이었다.
2001 CM 84:4.8 신체 노출과 의복에 관계되는, 소위 여자의 정숙함은, 월경 기간에 사람들에게 목격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 것에서 연유됐다. 그렇게 발견되는 것은 중대한 죄 곧 금기 위반이었다. 옛 사회관행 하에서, 사춘기로부터 출산 가능 기간이 끝나는 나이까지의 모든 여자는, 매달 1주일씩 가족과 공동체로부터 철저히 격리돼있어야 했다. 그 여자가 만지거나 앉거나 누웠던 모든 것을, “부정{不淨}”한 것으로 여겼다. 매달 그 기간이 끝난 소녀는, 그 몸에서 악령을 추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심한 매를 맞는 것이 오랫동안의 관습이었다. 그러나 출산할 수 있는 연령이 지난 여자의 경우에는, 대개 상당한 대우를 받았는데, 더 많은 특권과 권리가 주어졌다. 이런 모든 관점에서 본다면, 여자가 경멸의 대상이 된 것은 당연했다. 심지어 그리스인도 월경 기간의 여자를 삼대 오염원{汚染源} 가운데 하나로 간주했는데, 다른 두 가지는 돼지와 마늘이었다.
2007 URKA 84:4.8 신체를 드러내는 것과 의복에 관계되는 소위 여인들의 정숙함은, 월경 기간 동안에 사람들에게 발견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 것에서 연유되었다. 그것이 발견되는 것은 중대한 죄, 금기에 대한 위반이었다. 옛날의 사회관례 밑에서는, 사춘기로부터 출산 가능한 기간이 끝나는 나이까지의 모든 여자들은 매 달마다 1주일씩 가족들과 공동체로부터 충분히 격리되어 있어야만 하였다. 그 기간에 있는 여자가 만지거나 앉거나 또는 누웠던 모든 것들은 “부정(不淨)”한 것으로 여겨졌다. 매 달마다 그 기간이 끝난 소녀들은 그녀의 몸에서 악령을 추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심한 매를 맞는 것이 오랫동안의 관습이었다. 그러나 출산할 수 있는 연령이 지난 여인의 경우에는, 대개 상당한 대우를 받았는데, 보다 많은 특권과 권리가 주어졌다. 이러한 모든 관점에서 본다면 여자들이 경멸의 대상이 된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심지어 그리스인들도 월경 기간에 있는 여자를 세 가지 큰 오염원인들 중의 하나로 간주하였는데, 다른 두 가지는 돼지와 마늘이었다.
2025 84:4.8 여자의 옷과 몸을 드러내는 것에 관한, 이른바 여자의 정숙(貞淑)은 월경이 있을 때 눈에 뜨일까 하는 지독한 두려움에서 생겨났다. 그렇게 들키는 것은 중대한 죄였고, 금기를 어기는 것이었다. 옛날의 관습 밑에서, 사춘기에서 출산기의 끝까지, 모든 여자는 한 달에 한 주를 꼭 채워, 완전히 가족과 사회로부터 격리되었다[6]. 여자가 만지거나 앉거나 베고 누울 만한 모든 것은 “더러워졌다
[7].” 달마다 월경이 끝난 뒤에 악령을 몸에서 몰아내려는 노력으로 소녀를 무자비하게 때리는 것이 오랫동안 관습이었다. 그러나 한 여자가 출산기를 지났을 때, 그 여자는 보통 더 배려하는 대우를 받았고, 더 많은 권리와 특권을 받았다. 이 모든 것을 보건대, 여자들이 업신여김을 받은 것은 이상하지 않다. 그리스인조차 월경하는 여자를 몸을 더럽히는 3대 원인의 하나로 보았고, 나머지 둘은 돼지고기와 마늘이었다.
1955 84:4.9 However foolish these olden notions were, they did some good since they gave overworked females, at least when young, one week each month for welcome rest and profitable meditation. Thus could they sharpen their wits for dealing with their male associates the rest of the time. This quarantine of women also protected men from over-sex indulgence, thereby indirectly contributing to the restriction of population and to the enhancement of self-control.
2000 84:4.9 아무리 어리석었어도 이 옛 개념들은 좋은 일을 했는데, 그런 개념들이 과로한 여자들에게, 적어도 젊었을 때, 반가운 휴식과 유익한 명상 시간을 가지도록 한 달에 한 주를 주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들은 나머지 시간에 남자 동료들을 다룰 지혜를 익힐 수 있었다. 여자를 이렇게 격리한 것은 또한 남자들을 지나친 성욕의 탐닉으로부터 보호했고, 이렇게 함으로 인구를 제한하고 자제를 향상하는 데 간접으로 이바지했다.
2001 CM 84:4.9 아무리 어리석었을지라도, 이런 고대의 생각은, 과중한 일을 부과했던 여자에게 어느 정도 좋은 일을 했는데, 적어도 나이 어렸을 때에는 매달 1주일씩 휴식을 즐기면서 유익한 묵상에 잠길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휴식 시간에 자신의 남자 동료들을 잘 다룰 수 있는 예리한 지혜를 익힐 수 있었다. 여자의 이런 격리 기간은, 남자로 하여금 과도한 성적 탐닉에 빠지지 않게 했고, 그리하여 인구 증가 억제와 자아-통제 증진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2007 URKA 84:4.9 이러한 옛날 통념들이 아무리 어리석은 것이었어도, 그들은 과중한 일을 부과하였던 여자들에게 어느 정도 좋은 일을 하였는데, 적어도 나이가 어렸을 때에는 매 달 1주일씩 휴식을 즐기면서 유익한 명상에 잠길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나머지 시간에 자신들의 남자 연관-동료들을 다루기 위한 자신들의 재치를 날카롭게 만들 수 있었다. 이러한 여인들의 격리 기간은 남자들로 하여금 과도한 성적 탐닉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였으며, 그리하여 간접적으로는 인구 증가 억제와 자아-통제의 증진에 기여하였다.
2025 84:4.9 아무리 어리석었어도 이 옛 개념들은 좋은 일을 했는데, 그런 개념들이 과로한 여인들에게, 적어도 젊었을 때, 반가운 휴식과 유익한 명상 시간을 가지도록 한 달에 한 주를 주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들은 나머지 시간에 남자 동료들을 다룰 지혜를 익힐 수 있었다. 여자를 이렇게 격리한 것은 또한 남자들을 지나친 성욕의 탐닉으로부터 보호했고, 이렇게 함으로 인구를 제한하고 자제를 향상하는 데 간접으로 기여했다.
1955 84:4.10 A great advance was made when a man was denied the right to kill his wife at will. Likewise, it was a forward step when a woman could own the wedding gifts. Later, she gained the legal right to own, control, and even dispose of property, but she was long deprived of the right to hold office in either church or state. Woman has always been treated more or less as property, right up to and in the twentieth century after Christ. She has not yet gained world-wide freedom from seclusion under man’s control. Even among advanced peoples, man’s attempt to protect woman has always been a tacit assertion of superiority.
2000 84:4.10 남자가 마음대로 제 아내를 죽일 권리를 빼앗겼을 때 큰 진보가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여자가 결혼 선물을 소유할 수 있을 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갔다. 후일에는 여자가 재산을 소유하고 통제하고, 처분까지 하는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여자는 교회에서나 국가에서 공직(公職)을 가질 권리를 오랫동안 빼앗겼다. 여자는 그리스도 이후 20세기까지, 그리고 이 세기에, 언제나 얼마큼 재산으로 취급되었다. 여자는 남자의 지배 밑에서 은둔하던 상태로부터 세계적으로 자유를 널리 얻지 못했다. 진보된 민족들 사이에서도, 남자가 여자를 보호하려는 시도는 언제나 남자가 우수함을 말없이 주장하는 것이었다.
2001 CM 84:4.10 남자가 아내를 마음대로 죽이지 못하게 됐을 때 큰 진보가 이뤄졌다. 마찬가지로, 여자가 결혼 예물을 간직할 수 있게 되자 한 단계 더 진보했다. 나중에는, 재산을 소유하고 통제하고 처분 할 수 있는 법적 권리도 여자가 획득했지만, 교회 또는 관청에서 직책을 얻을 수 있는 권리는 오랫동안 허용되지 않았다. 여자는 기원후 20세기 이전은 물론 20세기에도, 어느 정도는 항상 재산으로 취급됐다. 여자는, 남자의 통제 아래 차단된 상태로부터 세계적으로 해방됨을, 아직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진보된 민족들 가운데서도, 남자가 여자를 보호하려는 시도는, 언제나 남자가 우월함을 넌지시 주장하는 것이었다.
2007 URKA 84:4.10 남자가 자기 아내를 뜻대로 죽이지 못하게 되었을 때 큰 진보가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여자가 결혼 예물을 간직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한 단계 더 진보되었다. 나중에는 여자가 재산을 소유하고 통제하며 처분 할 수 있는 법적 권리도 획득하게 되었지만, 교회에서 또는 관청에서 직책을 얻을 수 있는 권리는 오랫동안 허용되지 않았다. 여자들은 그리스도 이후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20세기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는 항상 재산으로 취급되어 왔다. 여자들은 아직도 남자들의 통제 아래에 틀어박힌 상태로부터의 자유를 전(全)세계적으로 획득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심지어는 상당히 진보된 민족들 사이에서도, 여자를 보호하려는 남자의 의도가 자기들의 우월성을 항상 암시적으로 주장해 왔다.
2025 84:4.10 남자가 마음대로 제 아내를 죽일 권리를 빼앗겼을 때 큰 진보가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여자가 결혼 선물을 소유할 수 있을 때 그것은 한 걸음 전진이었다. 후일에는 여자가 재산을 소유하고 통제하고, 처분까지 하는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여자는 교회에서나 국가에서 공직(公職)을 가질 권리를 오랫동안 빼앗겼다. 여자는 그리스도 이후 20세기까지, 그리고 이 세기에, 언제나 얼마큼 재산으로 취급되었다. 여자는 남자의 지배 밑에서 은둔하던 상태로부터 세계적으로 자유를 널리 얻지 못했다. 진보된 민족들 사이에서도, 남자가 여자를 보호하려는 시도는 언제나 남자가 우수함을 말없이 주장하는 것이었다.
1955 84:4.11 But primitive women did not pity themselves as their more recently liberated sisters are wont to do. They were, after all, fairly happy and contented; they did not dare to envision a better or different mode of existence.
2000 84:4.11 그러나 원시의 여자들은 최근에 자유롭게 된 자매들이 곧잘 하듯이, 자신을 불쌍히 여기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상당히 행복하고 만족하였다. 더 낫거나 다른 형태의 존재를 감히 상상하지 못했다.
2001 CM 84:4.11 그러나 원시 시대 여자는, 아주 최근에 자유롭게 된 자매들이 곧잘 하듯이 자신을 불쌍히 여기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상당히 행복하고 만족했으며;더 낫거나 전혀 다른 실존 방식을 감히 상상하지도 않았다.
2007 URKA 84:4.11 그러나 원시 시대의 여인들은, 아주 최근에 해방된 여자들이 그렇게 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들을 불쌍하게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상당히 행복하였고 만족하였다; 보다 나은 또는 전혀 다른 생활양식을 감히 상상하지 않았다.
2025 84:4.11 그러나 원시의 여자들은 최근에 자유롭게 된 자매들이 곧잘 하듯, 자신을 불쌍히 여기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상당히 행복하고 만족하였다. 더 낫거나 다른 형태의 존재를 감히 상상하지 못했다.
5. WOMAN UNDER THE DEVELOPING MORES
5. 발전하는 도덕 관습 하에서 여자의 지위
5. 발전하는 사회관행 하에서 여자
5. 발전하는 사회관례 밑에서의 여자
5. 발전하는 도덕 관습 하에서 여자의 지위
1955 84:5.1 In self-perpetuation woman is man’s equal, but in the partnership of self-maintenance she labors at a decided disadvantage, and this handicap of enforced maternity can only be compensated by the enlightened mores of advancing civilization and by man’s increasing sense of acquired fairness.
2000 84:5.1 자아를 존속시키는 일에 여자는 남자와 동등하지만, 자아를 유지하는 협동 관계에서 여자는 뚜렷이 불리하게 수고한다. 강제된 이 모성(母性)의 장애는 오로지, 진보하는 문명의 깨우친 관습으로, 그리고 남자가 늘어나는 공평 감각을 얻음으로써 겨우 보상할 수 있다.
2001 CM 84:5.1 자아를-존속시키는 면에서 여자는 남자와 동등하지만, 자아를-유지하기 위한 동반자 관계 면에서는, 여자가 분명히 불리한 일을 하고 있으며, 강제된 모성으로 인한 이런 장애는, 진보되는 문명의 계몽된 사회관행으로 보정{補整}되고, 공평성에 대한 감각을 남자가 더욱 획득함으로써 보정될 수밖에 없다.
2007 URKA 84:5.1 자아-영속에서는 여자는 남자와 동일하지만, 자아-유지를 위한 동반자 관계에서는 여자들이 분명하게 불리한 일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강제적인 불리한 조건은 진보되는 문명의 깨우친 사회관례에 의해서 그리고 공정성 인정에 대한 남자들의 증가되는 감각으로 보상될 수밖에 없다.
2025 84:5.1 자아를 존속시키는 일에 여자는 남자와 동등하지만, 자아를 유지하는 협동 관계에서 여자는 뚜렷이 불리하게 수고한다. 강제된 이 모성(母性)의 장애는 오로지, 진보하는 문명의 깨우친 관습으로, 그리고 남자가 늘어나는 공평 감각을 얻음으로써 겨우 보상할 수 있다.
1955 84:5.2 As society evolved, the sex standards rose higher among women because they suffered more from the consequences of the transgression of the sex mores. Man’s sex standards are only tardily improving as a result of the sheer sense of that fairness which civilization demands. Nature knows nothing of fairness—makes woman alone suffer the pangs of childbirth.
2000 84:5.2 사회가 진화함에 따라서 성의 기준은 여자들 사이에서 더 높아졌는데, 이는 성 관습을 위반한 결과로부터 그들이 더 고통을 받기 때문이었다. 남자의 성 기준은 문명이 요구하는 그 순전한 공평 감각의 결과로서 겨우 뒤늦게 개선되고 있다. 자연은 도무지 공평을 모른다―여자 혼자서 분만의 아픔을 견디게 만든다.
2001 CM 84:5.2 사회가 진화하면서, 성에 관한 도덕규범이 여자들 가운데서 더 높게 일어났는데, 이는 성{性}에 대한 사회관행을 위반한 결과에서 저희가 더 고통을 받았기 때문이다. 남자의 성 기준은, 문명이 요구하는 공평성을 미약하게 의식한 결과로, 오직 내키지 않는 상태에서 개선되고 있을 뿐이다. 자연은 공평성을 전혀 알지 못한다--곧 아이 낳는 고통을 여자 혼자 겪게 만든다.
2007 URKA 84:5.2 사회가 진화하면서, 여성들이 성(性)에 대한 사회 관례를 위반한 결과로부터 더욱 고통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여성들 사이에서 성에 대한 기준이 좀 더 높은 차원으로 올라갔다. 남자의 성에 대한 기준은, 문명이 요구하는 공정성에 대한 미약한 인식의 결과로, 오직 내키지 않는 상태에서 개선되고 있을 뿐이다. 자연의 법칙은 공정성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한다. 자연은─여자 혼자서 아이 분만의 고통을 겪게 만든다.
2025 84:5.2 사회가 진화함에 따라서 성의 기준은 여자들 사이에서 더 높아졌는데, 이는 성 관습을 위반한 결과로부터 그들이 더 고통 받기 때문이었다. 남자의 성 기준은 문명이 요구하는 그 순전한 공평 감각의 결과로서 겨우 뒤늦게 개선되고 있다. 자연은 도무지 공평을 모른다 ― 여자 혼자서 분만의 아픔을 견디게 만든다.
1955 84:5.3 The modern idea of sex equality is beautiful and worthy of an expanding civilization, but it is not found in nature. When might is right, man lords it over woman; when more justice, peace, and fairness prevail, she gradually emerges from slavery and obscurity. Woman’s social position has generally varied inversely with the degree of militarism in any nation or age.
2000 84:5.3 현대의 남녀 평등 관념은 아름답고, 확장하는 문명에 어울리지만, 그 관념은 자연 속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힘이 정의일 때, 남자는 여자에게 거만하게 군다. 정의ㆍ평화ㆍ공평이 더 많이 지배할 때, 여자는 차츰차츰 노예 상태와 낮은 신분에서 솟아나온다. 여자의 사회적 지위는 대체로 어느 나라나 어느 시대에도, 군사주의의 정도에 반비례하여 변하였다.
2001 CM 84:5.3 현대의 남녀평등 관념은 훌륭하고, 확장하는 문명에 어울리지만, 자연 법칙에 기초한 것은 아니다. 힘이 지배하던 시대에는 남자가 여자 위에 군림하며;공의와 평화와 공평성이 더 우세해진 후에는, 여자가 노예 신분과 미천한 상태에서 점차 벗어나게 된다. 여자의 사회적 지위는, 어느 민족 또는 어느 시대든지, 대개 군국주의의 정도에 반비례로 변화된다.
2007 URKA 84:5.3 성적 평등에 대한 현대의 관념은 확대되는 문명의 아름답고 훌륭한 면이기는 하지만, 자연의 법칙에 기초를 둔 것은 아니다. 힘이 지배하던 시대에는 남자가 여자 위에 군림하였다; 더 많은 공의(公義)와 평화 그리고 공평성이 우세해진 후에는 여자가 노예 신분과 미천한 상태로부터 점차적으로 벗어나게 된다. 여자의 사회적 지위는 어느 민족 또는 어느 시대에 있어서든지 대개 군국주의의 정도와 반대되는 만큼 변화된다.
2025 84:5.3 현대의 남녀 평등 관념은 아름답고, 확장하는 문명에 어울리지만, 그 관념은 자연 속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힘이 정의일 때, 남자는 여자에게 거만하게 군다. 정의ㆍ평화ㆍ공평이 더 많이 지배할 때, 여자는 차츰차츰 노예 상태와 낮은 신분에서 솟아나온다. 여자의 사회적 지위는 대체로 어느 나라나 어느 시대에도, 군사주의의 정도에 반비례하여 변하였다.
1955 84:5.4 But man did not consciously nor intentionally seize woman’s rights and then gradually and grudgingly give them back to her; all this was an unconscious and unplanned episode of social evolution. When the time really came for woman to enjoy added rights, she got them, and all quite regardless of man’s conscious attitude. Slowly but surely the mores change so as to provide for those social adjustments which are a part of the persistent evolution of civilization. The advancing mores slowly provided increasingly better treatment for females; those tribes which persisted in cruelty to them did not survive.
2000 84:5.4 그러나 남자는 여자의 권리를 의식하여, 또는 일부러 빼앗지는 않았고, 그리고 나서 차츰차츰, 투덜거리면서 그 권리를 여자에게 돌려주었다. 이 모두가 사회의 진화에서 의식하지 않고 계획하지 않은 사건이었다. 늘어난 권리를 즐길 때가 정말로 왔을 때, 여자는 권리를 가졌고, 남자의 의식하는 태도와 아주 상관 없이 모두 가졌다. 사회적 조정은 문명의 지속하는 진화의 일부이며, 이를 마련하려고 도덕 관습은 느리지만 확실히 변한다. 진보하는 도덕 관습은 천천히 갈수록 더 여자에게 좋은 대우를 해주었다. 여자에게 계속 모질었던 부족들은 살아남지 못했다.
2001 CM 84:5.4 그러나 남자가 의도적으로 또는 고의로 여자의 권리를 빼앗지는 않았고, 그후에는 점차 마지못해서 권리를 여자에게 돌려주고 있으며;이 모든 것은 사회 진화에서 무의식적이고 무계획적인 사건이었다. 늘어난 권리를 실제로 누리게 됐을 때, 여자는 권리를 가졌고, 남자가 자각하는 태도와는 전혀 상관없이 모두 가졌다. 그런 사회적 조정은 문명의 끊임없는 진화의 일부분이며,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회관행은 서서히 그러나 분명히 변화되고 있다. 진보하는 사회관행은, 더 나은 대우를 서서히 점점 더 여자에게 제공했으며;여자에게 계속 잔인한 부족은 살아남지 못했다.
2007 URKA 84:5.4 그러나 남자가 여자의 권리들을 빼앗은 것은 의식적(意識的)인 것이 아니었고 고의적인 것도 아니었으며, 그 후에는 점차적으로 그리고 마지못해 그것들을 여자에게 돌려주고 있다; 이 모든 것은 사회적 진화에 있어서의 무의식적이고 무계획적인 에피소드이었다. 추가된 권리들을 여자가 실제적으로 누리게 되었을 때에는, 남자의 의식 태도에는 전혀 상관없이 여자들이 그것들을 취하였다. 끊임없는 문명 진화의 일부분인 그러한 사회적 조절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회관례들이 서서히 그러나 분명하게 변화되고 있다. 앞서 나가는 사회관례들은 여성에 대한 보다 나은 대우를 점점 더 많이 제공하였다; 그들에게 계속적으로 잔인하게 대하는 부족들은 살아남지 못하였다.
2025 84:5.4 그러나 남자는 여자의 권리를 의식하여, 또는 일부러 빼앗지는 않았고, 다음에 차츰차츰, 투덜거리면서 그 권리를 여자에게 돌려주었다. 이 모두가 사회의 진화에서 의식하지 않고 계획하지 않은 사건이었다. 늘어난 권리를 즐길 때가 정말로 왔을 때, 여자는 권리를 가졌고, 남자의 의식하는 태도와 아주 상관없이 모두 가졌다. 사회적 조정은 문명의 지속하는 진화의 일부이며, 이를 마련하려고 도덕 관습은 느리지만 확실히 변한다. 진보하는 도덕 관습은 천천히 갈수록 더 여자에게 좋은 대우를 해주었다. 여자에게 계속 모질었던 부족들은 살아남지 못했다.
1955 84:5.5 The Adamites and Nodites accorded women increased recognition, and those group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migrating Andites have tended to be influenced by the Edenic teachings regarding women’s place in society.
2000 84:5.5 아담 족속과 놋 족속은 여자를 더 많이 인정했으며, 이주하는 안드 족속에게 영향을 받은 무리들은 여자의 사회적 신분에 관하여 에덴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었다.
2001 CM 84:5.5 아담족속과 놋족속은 여자를 더 많이 인정했고, 이주하는 안드족속에게 영향을 받은 집단들은, 사회에서 여자의 지위에 관한 에덴의 교훈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었다.
2007 URKA 84:5.5 아담-사람들과 놋-사람들은 여자들을 점점 더 많이 인정하였으며, 이주하는 안드-사람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그러한 집단들은 사회에 있어서의 여자들의 지위에 관한 에덴의 가르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여 왔다.
2025 84:5.5 아담 족속과 놋 족속은 여자를 더 많이 인정했으며, 이주하는 안드 족속에게 영향을 받은 무리들은 여자의 사회적 신분에 관하여 에덴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었다.
1955 84:5.6 The early Chinese and the Greeks treated women better than did most surrounding peoples. But the Hebrews were exceedingly distrustful of them. In the Occident woman has had a difficult climb under the Pauline doctrines which became attached to Christianity, although Christianity did advance the mores by imposing more stringent sex obligations upon man. Woman’s estate is little short of hopeless under the peculiar degradation which attaches to her in Mohammedanism, and she fares even worse under the teachings of several other Oriental religions.
2000 84:5.6 초기의 중국인과 그리스인은 둘러싼 대부분의 민족들보다 여자를 더 낫게 대우했다. 그러나 히브리인은 지나치게 여자를 불신했다. 서양에서 여자는 기독교에 달라붙게 된 바울의 교리 밑에서, 가파른 오르막길에 부딪쳤다. 그래도 기독교는 남자에게 더 엄격한 성의 책임을 지워줌으로 도덕 관습을 진보시켰다. 여자의 신분은 마호메트교에서 여자에게 따르는 특이한 지위의 하락으로 거의 희망이 없으며, 다른 몇 가지 동양 종교의 가르침 밑에서 여자는 더군다나 운이 나쁘다.
2001 CM 84:5.6 초기 시대의 중국인과 그리스인은, 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다른 민족들보다 더 낫게 여자를 대우했다. 그러나 히브리인은 지나치게 여자를 의심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도교에 첨부된 바울의 교리 아래서 여자의 지위 향상이 어려움을 겪어왔지만, 그럼에도 그리스도교는 더 엄격한 성적 책무를 남자에게 부과함으로써 사회관행을 발전시켰다. 여자의 생활 상태는, 마호메트교에서 여자에게 부여한 색다른 퇴보 아래서 거의 절망 상태에 있으며, 여자는 다른 몇몇 동양 종교의 가르침 아래서 훨씬 악화된 상태로 살고 있다.
2007 URKA 84:5.6 초기 시대의 중국인들과 그리스인들은 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다른 민족들보다 낫게 여자들을 대우하였다. 그러나 히브리인들은 그들을 매우 의심하였다. 서방에서는, 그리스도교가 보다 엄중한 성적 의무들을 남자에게 부과함으로써 사회관례를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교에 첨부되어진 바울의 교리들 아래에서 여자에 대한 지위 향상이 어려움을 겪어왔다. 여자의 생활 상태는, 마호멧교에서 여자에게 부과된 색다른 퇴보 아래에서 거의 절망적인 상태에 있으며, 다른 몇몇 동방 종교들의 가르침 아래에서 훨씬 악화된 상태로 살고 있다.
2025 84:5.6 초기의 중국인과 그리스인은 둘러싼 대부분의 민족들보다 여자를 더 낫게 대우했다. 그러나 히브리인은 지나치게 여자를 불신했다. 서양에서 여자는 기독교에 달라붙게 된 바울의 교리 밑에서, 가파른 오르막길에 부딪쳤다. 그래도 기독교는 남자에게 더 엄격한 성의 책임을 지움으로 도덕 관습을 진보시켰다. 여자의 신분은 마호메트교에서 여자에게 따르는 특이한 지위의 하락으로 거의 희망이 없으며, 다른 몇 가지 동양 종교의 가르침 밑에서 여자는 더군다나 운이 나쁘다.
1955 84:5.7 Science, not religion, really emancipated woman; it was the modern factory which largely set her free from the confines of the home. Man’s physical abilities became no longer a vital essential in the new maintenance mechanism; science so changed the conditions of living that man power was no longer so superior to woman power.
2000 84:5.7 종교가 아니라 과학이 여자를 정말로 해방했다. 집의 울타리로부터 여자를 대체로 자유롭게 풀어 놓은 것은 현대의 공장(工場)이었다. 새로운 유지 장치에서 남자의 신체적 능력은 이제 더 중대한 필수 요소가 되지 않았다. 과학은 남자의 힘이 여자의 힘보다 이제 더 아주 우수하지 않도록 생활 조건을 변화시켰다.
2001 CM 84:5.7 종교가 아니라, 정말로 과학이 여자를 해방시켰으며;가정에 감금된 여자를 크게 풀어준 것은 현대 공장{工場}이었다. 남자의 육체적 기량은, 새 생활체제에서는 더 이상 극히 중대한 근본 요소가 아니며;과학이 생활환경을 무척 변화시켰으므로, 남자의 능력은 여자의 능력을 더 이상 크게 능가하지 못하게 됐다.
2007 URKA 84:5.7 종교가 아니라 과학이 실제로 여자를 해방시켰으며; 가정에 묶여있는 상태로부터 여자를 크게 자유화시킨 것은 현대의 공장(工場)이었다. 남자의 육체적인 능력은 새로운 생활 체제 속에서는 더 이상 극히 중대한 근본적 요소가 아니며; 과학이 생활환경들을 너무도 많이 변화시켰기 때문에 남자의 능력은 더 이상 여자의 능력에 그렇게 우월하지 못하게 되었다.
2025 84:5.7 종교가 아니라 과학이 여자를 정말로 해방했다. 집의 울타리로부터 여자를 대체로 자유롭게 풀어 놓은 것은 현대의 공장(工場)이었다. 새로운 유지 장치에서 남자의 신체적 능력은 이제 더 중대한 필수 요소가 되지 않았다. 과학은 남자의 힘이 여자의 힘보다 이제 더 아주 우수하지 않도록 생활 조건을 변화시켰다.
1955 84:5.8 These changes have tended toward woman’s liberation from domestic slavery and have brought about such a modification of her status that she now enjoys a degree of personal liberty and sex determination that practically equals man’s. Once a woman’s value consisted in her food-producing ability, but invention and wealth have enabled her to create a new world in which to function—spheres of grace and charm. Thus has industry won its unconscious and unintended fight for woman’s social and economic emancipation. And again has evolution succeeded in doing what even revelation failed to accomplish.
2000 84:5.8 이러한 변화는 집안의 노예 신세로부터 여자를 해방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자의 지위를 크게 수정해서, 여자는 실질적으로 남자와 같이 개인의 자유와 성교의 결정권을 이제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한때 여자의 가치는 여자가 먹을 것을 생산하는 능력에 있었으나, 발명과 부(富)는 여자로 하여금 활동해야 할 새로운 세계―품위와 매력의 분야―를 창조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산업은 여자의 사회ㆍ경제적 해방을 위하여, 의식하지도 않고 뜻하지도 않은 싸움을 싸워서 이겼다. 또 다시 진화는 계시조차 이룩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는 데 성공했다.
2001 CM 84:5.8 이런 변화는 집안의 노예 신세로부터 여자가 벗어나는 경향을 보였고, 실제로 남자와 거의 동등한 정도의 개인 자유와 성적 결정권을 현재 누리고 있을 만큼, 여자의 지위가 변경되게 했다. 한때는 여자의 가치가 음식을 만드는 역량에 제한됐으나, 발명과 풍요함으로 인해 여자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를--곧 우아하고 매력 있는 영역을-- 창작할 수 있게 했다. 그리하여 산업은, 여자의 사회적 및 경제적 해방상태를 위한 무의식적이고 무계획적인 전쟁에서 승리해왔다. 그리고 계시조차 완성시키지 못한 것들까지, 진화가 다시 이룩해왔다.
2007 URKA 84:5.8 이러한 변화들은 가정의 일에 노예가 되었던 상태로부터 여자를 해방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실천적으로 남자와 동등한 정도의 개인적 해방과 성(性) 결정권을 현재 누리고 있을 만큼 여자의 지위가 변경되게 하였다. 한 때는 여자의 가치가 음식을 만드는 능력에 제한되어 있었지만, 발명과 풍부함으로 인하여 여자들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우아하고 매력 있는 구체─가 창조되었다. 그리하여 산업은 여인의 사회적 경제적 해방을 위한 무의식적이고 무계획적인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어 왔다. 그리고 계시가 완성시키지 못한 것들까지도 진화에 의해 다시 이룩되어 왔다.
2025 84:5.8 이러한 변화는 집안의 노예 신세로부터 여자를 해방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자의 지위를 크게 수정해서, 여자는 실질적으로 남자와 같이 개인의 자유와 성교의 결정권을 이제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한때 여자의 가치는 여자가 먹을 것을 생산하는 능력에 있었으나, 발명과 부(富)는 여자로 하여금 활동해야 할 새로운 세계 ― 품위와 매력의 분야 ― 를 창조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산업은 여자의 사회ㆍ경제적 해방을 위하여, 의식하지도 않고 뜻하지도 않은 싸움을 싸워서 이겼다. 또 다시 진화는 계시조차 이룩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는 데 성공했다.
1955 84:5.9 The reaction of enlightened peoples from the inequitable mores governing woman’s place in society has indeed been pendulumlike in its extremeness. Among industrialized races she has received almost all rights and enjoys exemption from many obligations, such as military service. Every easement of the struggle for existence has redounded to the liberation of woman, and she has directly benefited from every advance toward monogamy. The weaker always makes disproportionate gains in every adjustment of the mores in the progressive evolution of society.
2000 84:5.9 사회에서 여자의 지위를 규제하는 불공평한 도덕 관습에서 벗어난 깨우친 민족들의 극단적 반응은 정말로 추와 같았다. 산업화된 민족들 사이에서 여자는 거의 모든 권한을 받았고, 군대 복무와 같은 많은 의무로부터 면제된다. 존재를 위한 싸움이 완화될 때마다 여자의 해방에 도움이 되었고, 일부일처제를 향한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여자는 직접 이득을 보았다. 사회가 진취적으로 진화하면서 관습이 조정될 때마다, 약한 자는 언제나 훨씬 더 이득을 본다.
2001 CM 84:5.9 공동체에서 여자의 처지를 규제하는 불공정한 사회관행으로부터 벗어난 계몽된 사람들의 반응은, 그 극단성{極端性}에서 정말로 시계추{時計錘} 같았다. 산업화된 인종들 가운데서는, 여자가 거의 모든 권리를 소유하게 됐고, 군대 복무 같은 많은 책무에서 면제되는 혜택을 누린다. 실존을 위한 투쟁이 완화될 때마다 여자의 자유함에 도움이 됐고, 일부일처제를 향한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여자는 직접 혜택을 입었다. 공동체가 진취적으로 진화하면서 사회관행이 조정될 때마다, 약자는 항상 공평함 이상으로 이익을 얻는다.
2007 URKA 84:5.9 사회 안에서의 여자의 위치를 다스리는 불공평한 사회관례로부터 깨우친 국민들의 반응은 그 과격성에 있어서 정말로 격심한 변동을 일으켜 왔다. 산업화된 종족들 사이에서는 여자가 거의 모든 권리들을 받아들여 왔고 군대 봉사와 같은 많은 책무로부터의 면제의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생존을 위한 투쟁에 있어서의 모든 안락함이 여자의 해방에 이바지해 왔으며, 여자는 일부일처제를 향한 모든 진보들로부터 직접적으로 혜택을 입어 왔다. 사회의 진보적인 진화 과정 안에서, 사회관례의 모든 조절에 있어서 약자들은 항상 불균등한 이익을 얻는다.
2025 84:5.9 사회에서 여자의 지위를 규제하는 불공평한 도덕 관습에서 벗어난 깨우친 민족들의 극단적 반응은 정말로 추와 같았다. 산업화된 민족들 사이에서 여자는 거의 모든 권한을 받았고, 군대 복무와 같은 많은 의무에서 면제된다. 존재를 위한 싸움이 완화될 때마다 여자의 해방에 도움이 되었고, 일부일처제를 향한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여자는 직접 이득을 보았다. 사회가 진취적으로 진화하면서 관습이 조정될 때마다, 약한 자는 언제나 훨씬 더 이득을 본다.
1955 84:5.10 In the ideals of pair marriage, woman has finally won recognition, dignity, independence, equality, and education; but will she prove worthy of all this new and unprecedented accomplishment? Will modern woman respond to this great achievement of social liberation with idleness, indifference, barrenness, and infidelity? Today, in the twentieth century, woman is undergoing the crucial test of her long world existence!
2000 84:5.10 부부 결혼의 이상(理想)에 비추어 볼 때, 여자는 마침내 인정(認定)ㆍ위엄ㆍ독립ㆍ평등ㆍ교육을 얻어냈다. 그러나 여자가 새롭고 전례 없는 이 모든 성취를 누릴 자격이 있는지 입증될 것인가? 사회의 해방이 가져온 이 위대한 성취에 대하여 현대 여성은 게으름ㆍ무관심ㆍ불임ㆍ간통으로 반응할 것인가? 오늘날, 20세기에 여자는 오랫동안 세상에 존재하면서 중대한 시험을 거치고 있다!
2001 CM 84:5.10 부부의 결혼이라는 이상{理想}에서, 여자는 마침내, 인정{認定}, 존엄성, 독립성, 동등권, 및 교육 받을 권리를 획득했지만;여자가 새롭고 전례 없는 이런 모든 성취를 누릴 만한 가치가 있음을 과연 증명하게 될 것인가? 사회적 자유함이라는 엄청난 성취에 대해, 현대의 여자들이 나태함과 무관심과 불임{不姙} 그리고 부정{不貞}으로 반응할 것인가? 20세기인 오늘날, 여자는 오랫동안 세상에 현존한 것에 대한 중대한 시험을 거치고 있다!
2007 URKA 84:5.10 한 쌍의 결혼이라는 이상들에 있어서, 여자는 마침내 인정, 존엄성, 독립성, 평등, 그리고 교육을 얻어 냈지만; 여자가 새롭고도 전례가 없는 이러한 모든 성취들이 가치가 있는 것임을 과연 증명할 것인가? 현대의 여인들이 사회적 해방이라는 엄청난 성취와 함께 나태함, 무관심, 불임과 간통으로 응수할 것인가? 20세기인 오늘날, 여자들은 자신들의 오랫동안의 세상 실존에서의 결정적인 시험을 받고 있다!
2025 84:5.10 부부 결혼의 이상에 비추어 볼 때, 여자는 마침내 인정(認定)ㆍ위엄ㆍ독립ㆍ평등ㆍ교육을 얻어냈다. 그러나 여자가 새롭고 전례 없는 이 모든 성취를 누릴 자격이 있는지 입증될 것인가? 사회의 해방이 가져온 이 위대한 성취에 대하여 현대 여성은 게으름ㆍ무관심ㆍ불임ㆍ간통으로 반응할 것인가? 오늘날, 20세기에 여자는 오랫동안 세상에 존재하면서 중대한 시험을 거치고 있다!
1955 84:5.11 Woman is man’s equal partner in race reproduction, hence just as important in the unfolding of racial evolution; therefore has evolution increasingly worked toward the realization of women’s rights. But women’s rights are by no means men’s rights. Woman cannot thrive on man’s rights any more than man can prosper on woman’s rights.
2000 84:5.11 종족 번식 면에서 여자는 남자와 동등한 짝이며, 따라서 종족의 진화가 전개되는 데 똑같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진화는 갈수록 더 여성의 권리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여자의 권리는 결코 남자의 권리가 아니다. 남자가 여자의 권리를 가지고 잘 성장할 수 없는 것처럼, 여자도 남자의 권리를 가지고 번성할 수 없다.
2001 CM 84:5.11 종족 번식에서 여자는 남자와 동등한 동반자이고, 따라서 종족의 진화가 전개되는 데 똑같이 중요하며;그러므로 진화는 여자의 권리를 점점 더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해왔다. 그러나 여자의 권리는 남자의 권리와 결코 똑같지 않다. 남자가 여자의 권리를 확보해 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자도 남자의 권리를 신장시켜줄 수 없다.
2007 URKA 84:5.11 종족 번식에 있어서 여자는 남자와 동등한 동반자인데, 그렇기 때문에 인종적 진화를 나타냄에 있어서 똑같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진화는 여자의 권리들을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점점 더 활동을 해왔다. 그러나 여성의 권리들은 남성의 권리들과 결코 똑같지 않다. 남자가 여자의 권리 위에서 번영할 수 없는 것처럼, 여자도 남자의 권리 위에서 번창할 수 없다.
2025 84:5.11 종족 번식 면에서 여자는 남자와 동등한 짝이며, 따라서 종족의 진화가 전개되는 데 똑같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진화는 갈수록 더 여성의 권리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여자의 권리는 결코 남자의 권리가 아니다. 남자가 여자의 권리를 가지고 잘 성장할 수 없는 것처럼, 여자도 남자의 권리를 가지고 번성할 수 없다.
1955 84:5.12 Each sex has its own distinctive sphere of existence, together with its own rights within that sphere. If woman aspires literally to enjoy all of man’s rights, then, sooner or later, pitiless and emotionless competition will certainly replace that chivalry and special consideration which many women now enjoy, and which they have so recently won from men.
2000 84:5.12 남녀는 각자 자신의 뚜렷한 존재 분야가 있고, 그 분야 안에서 자신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여자가 글자 그대로 남자의 권리를 모두 가지고 싶어한다면, 머지 않아, 동정심도 감정도 없는 경쟁이, 많은 여성이 지금 즐기고, 남자들로부터 아주 최근에 얻어낸, 그 기사도(騎士道) 정신과 특별한 배려를 분명히 없애버릴 것이다.
2001 CM 84:5.12 남녀는 각자 특유의 실존 영역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그 영역에서 자신의 권리를 갖는다. 여자가 글자 그대로 남자의 모든 권리를 누리고자 염원한다면, 많은 여자가 지금 누리고 있는, 그리고 그들이 아주 최근에 남자로부터 획득한, 기사도{騎士道} 정신과 특별한 존중심을, 냉혹하고 삭막한 경쟁이 곧 분명하게 없애버릴 것이다.
2007 URKA 84:5.12 남성과 여성은 각자 실존에서의 특유한 구체를 갖고 있으며, 동시에 그 구체안에서 자신만의 권리를 갖는다. 만약에 여자가 글자 그대로의 남자의 모든 권리들을 누리고자 한다면, 현재 많은 여자들이 누리고 있는 그리고 그들이 아주 최근에 남자들로부터 획득하였던 기사도(騎士道)와 특별한 배려를 동정심도 감정도 없는 경쟁이 조만간 확실하게 대치될 것이다.
2025 84:5.12 남녀는 각자 자신의 뚜렷한 존재 분야가 있고, 그 분야 안에서 자신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여자가 글자 그대로 남자의 권리를 모두 가지고 싶어 한다면, 머지않아, 동정심도 감정도 없는 경쟁이, 많은 여성이 지금 즐기고, 남자들로부터 아주 최근에 얻어낸, 그 기사도(騎士道) 정신과 특별한 배려를 분명히 없애 버릴 것이다.
1955 84:5.13 Civilization never can obliterate the behavior gulf between the sexes. From age to age the mores change, but instinct never. Innate maternal affection will never permit emancipated woman to become man’s serious rival in industry. Forever each sex will remain supreme in its own domain, domains determined by biologic differentiation and by mental dissimilarity.
2000 84:5.13 문명은 남녀가 다르게 행동하는 것을 결코 없애버릴 수 없다. 대대로 도덕 관습은 변하지만, 본능은 결코 그렇지 않다. 타고난 모성애는 결코 해방된 여자로 하여금 산업에서 남자와 심각하게 경쟁하도록 버려두지 않는다. 언제까지나 남녀는 각자 자신의 분야 안에서 힘을 떨칠 터이니, 이것은 생물학적 분화와 정신적 차이에 따라서 결정되는 분야이다.
2001 CM 84:5.13 문명은 남녀 사이의 큰 습성 차이를 결코 없앨 수 없다. 시대가 바뀌면서 사회관행은 변하지만, 본능은 결코 그렇지 않다. 산업 사회에서 남자의 심각한 경쟁상대가 될 만큼 여자가 해방되는 일은, 타고난 모성애 때문에 결단코 불가능하다. 남성과 여성은 각자 자기만의 영역에서 최고 상태로 언제까지나 남아있을 것인데, 이는 생물학적 차이와 정신적 차이로 인해서 결정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2007 URKA 84:5.13 문명은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있는 습성에 있어서의 큰 차이를 한 번도 없앨 수 없었다. 시대가 바뀌면서 사회관례는 변하지만, 본능은 결코 바뀔 수 없다. 타고난 모성애는 산업 사회 속에서 남자의 심각한 경쟁상대가 되도록 여자를 해방시키는 일이 결코 없을 것이다. 남성과 여성은 각자 자기만의 권역, 생물학적인 차이에 의해서 그리고 정신적인 차이점에 의해서 결정되는 권역 안에서 언제까지나 최극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2025 84:5.13 문명은 남녀가 다르게 행동하는 것을 결코 없애 버릴 수 없다. 대대로 도덕 관습은 변하지만, 본능은 결코 그렇지 않다. 타고난 모성애는 결코 해방된 여자로 하여금 산업에서 남자와 심각하게 경쟁하도록 버려두지 않는다. 언제까지나 남녀는 각자 자신의 분야 안에서 힘을 떨칠 터이니, 이것은 생물학적 분화와 정신적 차이에 따라서 결정되는 분야이다.
1955 84:5.14 Each sex will always have its own special sphere, albeit they will ever and anon overlap. Only socially will men and women compete on equal terms.
2000 84:5.14 남녀는 각자 언제나 자신의 특별한 분야를 가질 것이다. 하지만 그 분야들이 때때로 겹칠 것이다. 오직 사회에서 남자와 여자는 같은 조건으로 경쟁한다.
2001 CM 84:5.14 남녀 각자는, 때때로 서로 겹치기는 하지만 고유의 영역을 반드시 가질 것이다. 남자와 여자는 오직 사회적으로만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다.
2007 URKA 84:5.14 남성과 여성은 언제나 자기들만의 특별한 구체를 가질 것인데, 그것들은 때때로 서로 중첩되기도 할 것이다. 남자들과 여자들은 오직 사회적으로만 똑같은 조건에서 경쟁하게 될 것이다.
2025 84:5.14 남녀는 각자 언제나 자신의 특별한 분야를 가질 것이다. 하지만 그 분야들이 때때로 겹칠 것이다. 오직 사회에서 남자와 여자는 같은 조건으로 경쟁한다.
6. THE PARTNERSHIP OF MAN AND WOMAN
6. 남자와 여자의 협동
6. 남자와 여자의 협력
6. 남자와 여자의 동반적 관계
6. 남자와 여자의 협동
1955 84:6.1 The reproductive urge unfailingly brings men and women together for self-perpetuation but, alone, does not insure their remaining together in mutual co-operation—the founding of a home.
2000 84:6.1 번식의 욕구는 자아를 존속시키기 위해서 어김없이 남자와 여자를 함께 모이게 하지만, 그것만으로 그들이 서로 협동하는 속에―가정을 세우는 일에―함께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2001 CM 84:6.1 번식하려는 충동이 자아-영속을 위해 남자와 여자를 끊임없이 결합시키지만, 그것만으로는 그들이 함께 계속 상호 협동하도록--곧 가정{家庭}을 설립하도록-- 보장하지 않는다.
2007 URKA 84:6.1 번식에 대한 충동은 자아-영속을 위하여 틀림없이 남자들과 여자들이 함께 모이게 하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그들이 같이 상호 협동하는 가운데─가정을 세우는 것─함께 남아 있도록 보장하지 않는다.
2025 84:6.1 번식의 욕구는 자아를 존속시키기 위해서 어김없이 남자와 여자를 함께 모이게 하지만, 이것만으로 그들이 서로 협동하는 가운데 ― 가정을 세우는 일에 ― 함께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1955 84:6.2 Every successful human institution embraces antagonisms of personal interest which have been adjusted to practical working harmony, and homemaking is no exception. Marriage, the basis of home building, is the highest manifestation of that antagonistic co-operation which so often characterizes the contacts of nature and society. The conflict is inevitable. Mating is inherent; it is natural. But marriage is not biologic; it is sociologic. Passion insures that man and woman will come together, but the weaker parental instinct and the social mores hold them together.
2000 84:6.2 성공하는 인간 제도는 모두, 실질적으로 조화를 이룬 개인 이익의 대립을 용납하며, 가정을 만드는 것도 예외가 아니다. 결혼은 가정을 세우는 기초요, 상반되는 협동의 가장 높은 표현이며, 이것은 아주 흔히 천성과 사회의 접촉의 특징이 된다. 갈등은 피할 수 없다. 짝짓기는 선천적이며, 자연히 일어난다. 그러나 결혼은 생물학상의 일이 아니라, 사회적인 일이다. 정열(情熱)은 남자와 여자가 한데 모일 것을 보장하지만, 그보다 약한 부모 본능과 사회 관습이 그들을 함께 붙들어 놓는다.
2001 CM 84:6.2 성공적인 인간제도는 모두, 실용적인 업무 조화를 위해 조정된 개인적 이해관계의 대립을 용납하며, 가정관리도 예외가 아니다. 가정을 세우는 기초인 결혼은, 자연과 공동체의 접촉을 특징짓는 적대적{敵對的} 협동이 최고로 형태화된 것이다. 갈등은 피할 수 없다. 짝짓기는 선천적이며;자연스런 것이다. 그러나 결혼은 생물학상의 일이 아니며;사회적인 일이다. 열정은 남자와 여자를 하나로 묶어주지만, 그보다 약한 부모로서의 본능과 사회관행이 그들을 함께 붙잡아 두기도 한다.
2007 URKA 84:6.2 모든 성공적인 인간 제도는, 실천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작업으로 조절되어온 개인적 관심들의 반목을 포옹하고 있으며, 가정을 세우는 일도 예외가 아니다. 결혼은, 가정 설립의 기초가 되는데, 매우 자주 자연본능과 공동체의 접촉을 특징짓게 하는, 적대적 협동을 간직한 최고의 현시활동이다. 충돌은 필연적인 것이다. 짝을 짓는 일은 선천적인 것이다; 자연본성적이다. 그러나 결혼은 생물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적인 것이다. 열정이 남자와 여자가 함께 되는 것을 보장하지만, 그러나 미약한 어버이의 본능과 사회관례가 그들이 함께 하는 것을 유지한다.
2025 84:6.2 성공하는 인간 제도는 모두, 실질적으로 조화를 이룬 개인 이익의 대립을 용납하며, 가정을 만드는 것도 예외가 아니다. 결혼은 가정을 세우는 기초요, 상반되는 협동의 가장 높은 표현이며, 이것은 아주 흔히 천성과 사회가 접촉하는 특징을 가진다. 갈등은 피할 수 없다. 짝짓기는 선천적이며, 자연히 일어난다. 그러나 결혼은 생물학상의 일이 아니라, 사회적인 일이다. 정열(情熱)은 남자와 여자가 한데 모일 것을 보장하지만, 그보다 약한 부모 본능과 사회 관습이 그들을 함께 붙들어 놓는다.
1955 84:6.3 Male and female are, practically regarded, two distinct varieties of the same species living in close and intimate association. Their viewpoints and entire life reactions are essentially different; they are wholly incapable of full and real comprehension of each other. Complete understanding between the sexes is not attainable.
2000 84:6.3 남성과 여성은 실지로 보건대, 가깝고 밀접하게 결합된 속에서 사는, 같은 종자의 두 가지 다른 변종이다. 그들의 관점과 전체 인생의 반응이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들은 서로를 충분히 진정하게 이해할 능력이 도무지 없다. 남녀 사이에 완전한 이해는 도달할 수 없다.
2001 CM 84:6.3 실질적으로 본다면, 남성과 여성은 밀접하고 긴밀한 연합 속에서 살아가는, 같은 종자의 두 가지 뚜렷한 변종이다. 그들의 관점과 전체 생애의 반응은 근본적으로 다르며;그들이 서로를 충분하게 실제로 납득하기는 전혀 불가능하다. 이성간의 전반적인 이해는 이뤄질 수 없다.
2007 URKA 84:6.3 실천적인 면에서 본다면, 남성과 여성은 밀접하고 친밀한 관계적-연합 속에서 살아가는 동일한 종(種)에서의 뚜렷하게 다른 두 개의 변종이다. 그들의 관점들과 전체 삶의 반응들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래서 그들이 서로를 충분히 그리고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용력이 전혀 없다. 이성간의 완벽한 납득은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2025 84:6.3 남성과 여성은 실지로 보건대, 가깝고 밀접하게 결합된 속에서 사는, 같은 종자의 두 가지 다른 종류이다. 그들의 관점과 전체 인생의 반응이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들은 서로를 충분히 진정하게 이해할 능력이 도무지 없다. 남녀 사이에 완전히 이해하는 상태는 도달할 수 없다.
1955 84:6.4 Women seem to have more intuition than men, but they also appear to be somewhat less logical. Woman, however, has always been the moral standard-bearer and the spiritual leader of mankind. The hand that rocks the cradle still fraternizes with destiny.
2000 84:6.4 여자는 남자보다 직감이 더 좋은 듯하지만, 여자는 또한 얼마큼 논리가 덜한 듯하다. 그러나 여자는 언제나 도덕의 기치를 쥔 사람이요, 인류의 영적 지도자였다. 요람을 흔드는 손은 아직도 운명과 사귄다.
2001 CM 84:6.4 여자는 남자보다 더 직관적인 것처럼 보이는 반면, 논리적인 면에서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여자는 항상 도덕의 주창자{主唱者}였고 인류의 영적 지도자였다. 요람을 흔드는 손은, 운명을 여전히 친절하게 대한다.
2007 URKA 84:6.4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더욱 많은 직관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그러나 또한 어느 정도는 좀더 적게 논리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여자는 항상 도덕적 기준을-떠맡아 나르는 자였으며 그리고 인류의 영적 영도자였다. 요람을 흔드는 손은 여전히 조용하게 운명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
2025 84:6.4 여자는 남자보다 직감이 더 좋은 듯하지만, 여자는 또한 얼마큼 논리가 덜한 듯하다. 그러나 여자는 언제나 도덕의 기치를 쥔 사람이요, 인류의 영적 지도자였다. 요람을 흔드는 손은 아직도 운명과 사귄다.
1955 84:6.5 The differences of nature, reaction, viewpoint, and thinking between men and women, far from occasioning concern, should be regarded as highly beneficial to mankind,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Many orders of universe creatures are created in dual phases of personality manifestation. Among mortals, Material Sons, and midsoniters, this difference is described as male and female; among seraphim, cherubim, and Morontia Companions, it has been denominated positive or aggressive and negative or retiring. Such dual associations greatly multiply versatility and overcome inherent limitations, even as do certain triune associations in the Paradise-Havona system.
2000 84:6.5 남자와 여자 사이에 성품ㆍ반응ㆍ관점ㆍ생각의 차이는 걱정을 일으키기는커녕, 개별적으로, 또 집단으로, 인류에게 상당히 유익하다고 간주되어야 한다. 많은 계급의 우주 생물은 두 단계로 성격을 표현하도록 지어졌다. 사람, 물질 아들, 중간 한계자[1] 중에서, 이 차이는 암컷과 수컷으로 묘사된다. 세라핌, 케루빔, 상물질 동반자 사이에서는, 양성, 즉 적극적인 것, 그리고 음성, 즉 수줍은 것으로 언급되었다. 파라다이스 및 하보나 체계에서 어떤 삼자일체 결합처럼, 그러한 2중 관계는 융통성을 크게 높이고 선천적 한계를 이겨낸다.
2001 CM 84:6.5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 본성과 반응과 관점 및 생각의 차이는, 걱정을 야기 시키기는커녕,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인류에게 상당히 유익한 것으로 간주돼야한다. 많은 계층의 우주 피조물은, 이중{二重} 국면으로 인간성을 형태화하도록 창조된다. 필사자와 물질 아들 그리고 중간유한절대자 가운데서는, 이런 차이가 남성과 여성으로 표현되며;스라빔과 체루빔, 그리고 모론시아 동료 가운데서는, 양성{陽性} 곧 적극적 존재와, 음성{陰性} 곧 내향적 존재로 언급돼왔다. 낙원-하보나 체계에서 어떤 삼자일체 연합을 이루는 것과 같이, 그런 이중 연합은 융통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선천적 제한조건을 극복한다.
2007 URKA 84:6.5 남자와 여자 사이의 자연본성, 반응, 관점, 사고(思考)에서의 차이점들은, 염려를 일으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개별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인류에게 매우 유익한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우주 창조체들의 많은 계층이 개인성 현시활동의 이원적(二元的) 위상으로 창조된다. 필사자들과 물질아들들 그리고 아(亞)중간자들 사이에서는 이 차이는 남성과 여성으로 표현된다; 세라핌천사, 케루빔, 그리고 모론시아 동행자들 사이에서는 긍정적 혹은 적극적 그리고 부정적 즉 내향적(內向的)인 것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한 이원적(二元的) 관계적-연합들은, 파라다이스-하보나 체계 속에 있는 어떤 삼원적(三元的) 관계적-연합이 하는 것처럼, 융통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선천적 한계들을 극복한다.
2025 84:6.5 남자와 여자 사이에 성품ㆍ반응ㆍ관점ㆍ생각의 차이는 걱정을 일으키기는커녕, 개별적으로, 또 집단으로, 인류에게 상당히 유익하다고 간주되어야 한다. 많은 계급의 우주 생물은 두 단계로 성격을 표현하도록 지어졌다. 사람, 물질 아들, 중간자[86] 중에서, 이 차이는 암컷과 수컷으로 묘사된다. 세라핌, 케루빔, 상물질 동반자 사이에서는, 양성, 즉 적극적인 것, 그리고 음성, 즉 수줍은 것으로 언급되었다. 파라다이스 및 하보나 체계에서 어떤 삼자일체 결합처럼, 그러한 2중 관계는 융통성을 크게 높이고 선천적 한계를 이겨낸다.
1955 84:6.6 Men and women need each other in their morontial and spiritual as well as in their mortal careers. The differences in viewpoint between male and female persist even beyond the first life and throughout the local and superuniverse ascensions. And even in Havona, the pilgrims who were once men and women will still be aiding each other in the Paradise ascent. Never, even in the Corps of the Finality, will the creature metamorphose so far as to obliterate the personality trends that humans call male and female; always will these two basic variations of humankind continue to intrigue, stimulate, encourage, and assist each other; always will they be mutually dependent on co-operation in the solution of perplexing universe problems and in the overcoming of manifold cosmic difficulties.
2000 84:6.6 남자와 여자는 필사 생애 뿐 아니라 상물질 생애와 영적 생애에 서로 필요하다. 여성과 남성 사이에 관점의 차이는 첫 생명을 지나서도, 그리고 지역 우주와 초우주를 올라가면서 내내 지속된다. 그리고 하보나에서도, 한때 남자와 여자였던 순례자들은 파라다이스로 올라가면서 여전히 서로를 도울 것이다. 최후자 군단에서도, 결코 인간이 남성과 여성이라고 부르는 인격의 성향을 지워 버릴 만큼 사람의 모습이 바뀌지 않을 것이다. 언제나 인류의 이 두 가지 기본 변종은 줄곧 서로를 골똘히 생각에 빠지게 하고, 자극하고, 북돋아 주고 돕는다. 그들은 난처한 우주 문제들을 푸는 데, 그리고 다채로운 우주의 어려움을 이겨내는 데, 언제나 서로 협동에 의존할 것이다.
2001 CM 84:6.6 남자와 여자는 필사자 생애뿐 아니라 모론시아 생애와 영적 생애에서도 서로를 필요로 한다. 남성과 여성 사이의 관점 차이는, 첫 생애 이후에, 그리고 지방우주와 연방우주에서 상승하는 과정 내내 지속된다. 하보나에서도, 한때 남자와 여자였던 순례자는, 낙원으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여전히 서로 돕게 될 것이다. 심지어 완결성취 단체에서도, 피조물은 결코, 인간이 남성과 여성이라고 부르는 인격적 경향을 지워버릴 만큼 변환되지 않을 것이며;인류의 이런 두 가지 근본 변종{變種}은, 서로에게 호기심과 자극과 용기를 주고 협조하는 일을 항상 계속할 것이며;복잡한 우주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그리고 시공우주의 각양 어려움을 극복하는 일에, 언제나 서로 협동하면서 의존할 것이다.
2007 URKA 84:6.6 남자들과 여자들은 필사자 생애 속에서뿐만 아니라 모론시아적 생애와 영적 생애 속에서도 서로를 필요로 한다.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있는 관점의 차이들은 첫 번째 삶이 끝난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며 지역우주에서의 상승과 초우주에서의 상승 과정 전체에서도 존재한다. 그리고 심지어는 하보나에서도, 한 때 남자들과 여자들이었던 그 순례자들은 파라다이스로 상승하는 과정 속에서 여전히 서로를 도와주게 될 것이다. 심지어는 최종의 무리단들 속에서도, 창조체는 인간이 남성과 여성이라고 부르는 개인성 경향의 흔적이 없어질 때까지 변화될 것이다; 인류의 이러한 두 가지 근본적인 서로 다른 이종(異種)들은 서로에게 호기심을 주고, 자극을 주고, 용기를 주고 협조하는 일을 항상 계속할 것이다; 그들은 복잡한 우주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가지각색의 조화우주 어려움들을 극복하는 일 속에서 상호 의존적으로 협동하게 될 것이다.
2025 84:6.6 남자와 여자는 필사 생애만 아니라 상물질 생애와 영적 생애에 서로 필요하다. 여성과 남성 사이에 관점의 차이는 첫 생명을 지나서도, 그리고 지역 우주와 초우주를 올라가면서 내내 지속된다. 그리고 하보나에서도, 한때 남자와 여자였던 순례자들은 파라다이스로 올라가면서 여전히 서로를 도울 것이다. 최후자 군단에서도, 결코 인간이 남성과 여성이라고 부르는 인격의 성향을 지워 버릴 만큼 사람의 모습이 바뀌지 않을 것이다. 언제나 인류의 이 두 가지 기본 변종은 줄곧 서로를 골똘히 생각에 빠지게 하고, 자극하고, 북돋아 주고 돕는다. 그들은 난처한 우주 문제들을 푸는 데, 그리고 다채로운 우주의 어려움을 이겨내는 데, 언제나 서로 협동할 것이다.
1955 84:6.7 While the sexes never can hope fully to understand each other, they are effectively complementary, and though co-operation is often more or less personally antagonistic, it is capable of maintaining and reproducing society. Marriage is an institution designed to compose sex differences, meanwhile effecting the continuation of civilization and ins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race.
2000 84:6.7 남녀는 결코 서로를 충분히 이해하기 바랄 수 없어도, 그들은 효과적으로 보완한다. 협동은 얼마큼 개인적으로 대립되지만, 사회를 유지하고 재생하는 능력이 있다. 결혼은 남녀의 차이를 완화하도록 고안된 제도이며, 한편 문명을 계속하게 하고 종족의 번식을 보장한다.
2001 CM 84:6.7 남녀가 서로 충분히 이해하기를 기대할 수는 결코 없지만 효과적으로 보충해주며, 협동은, 종종 개인적으로 다소 적대적이더라도 공동체를 유지하고 재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결혼은 성적 차이점을 완화시키도록 고안된 제도인 동시에, 문명이 지속되게 하고 종족의 번식을 보장한다.
2007 URKA 84:6.7 남성과 여성이 서로를 충분히 납득하기를 희망할 수는 결코 없는 반면, 그들은 효과적으로 서로를 보완하며, 그리고 협동이 종종 개인적으로 다소간의 반목을 일으키지만, 공동체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결혼은 성(性)의 차이를 완화하도록 고안된 제도이며, 동시에 문명의 지속과 인종(人種)의 재생산을 가져다준다.
2025 84:6.7 남녀는 결코 서로 충분히 이해하기를 바랄 수 없어도, 그들은 효과적으로 보완한다. 협동은 얼마큼 개인적으로 대립되지만, 사회를 유지하고 재생하는 능력이 있다. 결혼은 남녀의 차이를 완화하도록 고안된 제도이며, 한편 문명을 계속하게 하고 종족의 번식을 보장한다.
1955 84:6.8 Marriage is the mother of all human institutions, for it leads directly to home founding and home maintenance, which is the structural basis of society. The family is vitally linked to the mechanism of self-maintenance; it is the sole hope of race perpetuation under the mores of civilization, while at the same time it most effectively provides certain highly satisfactory forms of self-gratification. The family is man’s greatest purely human achievement, combining as it does the evolution of the biologic relations of male and female with the social relations of husband and wife.
2000 84:6.8 결혼은 인간의 모든 제도의 근원이니, 결혼이 가정을 일으키고 가정을 유지하는 길로 바로 이끌기 때문이며, 이것이 사회 구조의 기초이다. 가족은 자아 유지 작용과 중대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족은 문명의 도덕 관습 밑에서 종족이 영속할 유일한 희망이며, 동시에 상당히 만족스러운 어떤 형태의 자아 충족을 가장 효과적으로 마련해 준다. 가족은 사람이 이룬 가운데 가장 큰, 순전히 인간다운 성취이며, 남녀의 생물학적 관계의 진화를 남편과 아내의 사회적 관계와 실제로 통합한다.
2001 CM 84:6.8 결혼은 모든 인간제도의 근원인데, 결혼이 가정을 설립하고 유지하는 길로 직접 이끌기 때문이며, 가정은 사회의 구조적 기초다. 가족은 자아를-유지하는 체제에 매우 밀접하게 연결돼있으며;문명의 사회관행 아래서 종족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인 동시에, 아주 만족스런 어떤 형태의 자기-만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가족은 사람이 이룬 것 중에서 가장 순수한 인간적 업적이며, 남성과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관계의 진화와, 남편과 아내라는 사회적 관계를, 실제로 합병한다.
2007 URKA 84:6.8 결혼은 모든 인간적 제도들의 모체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가정의 설립과 유지를 직접적으로 이룩하기 때문이며, 가정은 사회의 구조적인 기초이기 때문이다. 가정은 자아-유지 기능구조에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문명의 사회관례 아래에서 종족을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인 동시에, 아주 만족스러운 어떤 형태의 자아-충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가정은 사람이 이룩한 가장 순수한 인간적 업적인데,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관계의 진화를 일으키며, 그것을 남편과 아내라는 사회적 관계와 병합하고 있다.
2025 84:6.8 결혼은 인간의 모든 제도의 근원이니, 결혼이 가정을 일으키고 가정을 유지하는 길로 바로 이끌기 때문이며, 이것이 사회 구조의 기초이다. 가족은 자아 유지 작용과 중대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족은 문명의 도덕 관습 밑에서 종족이 영속할 유일한 희망이며, 동시에 상당히 만족스러운 어떤 형태의 자아 충족을 가장 효과적으로 마련해 준다. 가족은 사람이 이룬 가운데 가장 큰, 순전히 인간다운 업적이며, 남녀의 생물학적 관계의 진화를 남편과 아내의 사회적 관계와 실제로 통합한다.
7. THE IDEALS OF FAMILY LIFE
7. 가족 생활의 이상
7. 가족생활의 이상
7. 결혼생활의 이상적인 원리들
7. 가족 생활의 이상
1955 84:7.1 Sex mating is instinctive, children are the natural result, and the family thus automatically comes into existence. As are the families of the race or nation, so is its society. If the families are good, the society is likewise good. The great cultural stability of the Jewish and of the Chinese peoples lies in the strength of their family groups.
2000 84:7.1 남녀가 짝짓는 것은 본능이요, 아이들은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따라서 가족은 자동으로 존재하게 된다. 종족이나 국가의 가족들이 어떠하면, 그 사회도 마찬가지이다. 가족들이 좋으면, 사회도 마찬가지로 좋다. 유대 민족과 중국 민족의 문화가 크게 안정된 것은 그들의 가족 집단의 힘에 달려 있다.
2001 CM 84:7.1 남녀가 짝짓는 것은 본능이고, 자녀는 자연스런 결과이며, 그리하여 가족이 자동으로 존재하게 된다. 종족 또는 나라의 가족들이 어떠하듯이, 그 사회도 그렇다. 가족이 선하면, 그 사회도 마찬가지로 선하다. 유대 민족과 중국 민족의 뿌리 깊은 문화적 안정은, 저희 가족 집단의 힘에서 나온다.
2007 URKA 84:7.1 남성과 여성이 짝을 이루는 것은 본능적인 것이고, 자녀들은 자연적인 결과이며, 그리하여 가정은 자동적으로 실존하게 된다. 종족 또는 국가의 가정들이 있는 것처럼, 그것의 사회도 존재한다. 유대 민족들과 중국 민족들의 뿌리 깊은 문화적 안정성은 그들의 가정 집단들의 위력안에 놓여있다.
2025 84:7.1 남녀가 짝짓는 것은 본능이요, 아이들은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따라서 가족은 자동으로 존재하게 된다. 종족이나 국가의 가족들이 어떠하면, 그 사회도 마찬가지이다. 가족들이 좋으면, 사회도 마찬가지로 좋다. 유대 민족과 중국 민족의 문화가 크게 안정된 것은 그들의 가족 집단의 힘에 달려 있다.
1955 84:7.2 Woman’s instinct to love and care for children conspired to make her the interested party in promoting marriage and primitive family life. Man was only forced into home building by the pressure of the later mores and social conventions; he was slow to take an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marriage and home because the sex act imposes no biologic consequences upon him.
2000 84:7.2 아이들을 사랑하고 돌보는 여자의 본능은, 결혼과 원시의 가족 생활을 조장하는 데 여자를 이해 관계가 있는 당사자로 만들도록 작용한다. 남자는 후일의 관습과 사회 풍습의 압력 때문에 가정을 이루도록 강제되었을 뿐이다. 남자는 결혼과 가정을 이루는 일에 더디게 흥미를 가졌는데, 이는 성행위가 남자에게 아무런 생물학적 결과를 지워주지 않기 때문이다.
2001 CM 84:7.2 자녀를 사랑하고 돌보는 여자의 본능이, 그 여자로 하여금 결혼과 원시 가족생활을 증진시키기에 흥미를 갖는 집단이 되도록 도모했다. 남자는 후대의 사회관행과 사회적 인습으로 인해 강제로 가정을 이루게 됐을 뿐이며;남자가 결혼과 가정을 설립하기에 흥미를 갖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는데, 이는 성행위가 남자에게 어떤 생물학적 결과도 초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7 URKA 84:7.2 자녀들을 사랑하고 돌보는 여자의 본능은 결혼과 원시적인 가정생활을 증진시키는 일에 여자로 하여금 흥미를 갖는 집단이 되도록 협력하였다. 남자는 후대의 사회관례들과 사회적 풍습들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가정을 이루게 되었을 뿐이다; 결혼과 가정을 설립하는 일에 흥미를 갖기까지 오랜 세월이 걸렸는데, 그것은 성(性) 행동은 그 어떤 생물학적 결과도 그에게 강요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2025 84:7.2 아이들을 사랑하고 돌보는 여자의 본능은, 결혼과 원시의 가족 생활을 조장하는 데 여자를 이해 관계가 있는 당사자로 만들도록 작용한다. 남자는 후일의 관습과 사회 풍습의 압력 때문에 가정을 이루도록 강제되었을 뿐이다. 남자는 결혼과 가정을 이루는 일에 더디게 흥미를 가졌는데, 이는 성행위가 남자에게 아무런 생물학적 결과를 지워주지 않기 때문이다.
1955 84:7.3 Sex association is natural, but marriage is social and has always been regulated by the mores. The mores (religious, moral, and ethical), together with property, pride, and chivalry, stabilize the institutions of marriage and family. Whenever the mores fluctuate, there is fluctuation in the stability of the home-marriage institution. Marriage is now passing out of the property stage into the personal era. Formerly man protected woman because she was his chattel, and she obeyed for the same reason. Regardless of its merits this system did provide stability. Now, woman is no longer regarded as property, and new mores are emerging designed to stabilize the marriage-home institution:
2000 84:7.3 성적 연합은 자연스럽지만, 결혼은 사회적인 것이며 반드시 도덕 관습에 규제를 받아 왔다. (종교ㆍ도덕ㆍ윤리적) 관습은 재산ㆍ자존심ㆍ기사도(騎士道)와 함께, 결혼 제도와 가족 제도를 안정시킨다. 관습이 이리저리 변할 때는 언제나, 가정 및 결혼 제도의 안정에 변동이 생긴다. 결혼은 이제 재산 단계를 벗어나서 개인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예전에는 여자가 남자의 소유물이었으니까 남자가 여자를 보호했고, 여자는 같은 이유로 남자에게 복종했다. 그 장점에 상관 없이, 이 체계는 안정을 가져왔다. 지금은 여자를 더 이상 재산으로 여기지 않으며, 결혼 및 가정 제도를 안정시키도록 고안된 새로운 도덕 관습이 솟아나고 있다:
2001 CM 84:7.3 남녀의 결합은 자연스런 것이지만, 결혼은 사회적인 것이고, 언제나 사회관행에 규제를 받아왔다. (종교적, 도덕적, 윤리적) 사회관행은, 재산과 자존심과 기사도 정신과 함께, 결혼과 가족이라는 제도를 안정시킨다. 사회관행이 동요될 때마다, 가정과-결혼제도의 안정성이 흔들렸다. 결혼은 이제 소유{所有}단계를 탈피해서 개인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날에는 여자가 남자의 재산이었으므로 남자가 여자를 보호했고, 같은 이유 때문에 여자가 복종했다. 그 장단점과는 무관하게, 이 체계는 안정성을 제공했다. 이제는, 여자는 더 이상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결혼과-가정제도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사회관행이 출현하고 있다:
2007 URKA 84:7.3 성적인 결합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결혼은 사회적인 것이며 언제나 사회관례들에 의해서 규제되어 왔다. 사회관례들(종교적, 도덕적, 윤리적)은, 재산과 자부심 그리고 기사도 마음과 함께, 결혼과 가정 제도를 안정화시킨다. 사회관례가 동요될 때마다, 가정-결혼 제도의 안정성이 흔들렸다. 결혼은 이제 소유 단계를 탈피하여 개인적인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날에는 여자가 남자의 재산이었기 때문에 남자가 여자를 보호하였으며, 같은 이유 때문에 여자가 복종하였다. 그 장점들과는 상관없이, 이러한 체계는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이제는, 여자는 더 이상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새로운 사회관례들이 결혼-가정 제도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어 창발하고 있다:
2025 84:7.3 성적 연합은 자연스럽지만, 결혼은 사회적인 것이며 반드시 도덕 관습에 규제를 받아왔다. (종교ㆍ도덕ㆍ윤리적) 관습은 재산ㆍ자존심ㆍ기사도(騎士道)와 함께, 결혼 제도와 가족 제도를 안정시킨다. 관습이 이리저리 변할 때는 언제나, 가정 및 결혼 제도의 안정에 변동이 생긴다. 결혼은 이제 재산 단계를 벗어나서 개인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예전에는 여자가 남자의 소유물이었으니까 남자가 여자를 보호했고, 여자는 같은 이유로 남자에게 복종했다. 그 장점과 상관없이, 이 체계는 안정을 가져왔다. 지금은 여자를 더 이상 재산으로 여기지 않으며, 결혼 및 가정 제도를 안정시키도록 고안된 새로운 도덕 관습이 솟아나고 있다:
1955 84:7.4 1. The new role of religion—the teaching that parental experience is essential, the idea of procreating cosmic citizens, the enlarged understanding of the privilege of procreation—giving sons to the Father.
2000 84:7.4 1. 종교의 새 기능―부모의 체험이 필수라는 가르침, 우주의 시민을 낳는다는 관념, 자식을 낳는―아들들을 아버지께 드리는―특권을 더욱 이해하는 것.
2001 CM 84:7.4 1. 종교의 새 역할 --부모의 체험이 필수라는 가르침, 시공우주 시민을 낳는다는 관념 곧 출산{出産}이 --아들들을 아버지께 드리는-- 특혜임을 더욱 이해하는 것.
2007 URKA 84:7.4 1. 종교의 새로운 역할─부모의 체험이 필수적이라는 가르침, 조화우주 시민들을 낳는다는 관념, 출산의 혜택에 대한 확대된 납득─아들들을 아버지께 드림.
2025 84:7.4 1. 종교의 새 기능 ― 부모의 체험이 필수라는 가르침, 우주의 시민을 낳는다는 관념, 자식을 낳는 ― 아들들을 아버지께 드리는 ― 특권을 더욱 이해하는 것.
1955 84:7.5 2. The new role of science—procre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voluntary, subject to man’s control. In ancient times lack of understanding insured the appearance of children in the absence of all desire therefor.
2000 84:7.5 2. 과학의 새 기능―출산은 남자의 통제 밑에서, 점점 더 자원하는 것이 된다. 옛 시절에는 아이를 바라는 욕망이 도무지 없는 가운데, 이해의 부족이 아이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장했다.
2001 CM 84:7.5 2. 과학의 새 역할 --출산은 남자의 통제에 따라서 점점 더 계획적인 것이 되고 있다. 옛날에는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것을 대신하는 욕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도 자녀의 출생이 보장됐다.
2007 URKA 84:7.5 2. 과학의 새로운 역할─출산은 점점 더 자발적으로, 사람의 통제를 따르게 되었다. 옛날에는 인식 부족 때문에 그것을 위한 모든 욕망들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녀들의 출생이 보장되었다.
2025 84:7.5 2. 과학의 새 기능 ― 출산은 남자의 통제 밑에서, 점점 더 자원하는 것이 된다. 옛 시절에는 아이를 바라는 욕망이 도무지 없는 가운데, 이해의 부족이 아이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장했다.
1955 84:7.6 3. The new function of pleasure lures—this introduces a new factor into racial survival; ancient man exposed undesired children to die; moderns refuse to bear them.
2000 84:7.6 3. 쾌락 유혹의 새 기능―이것은 종족의 생존에 새로운 요인을 시작한다. 옛날 사람은 바라지 않는 아이들을 죽도록 버려두었다. 현대인은 아이를 낳으려 하지 않는다.
2001 CM 84:7.6 3. 쾌락을 주는 매혹의 새 역할 --이것이 종족의 생존에 새 요소를 제공했으며;옛 사람은 원치 않는 아이를 죽였지만;현대인은 그런 아이를 낳지 않으려고 한다.
2007 URKA 84:7.6 3. 쾌락을 주는 매력들의 새로운 역할─이것이 인종적 생존에 새로운 요소를 제공하였다; 옛날 사람은 원하지 않는 아이를 죽였지만; 현대인들은 그러한 아이를 갖지 않으려고 한다.
2025 84:7.6 3. 쾌락 유혹의 새 기능 ― 이것은 종족의 생존에 새로운 요인을 시작한다. 옛날 사람은 바라지 않는 아이들을 죽도록 버려두었다. 현대인은 아이를 낳으려 하지 않는다.
1955 84:7.7 4. The enhancement of parental instinct—each generation now tends to eliminate from the reproductive stream of the race those individuals in whom parental instinct is insufficiently strong to insure the procreation of children, the prospective parents of the next generation.
2000 84:7.7 4. 부모 본능의 향상. 각 세대는 이제, 부모 본능이 충분히 강하지 않아서 아이 낳는 것을 보장할 수 없는 사람들을 종족 번식의 흐름에서 없애버리는 경향이 있다. 아이들은 다음 세대에 부모가 될 사람들이다.
2001 CM 84:7.7 4. 부모 본능의 향상. 각 세대는 이제, 부모 본능이 충분치 못하여 다음 세대에 부모가 될 자녀의 출산을 보장할 수 없는 사람들을, 종족의 번식 흐름에서 제거시키는 경향이 있다.
2007 URKA 84:7.7 4. 어버이의 본능의 향상. 각 세대는 이제 어버이의 본능이 다음 세대에서의 장래의 부모들, 자녀들의 출산을 보장하기에 충분하게 강하지 않은 그러한 개별존재들을, 인종 번식의 흐름으로부터 배제하려는 경향을 띠고 있다.
2025 84:7.7 4. 부모 본능의 향상. 각 세대는 이제, 부모 본능이 충분히 강하지 않아서 아이 낳는 것을 보장할 수 없는 사람들을 종족 번식의 흐름에서 없애 버리는 경향이 있다. 아이들은 다음 세대에 부모가 될 사람들이다.
1955 84:7.8 But the home as an institution, a partnership between one man and one woman, dates more specifically from the days of Dalamatia, about one-half million years ago, the monogamous practices of Andon and his immediate descendants having been abandoned long before. Family life, however, was not much to boast of before the days of the Nodites and the later Adamites. Adam and Eve exerted a lasting influence on all manki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world men and women were observed working side by side in the Garden. The Edenic ideal, the whole family as gardeners, was a new idea on Urantia.
2000 84:7.8 그러나 하나의 제도, 한 남자와 한 여자의 협동 관계로서, 가정은 더 자세히 말하면 달라마시아 시절, 약 5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 안돈과 그 직계 후손의 일부일처 관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다. 그러나 놋 족속과 나중에 아담 족속의 시절 이전에, 가족 생활은 그다지 자랑할 것이 없었다. 아담과 이브는 온 인류에게 오래 가는 영향을 미쳤다. 세계 역사에서 처음으로, 남자와 여자들이 동산에서 나란히 일하는 것이 보였다. 온 가족이 채소 가꾸는 사람이 되는 에덴의 이상은 유란시아에서 새로운 관념이었다.
2001 CM 84:7.8 그러나 제도로서의 가정 곧 한 남자와 한 여자의 협동체는, 더 명확하게 말하자면 약 50만 년 전에 달라마시아 시대부터 시작됐는데, 안돈과 그의 직계 후손이 가졌던 일부일처제 풍습은 사라진지 오래다. 아무튼 가족생활은, 놋족속과 그후의 아담족속 시대 이전에는 자랑할 만하지 못했다. 아담과 이브는 모든 인류에게 영구적으로 영향을 끼쳤으며;세계 역사상 처음으로 남녀가 동산에서 협력하여 일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온 가족이 채소 가꾸는 자가 되는 에덴의 이상은, 유란시아에서 새로운 관념이었다.
2007 URKA 84:7.8 그러나 하나의 제도로서의 가정, 한 남자와 한 여자의 협동체는 보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약 50만 년 전에 달라마시아 시대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안돈과 그의 직계 후손들이 가졌던 일부일처제 실천 관행은 오래 전부터 포기되어 왔었다. 아무튼, 가정생활은 놋-사람들과 그 후의 아담-사람들 시대 이전에는 자랑할 만한 것이 못되었다. 아담과 이브는 모든 인류에게 영구적으로 영향을 끼쳤으며; 세계 역사상 처음으로 남자들과 여자들이 동산에서 협력하며 일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모든 가족들이 원예가가 되는, 에덴의 이상적(理想的)인 원리는 유란시아에서는 하나의 새로운 관념이었다.
2025 84:7.8 그러나 하나의 제도, 한 남자와 한 여자의 협동 관계로서, 가정은 더 자세히 말하면 달라마시아 시절, 약 5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 안돈과 그 직계 후손의 일부일처 관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다. 그러나 놋 족속과 나중에 아담 족속의 시절 이전에, 가족 생활은 그다지 자랑할 것이 없었다. 아담과 이브는 온 인류에게 오래 가는 영향을 미쳤다. 세계 역사에서 처음으로, 남자와 여자들이 동산에서 나란히 일하는 것이 보였다. 온 가족이 채소 가꾸는 사람이 되는 에덴의 이상은 유란시아에서 새로운 관념이었다.
1955 84:7.9 The early family embraced a related working group, including the slaves, all living in one dwelling. Marriage and family life have not always been identical but have of necessity been closely associated. Woman always wanted the individual family, and eventually she had her way.
2000 84:7.9 초기의 가족은, 노예들과 함께, 관련된 일하는 집단을 포함하였고, 모두가 한 거처에서 살았다. 결혼과 가족 생활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았지만, 필요 때문에 가깝게 관련되었다. 여자는 언제나 개별 가족을 바랐고, 결국 여자는 뜻대로 했다.
2001 CM 84:7.9 초기의 가족은, 함께 일하는 집단 곧 노예를 포함해서 같이 거주하는 모든 사람을 포함했다. 결혼과 가족생활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았으나, 가깝게 관련될 필요가 있었다. 여자는 항상 독립적인 가족을 원했고, 결국 여자 뜻대로 됐다.
2007 URKA 84:7.9 초기의 가정은 노예들을 포함하여, 관계된 작업 집단을 포옹하였고, 모두가 한 거처에서 살았다. 결혼과 가정생활은 항상 동일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성에서 가깝게 연관되어 있었다. 여자는 항상 개별적인 가족을 원하였고, 결국에는 자기 방식대로 했다.
2025 84:7.9 초기의 가족은, 노예들과 함께, 관련된 일하는 집단을 포함하였고, 모두가 한 거처에서 살았다. 결혼과 가족 생활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았지만, 필요 때문에 가깝게 관련되었다. 여자는 언제나 개별 가족을 바랐고, 결국 여자는 뜻대로 했다.
1955 84:7.10 Love of offspring is almost universal and is of distinct survival value. The ancients always sacrificed the mother’s interests for the welfare of the child; an Eskimo mother even yet licks her baby in lieu of washing. But primitive mothers only nourished and cared for their children when very young; like the animals, they discarded them as soon as they grew up. Enduring and continuous human associations have never been founded on biologic affection alone. The animals love their children; man—civilized man—loves his children’s children. The higher the civilization, the greater the joy of parents in the children’s advancement and success; thus the new and higher realization of name pride comes into existence.
2000 84:7.10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거의 보편적이며, 뚜렷이 살아남을 가치가 있다. 옛날 사람들은 아이의 복지를 위하여 언제나 어머니의 이익을 희생했다. 에스키모인 어머니는 아직까지도 목욕시키는 셈으로 제 아기를 핥아 준다. 그러나 원시의 어머니들은, 제 자식들이 아주 어릴 때만 젖을 먹이고 보살폈다. 그들은 동물처럼, 아이들이 자라자마자 내버렸다. 오래 가고 계속되는 인간 관계는 오직 생물학적 사랑에만 기초를 둔 적이 없다. 동물은 제 새끼를 사랑한다. 사람―문명화된 사람―은 손자ㆍ손녀를 사랑한다. 문명이 높을수록, 아이들이 승진하고 성공할 때 부모의 기쁨이 더욱 커진다. 이처럼 이름 자존심에 대하여 새롭고 더 높은 깨달음이 생기게 되었다.
2001 CM 84:7.10 자손에 대한 사랑은 거의 보편적이고, 명백히 살아남을 가치가 있다. 옛 사람은 언제나 자녀의 번영을 위하여 어머니의 권리를 희생시켰으며;에스키모 어머니는 여전히 자기 아이를 물로 씻는 대신 혀로 핥아준다. 그러나 원시 시대의 어머니는, 자녀가 아주 어렸을 때에만 먹여주고 돌봤을 뿐이며;동물처럼, 저희가 자라자마자 관계를 끊었다. 영구적이고 계속적인 인간 연합체는, 생물학적 애정만을 기초하여 설립된 적이 전혀 없었다. 동물은 자기 새끼를 사랑하며;사람--곧 문명화된 사람--은 자기 자녀의 자녀도 사랑한다. 문명이 발달할수록, 자녀의 발전과 성공에 대한 부모의 기쁨이 커지며;따라서 가문{家門}의 긍지에 대하여 새롭고 더 고상한 깨달음이 생겨난다.
2007 URKA 84:7.10 자손에 대한 사랑은 거의 우주적인 것이고 생존에 있어서 분명히 가치 있는 것이다. 고대의 사람들은 언제나 자녀의 행복을 위해 어머니의 권리가 희생되었다; 에스키모 어머니는 아직도 자기 아이를 물로 씻는 대신에 혀로 핥아준다. 그러나 원시 시대의 어머니들은 자기 자녀들이 아주 어렸을 때에만 먹여주고 돌보아 주었을 뿐이다;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자라나자마자 그들과의 관계를 끊었다. 영구적이고 계속적인 인간적 관계적-연합들은 생물학적인 애정만을 기초로 하여 설립된 적이 전혀 없었다. 동물들은 자기 새끼들을 사랑한다; 사람─문명화된 사람─은 자기 자녀들의 자녀들도 사랑한다. 문명이 발달될수록, 자녀들의 발전과 성공에 대한 부모들의 기쁨이 커지며; 그리하여 이름에 대한 자부심이 새롭고도 더 고상하게 실현되는 일이 이루어지게 된다.
2025 84:7.10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거의 보편적이며, 뚜렷이 살아남을 가치가 있다. 옛날 사람들은 아이의 복지를 위하여 언제나 어머니의 이익을 희생했다. 에스키모인 어머니는 아직까지도 목욕시키는 셈으로 제 아기를 핥아 준다. 그러나 원시의 어머니들은, 제 자식들이 아주 어릴 때만 젖을 먹이고 보살폈다. 그들은 동물처럼, 아이들이 자라자마자 내버렸다[8]. 오래 가고 계속되는 인간 관계는 오직 생물학적 사랑에만 기초를 둔 적이 없다. 동물은 제 새끼를 사랑한다. 사람 ― 문명화된 사람 ― 은 손자ㆍ손녀를 사랑한다. 문명이 높을수록, 아이들이 승진하고 성공할 때 부모의 기쁨이 더욱 커진다. 이처럼 이름 자존심에 대하여 새롭고 더 높은 깨달음이 생기게 되었다.
1955 84:7.11 The large families among ancient peoples were not necessarily affectional. Many children were desired because:
2000 84:7.11 옛 종족들 사이에서 대가족이 반드시 애정이 깊지는 않았다. 다음 이유 때문에 아이들이 많은 것이 바람직했다:
2001 CM 84:7.11 고대의 민족들 사이에서, 규모가 큰 가족이 반드시 환영 받은 것은 아니었다. 자녀를 많이 두는 것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바람직했다:
2007 URKA 84:7.11 고대의 민족들 사이에서 규모가 큰 가족들이 반드시 환영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자녀를 많이 두는 것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요구되었다:
2025 84:7.11 옛 종족들 사이에서 대가족에 반드시 애정이 깊지는 않았다. 다음 이유 때문에 아이들이 많은 것이 바람직했다:
1955 84:7.12 1. They were valuable as laborers.
2000 84:7.12 1. 아이들은 일꾼으로서 값이 있었다.
2001 CM 84:7.12 1. 자녀는 일꾼으로서 가치가 있었다.
2007 URKA 84:7.12 1. 그들은 노동자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2025 84:7.12 1. 아이들은 일꾼으로서 값이 있었다.
2000 84:7.13 2. 아이들은 노령 보험이었다.
2001 CM 84:7.13 2. 자녀는 노후대책이었다.
2007 URKA 84:7.13 2. 그들은 노후대책이었다.
2025 84:7.13 2. 아이들은 노령 보험이었다.
1955 84:7.14 3. Daughters were salable.
2000 84:7.14 3. 딸을 팔 수 있었다.
2001 CM 84:7.14 3. 딸을 팔 수 있었다.
2007 URKA 84:7.14 3. 딸들은 곧 팔려나가게 되어 있었다.
2025 84:7.14 3. 딸을 팔 수 있었다.
2000 84:7.15 4. 가족의 자부심은 이름 남길 것을 요구한다.
2001 CM 84:7.15 4. 가족의 긍지가 가문의 확장을 요구했다.
2007 URKA 84:7.15 4. 가족의 자부심이 이름의 확장을 요구하였다.
2025 84:7.15 4. 가족의 자부심은 이름 남길 것을 요구한다.
2000 84:7.16 5. 아들들은 보호와 방어를 마련해 주었다.
2001 CM 84:7.16 5. 아들은 보호하는 일과 방어하는 일을 할 수 있었다.
2007 URKA 84:7.16 5. 아들들은 방어와 보호를 잘 제공하였다.
2025 84:7.16 5. 아들들은 보호와 방어를 마련해 주었다.
2000 84:7.17 6. 귀신 공포증은 혼자 있는 것을 두렵게 만들었다.
2001 CM 84:7.17 6. 유령에 대한 두려움이,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게 했다.
2007 URKA 84:7.17 6. 귀신에 대한 두려움이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게 하였다.
2025 84:7.17 6. 귀신 공포증은 혼자 있는 것을 두렵게 만들었다.
2000 84:7.18 7. 어떤 종교들은 자손을 요구했다.
2001 CM 84:7.18 7. 어떤 종교들은 자손을 바치게 했다.
2007 URKA 84:7.18 7. 어떤 종교들은 자손을 요구하였다.
2025 84:7.18 7. 어떤 종교들은 자손을 요구했다.
1955 84:7.19 Ancestor worshipers view the failure to have sons as the supreme calamity for all time and eternity. They desire above all else to have sons to officiate in the post-mortem feasts, to offer the required sacrifices for the ghost’s progress through spiritland.
2000 84:7.19 조상 숭배자는 아들 못 가지는 것을 온 세월과 영원을 통해서 최악의 재난으로 여긴다. 그들은 죽은 뒤의 축제를 거행하고, 영 나라를 통하여 귀신이 나아가는 데 필요한 희생물을 바칠 아들들을 무엇보다도 더 바란다.
2001 CM 84:7.19 조상을 숭배하는 사람은, 아들을 낳지 못하는 것을 항상 영원한 불행으로 여긴다. 그들은 죽은 조상에 대한 제사를 거행하고, 유령이 영 나라를 통해서 나아가는 데 필요한 희생제물을 바칠 아들을 무엇보다 더 열망한다.
2007 URKA 84:7.19 조상을 경배하는 사람들은 아들들을 낳지 못하는 것을 항상 최극의 불행으로 여긴다. 그들은 다른 어떤 것들보다도 아들들이 죽은 조상들에 대한 제사를 드려줄 것을, 영적인 나라에서 귀신이 진보하는 일에 필요한 희생 제물들을 드리기를 바란다.
2025 84:7.19 조상 숭배자는 아들 못 가지는 것을 온 세월과 영원을 통해서 최악의 재난으로 여긴다. 그들은 죽은 뒤의 축제를 거행하고, 영 나라를 통하여 귀신이 나아가는 데 필요한 희생물을 바칠 아들들을 무엇보다도 더 바란다.
1955 84:7.20 Among ancient savages, discipline of children was begun very early; and the child early realized that disobedience meant failure or even death just as it did to the animals. It is civilization’s protection of the child from the natural consequences of foolish conduct that contributes so much to modern insubordination.
2000 84:7.20 옛날의 야만인 사이에서, 자식에게 벌주는 것은 아주 일찍 시작되었다. 동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복종이 실패나 죽음까지도 뜻한다는 것을 아이는 일찍부터 깨달았다. 문명이 아이가 어리석은 행동의 자연스런 결과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은 현대에 사람의 불복종에 아주 크게 기여한다.
2001 CM 84:7.20 옛 미개인 가운데서는 자녀에게 벌주는 것이 아주 일찍부터 시작됐으며;동물에게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로, 불순종은 실패 또는 심지어 죽음을 의미한다는 것을 아이는 일찍부터 깨달았다. 어리석은 행실에 대한 자연스런 대가{代價}를 아이가 치르지 않도록 문명이 옹호하는 것은, 현대에 사람들의 반항적 태도가 형성되는 데 크게 기여한다.
2007 URKA 84:7.20 고대의 원시인들 사이에서는 자녀들에 대한 단련이 매우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아이는, 동물들에게 그러했던 것 같이, 불순종이 실패나 죽음까지도 의미한다는 것을 일찍부터 깨달았다. 어리석은 행위의 자연적인 결과로부터 어린아이를 보호한 것은 문명의 보호 작용이고, 그것은 현대의 불복종에 그렇게 많도록 기여하고 있다.
2025 84:7.20 옛날의 야만인 사이에서, 자식에게 벌주는 것은 아주 일찍 시작되었다. 동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복종이 실패나 죽음까지도 뜻한다는 것을 아이는 일찍부터 깨달았다. 문명이 아이가 어리석은 행동의 자연스런 결과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은 현대에 사람의 불복종에 아주 크게 기여한다.
1955 84:7.21 Eskimo children thrive on so little discipline and correction simply because they are naturally docile little animals; the children of both the red and the yellow men are almost equally tractable. But in races containing Andite inheritance, children are not so placid; these more imaginative and adventurous youths require more training and discipline. Modern problems of child culture are rendered increasingly difficult by:
2000 84:7.21 에스키모인 아이들은 징계와 벌이 거의 없이 잘 자라는데, 이것은 그들이 나면서부터 온순한 작은 동물이기 때문이다. 홍인과 황인의 아이들은 거의 똑같이 다루기 쉽다. 그러나 안드 족속 유전을 가진 종족들 중에서는 아이들이 그다지 차분하지 않다. 상상력이 더 많고 모험을 더 좋아하는 이 어린이들은 훈련과 징계가 더 필요하다. 아이를 훈련하는 현대의 문제는 다음 이유로 갈수록 더 어려워진다:
2001 CM 84:7.21 에스키모 아이들은 훈련과 교정{敎正}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에서 성장하는데, 이는 오직 그들이 선천적으로 유순한 어린 동물과 같기 때문이며;홍색인과 황색인 자녀도 거의 똑같이 유순하다. 그러나 안드족속 유전자를 지닌 종족들 가운데서는, 아이들이 그다지 차분하지 않으며;상상력이 더 풍부하고 모험심이 강한 이 젊은이들은 더 많은 훈련과 억제가 필요하다. 아이를 훈육하는 현대 문제는 다음 이유로 점점 더 어려워진다:
2007 URKA 84:7.21 에스키모 아이들은 거의 단련과 벌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성장하는데 그것은 오직 그들이 천부적으로 유순한 어린 동물들과 같기 때문이다; 적색 인종과 황색 인종의 자녀들도 거의 마찬가지로 유순하다. 그러나 안드-사람 유전자를 가진 인종들의 자녀들은 그렇게 조용한 편이 아니며; 더 많은 단련과 억제가 요구되는, 더욱 상상력이 풍부하고 모험심이 강한 아이들이다. 아이를 훈련시키는 데 있어서의 현대적인 문제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에 의해서 점점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2025 84:7.21 에스키모인 아이들은 징계와 벌이 거의 없이 잘 자라는데, 이것은 그들이 나면서부터 온순한 작은 동물이기 때문이다. 홍인과 황인의 아이들은 거의 똑같이 다루기 쉽다. 그러나 안드 족속 유전을 가진 종족들 중에서는 아이들이 그다지 차분하지 않다. 상상력이 더 많고 모험을 더 좋아하는 이 어린이들은 훈련과 징계가 더 필요하다. 아이를 훈련하는 현대의 문제는 다음 이유로 갈수록 더 어려워진다:
1955 84:7.22 1. The large degree of race mixture.
2000 84:7.22 1. 상당한 정도로 종족이 혼합된 것.
2001 CM 84:7.22 1. 종족이 상당히 많이 혼합됨.
2007 URKA 84:7.22 1. 심한 종족 혼합.
2025 84:7.22 1. 상당한 정도로 종족이 혼합된 것.
1955 84:7.23 2. Artificial and superficial education.
2000 84:7.23 2. 인위적이고 겉핥기인 교육.
2001 CM 84:7.23 2. 인위적이고 피상적인 교육.
2007 URKA 84:7.23 2. 인공적이고 피상적인 교육.
2025 84:7.23 2. 인위적이고 겉핥기인 교육.
1955 84:7.24 3. Inability of the child to gain culture by imitating parents—the parents are absent from the family picture so much of the time.
2000 84:7.24 3. 부모를 모방함으로 아이가 훈련을 얻을 수 없는 것―부모가 너무나 자주 가족의 그림에서 빠져 있다.
2001 CM 84:7.24 3. 자녀가 부모를 모방함으로써 문화를 획득하는 일이 불가능함--부모가 가족과 함께 있는 시간이 너무 짧음.
2007 URKA 84:7.24 3. 부모들을 모방함으로써 문화를 획득하는 능력이 아이들에게서 사라짐─부모들이 가족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너무 적다.
2025 84:7.24 3. 부모를 모방함으로 아이가 훈련을 얻을 수 없는 것 ― 부모가 너무나 자주 가족의 그림에서 빠져 있다.
1955 84:7.25 The olden ideas of family discipline were biologic, growing out of the realization that parents were creators of the child’s being. The advancing ideals of family life are leading to the concept that bringing a child into the world, instead of conferring certain parental rights, entails the supreme responsibility of human existence.
2000 84:7.25 가족을 징계하는 옛 관념은 생물학적 관념이었고, 부모가 아이의 존재를 만든 사람이었다는 깨달음에서 생겨났다. 가족 생활에 관한 진보하는 이상은 아이를 세상으로 데려오는 것은 어떤 부모의 권리를 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에서 최고의 책임이 따른다는 개념으로 이끌고 있다.
2001 CM 84:7.25 가족 훈육에 대한 오래된 생각은, 부모가 자녀의 존재를 창조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생물학적 관념이었다. 가족생활에 관한 진보된 이상{理想}은, 아이를 세상에 태어나게 하는 것이, 부모에게 어떤 권리를 부여하기보다 오히려 인간 실존에서 최고 책임을 수반한다는 개념에 이르고 있다.
2007 URKA 84:7.25 가족 단련에 대한 옛 관념은 생물학적인 것이었는데, 부모들이 자녀의 존재들의 창조자라는 실현에서 나와서 성장되었다. 가정생활에 대한 진보하는 이상적(理想的) 원리들은, 어떤 아이를 세상에 태어나게 하는 것은 어버이의 특정한 권리들을 수여하는 대신에 인간 실존의 최극 의무를 의미한다는 개념으로 바뀌도록 인도되고 있다.
2025 84:7.25 가족을 징계하는 옛 관념은 생물학적 관념이었고, 부모가 아이의 존재를 만든 사람이었다는 깨달음에서 생겨났다. 가족 생활에 관한 진보적 이상은, 아이를 세상으로 데려오는 것이 어떤 부모의 권리를 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에서 최고의 책임이 따른다는 개념으로 이끌고 있다.
1955 84:7.26 Civilization regards the parents as assuming all duties, the child as having all the rights. Respect of the child for his parents arises, not in knowledge of the obligation implied in parental procreation, but naturally grows as a result of the care, training, and affection which are lovingly displayed in assisting the child to win the battle of life. The true parent is engaged in a continuous service-ministry which the wise child comes to recognize and appreciate.
2000 84:7.26 문명은 부모가 모든 의무를 맡고, 아이는 모든 권리를 가졌다고 간주한다. 아이가 부모를 존경하는 마음은, 자식을 낳는 것이 무슨 의무를 암시하는가 아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투쟁에서 이기도록 아이를 돕는 데서 인자하게 보여주는 보살핌ㆍ훈련ㆍ애정의 결과로서 자연히 생겨난다. 참된 부모는 계속하여 서비스와 봉사를 베푸는 데 몰두하며, 지혜로운 아이는 이를 깨닫고 고맙게 여기게 된다.
2001 CM 84:7.26 문명은 모든 의무를 부모가 맡고, 자녀는 모든 권리를 가졌다고 간주한다. 부모에 대한 자녀의 존경심은, 부모가 낳아주신 은혜를 인식함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이라는 전쟁터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자녀를 도와주는 가운데, 사랑스럽게 보여주는 보살핌과 훈련과 애정의 결과로서 자연스럽게 자라난다. 참된 부모는 봉사와-보살핌을 계속하기에 여념이 없으며, 현명한 자녀는 이를 알아보고 감사하게 된다.
2007 URKA 84:7.26 문명은 모든 의무들을 부모들이 맡고, 자녀는 모든 권리들을 갖게 되는 것을 중요시한다. 자기 부모들에 대한 자녀의 존중은, 부모가 자기를 만들었다는 생각 속에 내포된 의무감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쟁터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자녀를 도와주는 가운데 충실하게 보이는 보살핌과 훈련과 애정의 결과로 자연스럽게 자라난다. 참된 부모는, 현명한 자녀가 이해하고 감사를 느끼게 되는 계속적인 봉사-사명활동에 여념이 없다.
2025 84:7.26 문명은 부모가 모든 의무를 맡고, 아이는 모든 권리를 가졌다고 간주한다. 아이가 부모를 존경하는 마음은, 자식을 낳는 것이 무슨 의무를 암시하는가 아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투쟁에서 이기도록 아이를 돕는 데서 인자하게 보여주는 보살핌ㆍ훈련ㆍ애정의 결과로서 자연히 생겨난다. 참된 부모는 계속하여 서비스와 봉사를 베푸는 데 몰두하며, 지혜로운 아이는 이를 깨닫고 고맙게 여기게 된다.
1955 84:7.27 In the present industrial and urban era the marriage institution is evolving along new economic lines. Family life has become more and more costly, while children, who used to be an asset, have become economic liabilities. But the security of civilization itself still rests on the growing willingness of one generation to invest in the welfare of the next and future generations. And any attempt to shift parental responsibility to state or church will prove suicidal to the welfare and advancement of civilization.
2000 84:7.27 현재의 산업 및 도시 시대에, 결혼 제도는 새로운 경제 노선을 따라서 진화하고 있다. 가족 생활은 갈수록 더 비싸게 되었고, 한편 예전에 재산이었던 아이들은 경제적 부채가 되었다. 그러나 문명 자체의 안전은 아직도 한 세대가 다음 세대와 미래 세대의 복지에 기꺼이 투자하려는 짙어지는 성향에 달려 있다. 그리고 부모의 책임을 국가나 교회에 떠맡기려고 어떤 시도를 하더라도 문명의 복지와 진보에 자살(自殺) 행위임이 입증될 것이다.
2001 CM 84:7.27 지금과 같은 산업 시대와 도시 시대에, 결혼제도는 새로운 경제 계통에 따라서 진화하고 있다. 가족생활은 더욱 호사스럽게 됐고, 한편 하나의 자산{資産}이 되곤 했던 자녀는 경제적 부채{負債}가 됐다. 그러나 문명 자체의 안전성은, 여전히 한 세대가 다음 세대와 미래 세대의 복지를 위하여 더욱 기꺼이 투자하려는 성향에 달려있다. 그리고 부모의 책임을 국가 또는 교회에 떠맡기려는 모든 시도는, 문명의 복지와 발전을 자포자기{自暴自棄}하는 것임이 입증될 것이다.
2007 URKA 84:7.27 현재와 같은 산업 시대와 도시 시대에서 결혼 제도는 새로운 경제 계통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 가정생활은 점점 더 비용이 드는 반면, 예전에는 하나의 자산이 되곤 하였던 자녀들은 경제적인 부채가 되고 있다. 그러나 문명 자체의 안전성은, 여전히 한 세대가 다음 세대와 미래 세대들의 복지를 위해 투자하려는 기꺼운 마음이 자라나고 있음에 놓여 있다. 그리고 부모의 책임을 국가나 또는 교회에 떠맡기려는 그 어떤 시도도 문명에서의 복지와 발전에 자멸을 초래한다는 것이 증명될 것이다.
2025 84:7.27 현재의 산업 및 도시 시대에, 결혼 제도는 새로운 경제 노선을 따라서 진화하고 있다. 가족 생활은 갈수록 더 비싸게 되었고, 한편 예전에 재산이었던 아이들은 경제적 부채가 되었다. 그러나 문명 자체의 안전은 아직도 한 세대가 다음 세대와 미래 세대의 복지에 기꺼이 투자하려는 짙어지는 성향에 달려 있다. 그리고 부모의 책임을 국가나 교회에 떠맡기려는 어떤 시도라도 문명의 복지와 진보에 자살(自殺) 행위임이 입증될 것이다.
1955 84:7.28 Marriage, with children and consequent family life, is stimulative of the highest potentials in human nature and simultaneously provides the ideal avenue for the expression of these quickened attributes of mortal personality. The family provides for the biologic perpetuation of the human species. The home is the natural social arena wherein the ethics of blood brotherhood may be grasped by the growing children. The family is the fundamental unit of fraternity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learn those lessons of patience, altruism, tolerance, and forbearance which are so essential to the realization of brotherhood among all men.
2000 84:7.28 아이들과 그 결과로 생기는 가족 생활과 더불어, 결혼은 인간의 성품에서 가장 높은 잠재성을 자극하며, 동시에 필사자의 인격에서 활기를 띤 이 특성을 표현하는 이상적 길을 마련해 준다. 가족은 인간종이 생물학적으로 존속하게 한다. 집은 자연스러운 사회 무대이며, 자라는 아이들은 거기서 핏줄로 이어진 형제 정신의 윤리를 깨달을 수 있다. 가족은 근본적 친교 단위이며, 그 안에서 부모와 아이들은 참을성ㆍ이타주의ㆍ너그러움ㆍ인내심의 교훈을 배우며, 이것들은 모든 사람 사이에서 형제 정신을 실현하는 데 아주 긴요하다.
2001 CM 84:7.28 결혼은, 자녀 및 그 결과로 일어나는 가족생활과 함께, 인간 본성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것들을 자극하는 동시에, 필사자 인간성의 이런 자극받은 속성을 나타내도록 이상적인 길을 제공한다. 가족은 인간 종족들이 생물학적으로 존속되게 한다. 가정은 자연스런 사회 경기장인데, 자라나는 자녀들은 핏줄로 맺어진 형제관계의 윤리를 거기서 파악할 수 있다. 가족은 공동체의 기초 단위이며, 그 속에서 부모와 자녀는, 인내와 이타심{利他心 사심(私心) 없음}과 아량과 관용에 대한 훈계를 배우는데, 이것들은 모든 사람 사이의 형제관계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아주 근본적인 요소다.
2007 URKA 84:7.28 결혼은, 자녀들과 그에 따르는 가정생활과 함께, 인간 자연본성에서 가장 고상한 잠재를 자극하는 동시에, 필사자 개인성에서의 이들 자극적인 속성들을 표현하는 이상적인 큰길을 제공한다. 가족은 인간 종족들의 생물학적 영속을 제공한다. 가정은, 핏줄로 이어진 형제신분의 윤리가, 자라나는 자녀에 의해 파악될 수 있는, 자연스런 사회 무대이다. 가정은, 모든 사람들 사이의 형제신분을 실현시키는 데 매우 근본적인 요소인 인내와 이타심과 관용과 용서에 대한 수업을 부모들과 자녀들이 배울 수 있는 형제우애관계의 기본 단위이다.
2025 84:7.28 아이들과 그 결과로 생기는 가족 생활과 더불어, 결혼은 인간의 성품에서 가장 높은 잠재성을 자극하며, 동시에 필사자의 인격에서 활기를 띤 이 특성을 표현하는 이상적 길을 마련해 준다. 가족은 인간종이 생물학적으로 존속하게 한다. 집은 자연스러운 사회 무대이며, 자라는 아이들은 거기서 핏줄로 이어진 형제 정신의 윤리를 깨달을 수 있다. 가족은 근본적 친교 단위이며, 그 안에서 부모와 아이들은 참을성ㆍ이타주의ㆍ너그러움ㆍ인내심의 교훈을 배우며, 이것들은 모든 사람 사이에서 형제 정신을 실현하는 데 아주 긴요하다.
1955 84:7.29 Human society would be greatly improved if the civilized races would more generally return to the family-council practices of the Andites. They did not maintain the patriarchal or autocratic form of family government. They were very brotherly and associative, freely and frankly discussing every proposal and regulation of a family nature. They were ideally fraternal in all their family government. In an ideal family filial and parental affection are both augmented by fraternal devotion.
2000 84:7.29 문명화된 종족들이 더욱 널리 안드 족속의 가족 회의 관습으로 돌아간다면, 인간 사회는 크게 개선될 것이다. 안드 족속은 족장이나 독재 형태의 가족 정부를 유지하지 않았다. 그들은 아주 형제답고 친교 성향이 있고, 가족의 성질을 가진 모든 제안과 규칙을 자유로이 솔직하게 토론하였다. 그들은 가족을 다스리는 모든 일에 이상적으로 형제 정신이 있었다. 이상적 가족 안에서 효도와 부모 사랑은 모두 형제처럼 헌신함으로 커진다.
2001 CM 84:7.29 문명화된 종족들이 안드족속의 가족-협의회 풍습으로 더욱 널리 되돌아간다면, 인간 사회는 엄청나게 개선될 것이다. 그들은 가부장 형태 또는 독재 형태의 가족 운영체제를 유지하지 않았다. 무척 친숙했고 협조적이었으며, 가족과 관련되는 모든 제안과 규칙을 자유롭고 솔직하게 토의했다. 그들은 가족 운영체제의 모든 일에서 더할 나위 없이 우애 있었다. 이상적인 가족 안에서 효도와 부모 사랑은 모두, 형제로서 헌신함으로 확대된다.
2007 URKA 84:7.29 만일 문명화된 종족들이 안드-사람들의 가정-협의체 실천 관행을 향하여 더욱 일반적으로 되돌아간다면, 인간 사회는 엄청나게 개선될 것이다. 그들은 가부장적 또는 독재적인 형태의 가족 체제를 유지하지 않았다. 그들은 매우 친밀하였고 협조적이었는데, 가정의 모든 일들에 대한 모든 제안과 규정을 자유롭게 그리고 솔직하게 토의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가정을 통치하는 모든 일에 있어서 이상적으로 형제우애관계를 가졌다. 이상적인 가정에서 자식으로서의 애정과 어버이의 애정은 형제우애적 헌신에 의해서 둘 모두 증강된다.
2025 84:7.29 문명화된 종족들이 더욱 널리 안드 족속의 가족 회의 관습으로 돌아간다면, 인간 사회는 크게 개선될 것이다. 안드 족속은 족장이나 독재 형태의 가족 정부를 유지하지 않았다. 그들은 아주 형제답고 친교 성향이 있었고, 가족의 성질을 가진 모든 제안과 규칙을 자유로이 솔직하게 토론하였다. 그들은 가족을 다스리는 모든 일에 이상적으로 형제 정신이 있었다. 이상적 가족 안에서 효도와 부모 사랑은 모두 형제다운 헌신으로 커진다.
1955 84:7.30 Family life is the progenitor of true morality, the ancestor of the consciousness of loyalty to duty. The enforced associations of family life stabilize personality and stimulate its growth through the compulsion of necessitous adjustment to other and diverse personalities. But even more, a true family—a good family—reveals to the parental procreators the attitude of the Creator to his children, while at the same time such true parents portray to their children the first of a long series of ascending disclosures of the love of the Paradise parent of all universe children.
2000 84:7.30 가족 생활은 참된 도덕의 선구자요, 의무에 충성하는 의식(意識)의 근거이다. 가족 생활에서 강제된 관계는 다채로운 다른 인물에 대하여 필요한 적응을 강제함으로 인격을 안정시키고 인격의 성장을 자극한다. 그러나 오히려, 참된 가족―좋은 가족―은 자식을 낳는 부모에게 창조자가 그의 자녀들에게 어떤 태도를 가지는가 드러내며, 한편 동시에 그러한 참된 부모는 우주의 모든 아이들의 부모, 파라다이스 부모의 사랑을 올라가면서 드러내는, 길게 연속되는 과정의 첫걸음을 제 자식들에게 보여준다.
2001 CM 84:7.30 가족생활은 참된 도덕성의 창시자요, 의무에 충성하는 의식{意識}의 선구자다. 가족생활에서 강제된 연합은, 다양한 다른 인물에 대하여 적응해야한다는 강제성을 통해서, 인간성을 안정시키고 인간성이 성장하도록 자극한다. 그러나 더 나아가, 참된 가족--곧 훌륭한 가족--은 육신의 부모에게, 창조주가 자녀에게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드러내는 한편, 동시에 그런 참된 부모는, 모든 우주 자녀의 부모이신 낙원 부모의 사랑을 더욱 보여주는, 상승하는 긴 과정 중에서 첫 단계를 자녀에게 나타낸다.
2007 URKA 84:7.30 가정생활은 참된 도덕의 선조, 의무에 대한 충성심 인식의 조상이다. 가정생활의 강제적인 관계적-연합은 다양한 다른 개인성들에게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강제성을 통하여 개인성을 안정시키고 그것이 자라도록 자극을 준다. 그러나 더 나아가서, 참된 가정─훌륭한 가정─은 창조자의 자기 자녀에 대한 태도를 어버이의 후대 창조자들에게 현시하는 동시에, 그러한 참된 부모들은 모든 우주적 자녀들에 대한 파라다이스 부모의 사랑을 점점 더 높게 보여주는 긴 과정의 첫 단계를 자기 자녀들에게 나타낸다.
8. DANGERS OF SELF-GRATIFICATION
8. 자아 욕구 충족의 위험
8. 자기-만족의 위험성
8. 자아-충족의 위험성
8. 자아 욕구 충족의 위험
1955 84:8.1 The great threat against family life is the menacing rising tide of self-gratification, the modern pleasure mania. The prime incentive to marriage used to be economic; sex attraction was secondary. Marriage, founded on self-maintenance, led to self-perpetuation and concomitantly provided one of the most desirable forms of self-gratification. It is the only institution of human society which embraces all three of the great incentives for living.
2000 84:8.1 가족 생활의 큰 위협은 자아 욕구의 충족, 즉 위험하게 높아지는 현대 쾌락광의 물결이다. 결혼으로 이끈 첫째 동기는 예전에 경제 요인이었고, 성적 매력은 2차적인 것이었다. 자아 유지에 기초를 둔 결혼은 자아의 존속으로 이끌었고, 그와 동시에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자아 욕구의 충족을 마련해 주었다. 결혼은 살기 위한 세 가지 큰 동기를 모두 포함하는, 인간 사회의 유일한 제도이다.
2001 CM 84:8.1 가족생활의 최고 위협은, 자기-만족 곧 위협적으로 솟아오르는 오늘날 쾌락의 기운이다. 결혼으로 이끄는 주요 동기는 늘 경제적인 것이었으며;성적 매력은 2차적이었다. 자아-유지에 기초한 결혼은 자아-영속으로 이끌었고, 그와 동시에 가장 바람직한 형태 가운데 하나로서 자기-만족을 제공했다. 결혼은 인간 사회에서 삶의 세 가지 큰 동기를 전부 포함하는 유일한 제도다.
2007 URKA 84:8.1 가정생활을 가장 위협하는 것은 자아-충족, 쾌락에 대한 현대적인 열광의 물결이 위협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결혼에 대한 1차적인 유익은 경제적인 것이었고; 성적 이끌림은 2차적인 것이 되곤 하였다. 자아-유지에 기초를 둔 결혼은, 자아-영속을 이룩하였고, 자아-충족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들 중의 하나를 제공하였다. 그것은 삶을 위한 큰 동기들 세 가지 모두를 포옹하는 인간 사회의 유일한 제도이다.
2025 84:8.1 가족 생활의 큰 위협은 위험하게 높아지는, 자아 욕구의 충족, 현대 쾌락광의 물결이다. 결혼으로 이끈 첫째 동기는 예전에 경제 요인이었고, 성적 매력은 2차적인 것이었다. 자아 유지에 기초를 둔 결혼은 자아의 존속으로 이끌었고, 그와 동시에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자아 욕구의 충족을 마련해 주었다. 결혼은 살기 위한 세 가지 큰 동기를 모두 포함하는, 인간 사회의 유일한 제도이다.
1955 84:8.2 Originally, property was the basic institution of self-maintenance, while marriage functioned as the unique institution of self-perpetuation. Although food satisfaction, play, and humor, along with periodic sex indulgence, were means of self-gratification, it remains a fact that the evolving mores have failed to build any distinct institution of self-gratification. And it is due to this failure to evolve specialized techniques of pleasurable enjoyment that all human institutions are so completely shot through with this pleasure pursuit. Property accumulation is becoming an instrument for augmenting all forms of self-gratification, while marriage is often viewed only as a means of pleasure. And this overindulgence, this widely spread pleasure mania, now constitutes the greatest threat that has ever been leveled at the social evolutionary institution of family life, the home.
2000 84:8.2 최초에 재산은 자아를 유지하는 기본 제도였고, 한편 결혼은 자아를 존속시키는 독특한 제도로서 작용했다. 배를 채우는 것과 놀이와 유머는, 이따금 얻는 성욕의 만족과 더불어 자아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이기는 했어도, 진화하는 도덕 관습이 자아 욕구를 충족시키는 어떤 뚜렷한 제도를 만들지 못했다는 것이 여전히 사실이다. 즐거움을 얻는 전문화된 기술을 이렇게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인간 제도는 이 쾌락 추구에 완전히 젖어 있다. 재산의 축적은 온갖 종류의 자아 욕구를 더욱 충족시키는 도구가 되고 있으며, 한편 결혼은 흔히 오직 쾌락의 수단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이 지나친 탐닉, 널리 퍼진 이 쾌락광은, 일찍이 사회의 진화적 가족 생활 제도인 가정을 노리는 가장 큰 위협이다.
2001 CM 84:8.2 원래, 재산은 자아를-유지하는 기본 제도였고, 한편 결혼은 자아를-영속시키는 독특한 제도로서 작용했다. 주기적인 성적 탐닉과 함께 흡족한 양식과 놀이와 유머가 자기-만족의 수단이었음에도, 진화하는 사회관행이 자기-만족에 대한 어떤 뚜렷한 제도를 형성하기에 실패했음이 여전히 사실이다. 그리고 만족스런 기쁨을 얻을 수 있는 전문화된 기법을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인간제도가 이런 쾌락 추구로 너무 철저하게 물들어있다. 재산 축적은 모든 형태의 자기-만족을 증대시키기 위한 도구가 되고 있으며, 한편 결혼은 흔히 오직 쾌락을 위한 수단으로서 간주된다. 그리고 이런 방종 곧 널리 퍼진 이런 쾌락에 대한 열정은 이제, 일찍이 사회의 진화적 가족생활제도인 가정을 노리는 가장 큰 위협이다.
2007 URKA 84:8.2 기원적으로, 재산은 자아-유지의 기본 제도였던 반면, 결혼은 자아-영속의 독특한 제도로서 가능하였다. 흡족한 음식과 놀이 그리고 유머는, 주기적인 성적 탐닉과 함께 자아-충족의 수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진화하는 사회관례가 자아-충족에 대한 어떤 뚜렷한 제도를 형성하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모든 인간 제도가 이러한 쾌락 추구로 너무나 완벽하게 물들어 있는 것은, 만족스러운 기쁨을 줄 수 있는 전문화된 기법을 진화시키지 못한 이러한 실패에 기인한다. 재산 축적은 모든 형태의 자아-충족을 증강시키기 위한 도구가 되고 있는 반면, 결혼은 오직 쾌락을 위한 수단으로만 간주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종, 널리 퍼진 이러한 즐거움에 대한 열광이 이제는, 가족생활의 사회적 진화 제도인, 가정을 겨냥해 오는 가장 큰 위협을 이루고 있다.
2025 84:8.2 최초에 재산은 자아를 유지하는 기본 제도였고, 한편 결혼은 자아를 존속시키는 독특한 제도로서 작용했다. 배를 채우는 것과 놀이와 유머는, 이따금 얻는 성욕의 만족과 더불어 자아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이기는 했어도, 진화하는 도덕 관습이 자아 욕구를 충족시키는 어떤 뚜렷한 제도를 만들지 못했다는 것이 여전히 사실이다. 즐거움을 얻는 전문화된 기술을 이렇게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인간 제도는 이 쾌락 추구에 완전히 젖어 있다. 재산의 축적은 온갖 종류의 자아 욕구를 더욱 충족시키는 도구가 되고 있으며, 한편 결혼은 흔히 오직 쾌락의 수단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이 지나친 탐닉, 널리 퍼진 이 쾌락광은, 일찍이 사회의 진화적 가족 생활 제도인 가정을 노리는 가장 큰 위협이다.
1955 84:8.3 The violet race introduced a new and only imperfectly realized characteristic into the experience of humankind—the play instinct coupled with the sense of humor. It was there in measure in the Sangiks and Andonites, but the Adamic strain elevated this primitive propensity into the potential of pleasure, a new and glorified form of self-gratification. The basic type of self-gratification, aside from appeasing hunger, is sex gratification, and this form of sensual pleasure was enormously heightened by the blending of the Sangiks and the Andites.
2000 84:8.3 보라 인종은 새롭고 겨우 불완전하게 실현된 특징―유머 감각과 함께 놀이 본능―을 인류의 체험 속에 들여왔다. 이 본능은 어느 만큼 산긱과 안돈 족속 안에 있었지만, 아담의 핏줄은 이 원시 성향을 가능한 쾌락으로 높였고, 이것은 새롭고 영화롭게 된 형태로 자아의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다. 배고픔을 달래는 것을 제쳐놓고, 기본 형태의 자아 욕구의 충족은 성욕을 채우는 것이며, 이 형태의 육체적 쾌락은 산긱과 안드 족속을 혼합함으로 엄청나게 높아졌다.
2001 CM 84:8.3 보라색 인종은, 새롭고 오직 불완전하게 실현된 특질--곧 유머 감각과 결부된 놀이 본능--을 인류의 체험에 도입했다. 이 본능은 상익 인종들과 안돈족속에게도 어느 정도 있었지만, 아담 종족은 이 원시적 성향이 잠재적 쾌락 곧 미화{美化}된 새 자기-만족 형태에 빠지도록 향상시켰다. 배고픔의 해소를 제외한다면, 자기-만족의 기본 유형은 성적 만족이며, 이런 형태의 관능적 쾌락은 상익 인종들과 안드족속의 피가 섞임으로써 엄청나게 강화됐다.
2007 URKA 84:8.3 보라색 인종은 하나의 새로운 그리고 오직 불완전하게 실현된 특징을 인류의 체험 속에─유머 감각과 결부된 놀이 본능─도입하였다. 그것은 산긱들과 안돈-사람들 속에도 어느 정도는 있었지만, 아담의-혈통은 이러한 원시적 성향을 기쁨의 잠재, 자아-충족의 새롭고 영화롭게 된 형태에 이르도록 향상시켰다. 갈망을 만족시켜주는 것을 제외시킨다면, 자아-충족의 기본적인 유형은 성(性) 만족이며, 이러한 형태의 감각적 쾌락은 산긱들과 안드-사람들의 피가 섞임으로써 엄청나게 강화되었다.
2025 84:8.3 보라 인종은 새롭고 겨우 불완전하게 실현된 특징 ― 유머 감각과 함께 놀이 본능 ― 을 인류의 체험 속에 들여왔다. 이 본능은 어느 만큼 산긱과 안돈 족속 안에 있었지만, 아담의 핏줄은 이 원시 성향을 가능한 쾌락으로 높였고, 이것은 새롭고 영화롭게 된 형태로 자아의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다. 배고픔을 달래는 것을 제쳐 놓고, 기본 형태의 자아 욕구의 충족은 성욕을 채우는 것이며, 이 형태의 육체적 쾌락은 산긱과 안드 족속을 혼합함으로 엄청나게 높아졌다.
1955 84:8.4 There is real danger in the combination of restlessness, curiosity, adventure, and pleasure-abandon characteristic of the post-Andite races. The hunger of the soul cannot be satisfied with physical pleasures; the love of home and children is not augmented by the unwise pursuit of pleasure. Though you exhaust the resources of art, color, sound, rhythm, music, and adornment of person, you cannot hope thereby to elevate the soul or to nourish the spirit. Vanity and fashion cannot minister to home building and child culture; pride and rivalry are powerless to enhance the survival qualities of succeeding generations.
2000 84:8.4 안드 이후 종족들의 차분하지 못한 성질, 호기심ㆍ모험, 그리고 쾌락에 빠지는 특징이 합친 곳에 진짜 위험이 있다. 혼의 갈증은 육체의 쾌락으로 채울 수 없다. 가정과 아이들을 사랑하는 것은 쾌락을 지혜롭지 못하게 찾는다고 늘어날 수 없다. 너희는 예술ㆍ색깔ㆍ소리ㆍ리듬ㆍ음악, 그리고 사람 치장의 자원을 다 써 버리더라도, 그렇게 함으로 너희는 혼을 높이거나 정신에 자양분 주기를 바랄 수 없다. 허영심과 유행은 가정을 만들고 아이를 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다. 자존심과 경쟁심은 뒤잇는 세대들의 살아남는 성질을 높이는 데 무력하다.
2001 CM 84:8.4 안드족속 이후 인종의 불안감, 호기심, 모험심, 그리고 쾌락에-빠지는 특질이 합쳐진 곳에, 진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혼{魂}의 갈급함은 육체적 쾌락으로 만족될 수 없으며;가정과 자녀에 대한 사랑은, 어리석은 쾌락 추구로 증대되지 않는다. 예술, 색감{色感}, 소리, 박자, 음악, 및 몸을 치장하는 자원을 너희가 전부 쏟아 부어도, 너희는 영을 살찌게 하거나 혼을 증진시키기를 기대할 수 없다. 허영심과 유행은, 가정 설립과 자녀 양육에 공헌할 수 없으며;자존심과 경쟁심은, 다음 세대가 살아남을 수 있는 자질을 증진시키는 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2007 URKA 84:8.4 안드-사람 이후 종족들의 불안감, 호기심, 모험심, 그리고 쾌락-포기 특징의 배합 속에 실제적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혼(魂)의 열망은 육체적 쾌락으로 만족될 수 없으며; 가정과 자녀에 대한 사랑은 어리석은 쾌락 추구에 의해서 증강되지 않는다. 너희는 예술, 색감, 소리, 박자, 음악의 자원들과, 몸을 장식하는 자원들을 소모시킴으로써 영을 살찌게 하거나 혼을 증진시키기를 기대할 수 없다. 허영심과 유행은 가정 설립과 자녀 양육에 공헌할 수 없으며; 자부심과 경쟁심은 다음 세대들의 생존을 위한 본질특성을 증진시켜주는 일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2025 84:8.4 안드 이후 종족들의 차분하지 못한 성질, 호기심ㆍ모험, 그리고 쾌락에 빠지는 특징이 합친 곳에 진짜 위험이 있다. 혼의 갈증은 육체의 쾌락으로 채울 수 없다. 가정 및 아이 사랑은 쾌락을 지혜롭지 못하게 찾는다고 늘어날 수 없다. 너희는 예술ㆍ색깔ㆍ소리ㆍ리듬ㆍ음악, 사람 치장의 자원을 다 써 버리더라도, 그렇게 한다고 너희는 혼을 높이거나 정신에 자양분 주기를 바랄 수 없다. 허영심과 유행은 가정을 만들고 아이를 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다. 자존심과 경쟁심은 뒤잇는 세대들의 살아남는 성질을 높일 힘이 없다.
1955 84:8.5 Advancing celestial beings all enjoy rest and the ministry of the reversion directors. All efforts to obtain wholesome diversion and to engage in uplifting play are sound; refreshing sleep, rest, recreation, and all pastimes which prevent the boredom of monotony are worth while. Competitive games, storytelling, and even the taste of good food may serve as forms of self-gratification. (When you use salt to savor food, pause to consider that, for almost a million years, man could obtain salt only by dipping his food in ashes.)
2000 84:8.5 진보하는 하늘 존재들은 모두 휴식을 즐기고 회상(回想) 지도자들의 보살핌을 누린다. 건강에 좋은 기분 전환을 얻고 사람을 격려하는 놀이에 참여하는 모든 노력은 건전하다. 기분을 새롭게 하는 잠ㆍ휴식ㆍ오락, 그리고 단조로운 지루함을 막는 모든 유흥은 가치가 있다. 경쟁하는 시합, 이야기를 엮는 것, 맛있는 것을 맛보는 것조차 자아 욕구 충족의 형태로서 쓸모가 있을까 한다. (먹을 것을 맛내려고 너희가 소금을 쓸 때, 거의 1백만 년 동안 사람은 먹을 것을 재 속에 집어넣어야 소금을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멈추어 생각해 보아라.)
2001 CM 84:8.5 진보하는 하늘 존재는 모두 휴식을 즐기며, 회상 지휘자의 섬김을 누린다. 건전한 오락을 획득하고 기분을 드높여주는 놀이에 참여하려는 모든 노력은 건전한 것이며;단조로움에서 나오는 권태감을 막아주는 모든 취미와 오락과 휴식 그리고 원기를 회복시키는 수면{睡眠}은 값어치가 있는 것들이다. 경쟁적인 시합, 이야기하기, 그리고 심지어 맛있는 음식을 맛보는 것도 자기-만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너희가 소금으로 음식 맛을 낼 때, 거의 100만 년 동안, 인간은 오직 음식을 재속에 넣어두는 방법으로만 소금기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잠깐 멈춰서 생각해보라.)
2007 URKA 84:8.5 향상되는 천상(天上)의 존재들은 모두 휴식을 즐기며, 복귀 감독자들의 봉사를 즐긴다. 건전한 기분전환을 획득하고 기분을 드높여주는 놀이에 참여하려는 모든 노력은 건전한 것이다; 단조로움에서 나오는 권태감을 막아주는 모든 취미들과 오락과 휴식 그리고 원기를 회복시키는 수면은 보람 있는 것들이다. 경쟁적인 경기들, 이야기하기, 그리고 심지어는 좋은 음식을 맛보는 것도 자아-충족의 형태들이 될 수 있다. (너희가 소금으로 음식의 맛을 낼 때, 거의 100만 년 동안, 사람은 오직 자기 음식을 재속에 넣어두는 방법에 의해서만 소금기를 얻을 수 있었음을, 잠깐 멈추어서 생각해 보라.)
2025 84:8.5 진보하는 하늘 존재들은 모두 휴식을 즐기고 회상(回想) 지도자들의 보살핌을 누린다. 건강에 좋은 기분 전환을 얻고 사람을 격려하는 놀이에 참여하는 모든 노력은 건전하다. 기분을 새롭게 하는 잠ㆍ휴식ㆍ오락, 단조로운 지루함을 막는 모든 유흥은 가치가 있다. 경쟁하는 시합, 이야기를 엮는 것, 맛있는 것을 맛보는 것조차 자아 욕구 충족의 형태로서 쓸모가 있을까 한다. (먹을 것을 맛내려고 너희가 소금을 쓸 때, 거의 1백만 년 동안 사람은 먹을 것을 재 속에 집어넣어야 소금을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멈추어 생각해 보아라.)
1955 84:8.6 Let man enjoy himself; let the human race find pleasure in a thousand and one ways; let evolutionary mankind explore all forms of legitimate self-gratification, the fruits of the long upward biologic struggle. Man has well earned some of his present-day joys and pleasures. But look you well to the goal of destiny! Pleasures are indeed suicidal if they succeed in destroying property, which has become the institution of self-maintenance; and self-gratifications have indeed cost a fatal price if they bring about the collapse of marriage, the decadence of family life, and the destruction of the home—man’s supreme evolutionary acquirement and civilization’s only hope of survival.
2000 84:8.6 사람은 즐길지어다. 인종은 수많은 방법으로 쾌락을 발견할지어다. 진화하는 인류는 온갖 종류의 정당한 자아 욕구의 충족, 오랫동안 위를 향한 생물학적 투쟁으로 얻는 열매를 탐구할지어다. 사람은 오늘날의 즐거움과 쾌락의 얼마큼은 수고하여 잘 벌었다. 그러나 너희는 운명의 목표를 잘 보아라! 쾌락이 자아 유지의 도구가 된 재산을 파괴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것은 정말로 자살이다. 그리고 자아 욕구의 충족이 결혼의 파탄, 가정 생활의 퇴폐, 가정의 파괴를 가져온다면, 치명적인 값을 치른 것이다―가정은 사람이 진화로 얻은 최고의 성취이며, 문명이 살아남을 유일한 희망이다.
2001 CM 84:8.6 사람이 스스로 즐기도록 내버려둬라;인간 종족들이 무수한 방법으로 쾌락을 찾을 수 있게 하라;진화하는 인류로 하여금, 모든 형태의 합리적 자기-만족, 즉 오랫동안 향상돼온 생물학적 투쟁의 결실{結實}을 탐구하게 하라. 사람은 오늘날의 즐거움과 쾌락의 일부를 잘 획득했다. 그러나 너희는 운명의 목표를 잘 고려해 봐라! 자아를-유지하는 토대가 돼온 재산을 쾌락이 파괴시키기에 성공한다면, 그것은 정말로 자살이며;자기-만족이 결혼의 파탄, 가정생활의 타락, 가정의 파괴를 초래한다면, 정말로 치명적인 대가{代價}를 치른 것이다--가정은 인간이 진화로 획득한 최고 성취이며, 문명이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다.
2007 URKA 84:8.6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즐기게 내버려두어라; 인간 종족들이 무수한 방법으로 쾌락을 찾을 수 있게 하라; 진화하는 인류로 하여금 모든 형태의 합리적인 자아-충족, 오랫동안 향상되어 온 생물학적 투쟁의 결실들을 탐구하게 하라. 사람은 지금-현재의 즐거움들과 쾌락들의 일부를 잘 획득하였다. 그러나 너희 운명의 목표를 잘 고려해 보아라! 쾌락들은, 만약에 그것들이 자아-유지의 제도가 되어 오고 있는 소유물을 파괴시키는 일에 성공한다면 정말로 자기 스스로를 파멸시키는 것이다; 자아-충족들은, 만약에 그것들이 가정생활의 타락, 결혼의 붕괴와 가정─사람이 획득한 최극의 진화적 성취이며 문명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의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면, 정말로 치명적인 대가를 치러야만 할 것이다.
2025 84:8.6 사람은 즐길지어다. 인류는 수많은 방법으로 쾌락을 발견할지어다. 진화하는 인류는 온갖 종류의 정당한 자아 욕구의 충족, 오랫동안 위를 향한 생물학적 투쟁으로 얻는 열매를 탐구할지어다. 사람은 오늘날의 즐거움과 쾌락의 얼마큼은 수고하여 잘 벌었다. 그러나 너희는 운명의 목표를 잘 보아라! 쾌락이 자아 유지의 도구가 된 재산을 파괴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것은 정말로 자살이다. 그리고 자아 욕구의 충족이 결혼의 파탄, 가정 생활의 퇴폐, 가정의 파괴를 가져온다면, 치명적인 값을 치른 것이다 ― 가정은 사람이 진화로 얻은 최고의 성취이며, 문명이 살아남을 유일한 희망이다.[1]
1955 84:8.7 [Presented by the Chief of Seraphim stationed on Urantia.]
2000 84:8.7 [유란시아에 주둔하는 세라핌 우두머리가 발표하였다.]
2001 CM 84:8.7 [유란시아에 주둔하는 스라빔 최고책임자가 제시했음.]
2007 URKA 84:8.7 [유란시아에 파견된 세라핌천사 우두머리에 의해 제시되었음]
2025 84:8.7 [유란시아에 주둔하는 세라핌 우두머리가 발표하였다.]